괘의
대지가 모든 만물을 싣고 있듯이 두터운 덕으로 만물을 포용하라(厚德載物).
괘명과 괘상
내괘와 외괘가 모두 땅(☷)을 나타내어 '중지곤'이라고 명명됩니다. '중지(重地)'는 내괘와 외괘에서 땅이 중첩된 괘의 형상을 의미하며, '곤(坤)'은 여섯 효가 모두 음기운으로 구성된 괘의 명칭입니다. 즉, '곤(坤)'은 괘의 이름이고 '중지(重地)'는 곤괘의 형상을 표현한 것입니다. 따라서 '중지곤'괘를 이해할 때는 내괘와 외괘가 모두 순음으로 이루어진 괘의 특성을 주목해야 합니다.
중천건괘 다음에 중지곤괘를 배치한 근본적인 이유는 하늘이 존재하기에 땅이 있으며, 그 땅 위에 만물이 존재하기 때문입니다. 고전에서 말씀하듯이 하늘이 자시(子)에 열리고 땅이 축시(丑)에 생성되었습니다. 우리의 생활 터전인 지구를 살펴보면, 태양을 중심으로 자전과 공전을 하며 춘하추동(春夏秋冬)의 사계절 변화를 만들어내고 있습니다. 이러한 자연의 순환 원리를 바탕으로 후천팔괘(後天八卦)가 구성되어 있으므로, 이에 대한 면밀한 고찰이 필요합니다.
언제 없어질 지 모르는 할인쿠폰!
명리학을 잘 활용하는 것은 주어진 운세에 맞게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것이에요! 이 더큼만세력을 만든 허유는 현재 희신세운을 맞이했어요. 때문에 적극적으로 사람들과 소통하기 위한 기회를 만들고 있답니다!
병화용신의 대표적인 재능은 ‘소통’이랍니다.
할인코드: pro5050
더큼만세력 바로가기
괘사
坤은 元코 亨코 利코 牝馬之貞이니 君子의 有攸往이니라.
곤 원 형 이 빈마지정 군자 유유왕
先하면 迷하고 後하면 得하리니 主利하니라.
선 미 후 득 주리
西南은 得朋이오 東北은 喪朋이니 安貞하야 吉하니라.
서남 득붕 동북 상붕 안정 길
곤은 크고 형통하고 이롭고 암말(빈마)의 바름이니, 군자의 갈 바가 있다. 먼저 하면 미혹되고 뒤에 하면 얻을 것이니, 이로움을 주장한다. 서남방은 벗을 얻고 동북방은 벗을 잃으니, 편안히 바르게 해서 길하다.
지구가 하늘로부터 생명의 근원적 에너지를 수용하여 모든 생명체를 잉태하듯이, 순음(純陰)의 특성을 지닌 중지곤괘 역시 원형이정이라는 네 가지 덕목을 내포하고 있습니다. 다만, 순양(純陽)의 특성으로 강건함을 표방하는 중천건(重天乾)과는 달리, 중지곤(重地坤)은 순음(純陰)의 성질로 인해 조화로운 순응의 미덕이 두드러집니다.
우주 공간에서 지구는 태양을 중심으로 지속적인 공전과 자전 운동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만약 지구가 그 본연의 조화로운 특성을 상실하고 과도하게 역동적인 움직임을 보인다면, 지구상의 생명체들은 생존에 심각한 어려움을 겪을 것입니다. 음(陰)의 조화로운 특성이 존재하기에 양(陽)이 그 방향성을 찾을 수 있는 것입니다. 이러한 맥락에서 곤괘는 그 광대함과 형통함, 그리고 암말(牝馬)의 정직함이 이로우며, 이는 곧 군자가 나아갈 방향을 제시합니다. 중천건괘가 하늘을 상징하여 신비로운 용(龍)으로 표현되었다면, 중지곤괘는 대지를 상징하여 지상의 대표적 동물인 암말(牝馬)로 표현된 것입니다.
음(陰)의 지도(地道)는 양(陽)의 천도(天道)를 조화롭게 보완해야 합니다. 지도가 천도에 앞서려 하면 본연의 방향을 잃게 되나, 천도를 자연스럽게 따를 때 그 가치가 실현됩니다. 이는 양(陽)이 이끄는 봄과 여름의 원형(元亨)이 음(陰)이 주관하는 가을과 겨울의 이정(利貞)과 조화를 이루는 과정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맥락에서 이로움을 주장한다(主利)는 표현이 사용된 것입니다.
중지곤은 대지를 상징하며, 지형적 특성상 동북방은 험준한 지세를, 서남방은 순화로운 지세를 보입니다. 음기(陰氣)의 관점에서, 동북방에서는 음의 조화를 상실하게 되나 서남방에서는 이를 획득하게 됩니다. 이는 음(陰)의 순응하는 본질을 유지하며 안정적이고 올바른 방향을 추구할 때 길한 결과로 이어집니다. 이러한 원리는 후천팔괘의 시공간적 배치에서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어지는 단전에서는 이러한 개념을 다음과 같이 상세히 설명하고 있습니다.
단사
彖曰 至哉라 坤元이여.
단왈 지재 곤원
萬物이 資生하나니 乃順承天이니 坤厚載物이 德合无疆하며
만물 자생 내순승천 곤후재물 덕합무강
含弘光大하야 品物이 咸亨하나니라.
함홍광대 품물 함형
牝馬는 地類니 行地无疆하며 柔順利貞이 君子攸行이라.
빈마 지류 행지무강 유순이정 군자유행
先하면 迷하야 失道하고 後하면 順하야 得常하리니
선 미 실도 후 순 득상
西南得朋은 乃與類行이오 東北喪朋은 乃終有慶하리니
서남득붕 내여유행 동북상붕 내종유경
安貞之吉이 應地无疆이니라.
안정지길 응지무강
단전에 말하였다. “지극하다. 곤의 원이여! 만물이 바탕하여 생하니, 이에 순하게 하늘을 이으니, 곤이 두터워 만물을 실음이 덕이 지경이 없음에 합하며, 머금으며 넓으며 빛나며 커서 품물(만물)이 다 형통하다. 암말은 땅의 무리니 땅을 다님에 지경이 없으며, 유순하고 이정함이 군자의 행하는 바이다. 먼저 하면 미혹되서 도를 잃고 뒤에 하면 순해서 떳떳함을 얻을 것이니, 서남에서 벗을 얻음은 이에 무리와 더불어 행함이요, 동북에서 벗을 잃음은 이에 마침내 경사가 있을 것이니, 안정하여 길함이 땅의 지경이 없음에 응한다.
태극(太極)으로부터 건곤(乾坤)과 음양(陰陽)이 생성되며, 곤(坤)은 태극의 근본적 에너지를 내포하고 있습니다. 원(元)의 기초 위에서 만물이 생성되고 발전하며, 이는 자연스럽게 천도의 흐름을 따르는 과정입니다. 대지는 그 포용력으로 모든 존재를 수용하며, 이는 곤(坤)의 무한한 덕성을 보여줍니다. 곤(坤)의 덕은 포용적이고 광대하며 찬란하여 만물이 조화롭게 번영하게 됩니다. 암말이 대지를 대표하는 존재로서 무한한 영역을 자유롭게 다니듯이, 유순함과 이정(利貞)의 원리는 군자가 실천해야 할 핵심 가치입니다.
선행하는 음의 기운은 천도의 자연스러운 흐름을 방해하여 혼란을 초래할 수 있으나, 양을 따르는 음의 기운은 조화로운 질서를 이룹니다. 서남방에서는 순응하는 지형과 음의 기운이 조화롭게 어우러져 상생의 관계를 형성합니다. 반면, 동북방의 험준한 지형에서는 양의 기운이 우세하여 일시적으로 음의 조화가 깨어질 수 있으나, 이는 궁극적으로 음양의 조화로운 융합으로 이어져 긍정적 결과를 가져옵니다. 이처럼 안정적이고 올바른 방향성을 유지할 때, 대지의 무한한 가능성이 실현됩니다.
후천팔괘는 시간과 공간의 질서를 체계적으로 나타냅니다. 이는 서남방의 음괘와 동북방의 양괘라는 명확한 구조적 특성을 보여줍니다.
서남방에는 동남방의 손괘☴(장녀), 남방의 이괘☲(중녀), 서남방의 곤괘☷(모), 서방의 태괘☱(소녀)가 위치하여 음의 기운을 형성하며, 이것이 '서남득붕(西南得朋)'의 의미입니다. 반면 동북방에는 동방의 진괘☳(장남), 동북방의 간괘☶(소남), 북방의 감괘☵(중남), 서북방의 건괘☰(부)가 자리하여 양의 기운을 구현하니, 이를 '동북상붕(東北喪朋)'이라 합니다.
이러한 정교한 체계 속에서 곤(坤)의 도를 군자는 어떻게 실천해야 하는지, 괘상전은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 있습니다.
괘상사
象曰 地勢 坤이니 君子 以하야 厚德으로 載物하나니라.
상왈 지세 곤 군자 이 후덕 재물
상전에 말하였다. “땅의 형세가 곤이니, 군자가 이를 본받아 두터운 덕으로 만물을 실어야 한다.”
중천건괘는 순수한 양의 기운으로 하늘을 상징하며, 중지곤괘는 순수한 음의 기운으로 땅을 상징합니다. 이러한 맥락에서 땅의 형세가 곤(坤)의 모습을 나타냅니다. 이 대지는 인류를 비롯하여 동식물 등 모든 생명체의 터전이 되고 있습니다. 군자는 이와 같은 대지의 특성과 기운을 본받아 넓은 덕성으로 만물을 포용하는 자세를 갖추어야 합니다. 따라서 현대 사회에서 인종, 민족, 국가, 종교 등 다양한 차이로 구분된 인류를 어떻게 포용할 것인가 하는 것이 오늘날 군자가 마주한 중요한 과제라 하겠습니다.
효사와 효상사
초육(初六)
履霜하면 堅冰이 至하나니라.
이상 견빙 지
초육은 중지곤괘의 가장 아래에 위치한 순수한 음의 위치입니다. 곤(坤)이 대지의 형세를 나타내듯이, 자연의 순환 속에서 계절의 변화가 일어납니다. 특히 음기(陰氣)가 응결되어 서리(霜)가 맺히는 현상이 나타나며, 이 서리가 쌓이면서 단단한 얼음으로 변화합니다. 이는 천지자연의 법칙을 따르는 것으로(「계사상전」 제4장:易이 與天地準이라), 음양의 상승과 하강 원리에 따라 중지곤괘는 음력 10월(孟冬)을 상징합니다. 이 시기에 순수한 음의 기운이 최고조에 달하고, 이어지는 음력 11월(仲冬, 동짓달)에는 최초의 양기(一陽)가 생성되어 음의 기운이 점차 응결되어 갑니다.
자연의 순리에 따라 서리가 얼음으로 변화하듯이, 인류는 이 대지에서 역사적 발전을 이루어 나갑니다. 이러한 발전 과정은 곤(坤)의 순응하는 덕성을 통해 실현되어야 합니다. 초육 효사에 대한 효상전의 해석은 다음과 같습니다.
象曰 履霜堅冰은 陰始凝也니 馴致其道하야 至堅冰也하나니라.
상왈 이상견빙 음시응야 순치기도 지견빙야
상전에 말하였다. “서리를 밟으면 굳은 얼음이 이르는 것은 음이 비로소 엉기는 것이니, 그 도를 순하게 이루어서 굳은 얼음에 이르게 한다.”
서리가 굳은 얼음으로 변화하는 현상은 곤괘의 첫 번째 음의 기운이 응결되기 시작함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자연스러운 변화의 과정에서, 초기 응결 단계부터 도(道)의 원리에 따라 순차적으로 진행되어 최종적으로 견고한 얼음의 상태에 도달하게 됩니다.
육이(六二)
直方大라 不習이라도 无不利하니라.
직방대 불습 무불리
육이는 곧고 모나고 크다. 익히지 않아도 이롭지 않음이 없다.
두 번째 효인 육이는 음자리에 음이 자리하여 위치가 적절하며, 내괘의 중심을 차지하여 중정(中正)의 성질을 갖추고 있습니다. 이는 곤(坤)의 도를 충실히 구현하는 형상입니다. 이처럼 곤(坤)의 덕성을 온전히 계승하여 정직하고 체계적이며 포용력 있는 덕목을 갖추고 있습니다. 이와 같이 곤도(坤道)의 원리를 자연스럽게 체득하여, 특별한 학습 없이도 모든 일이 순조롭게 진행됩니다. 육이 효사에 대한 효상전의 해석은 다음과 같습니다.
象曰 六二之動이 直以方也니 不習无不利는 地道 光也라.
상왈 육이지동 직이방야 불습무불리 지도 광야
상전에 말하였다. “육이의 움직임이 곧고 방정하니, 익히지 않아도 이롭지 않음이 없는 것은 땅의 도가 빛나는 것이다.”
육이효가 변화하여 음이 양으로 전환되면 내괘는 감(☵)이 되며 내호괘는 진(☳)이 됩니다. 이는 중정의 도를 수호하면서도 진괘의 우레(☳)와 같이 단정하고 올바른 도를 구현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익히지 않아도 이롭지 않음이 없다'는 표현은 곤의 도를 중정하게 계승함으로써 나타나는 광명한 덕성을 나타냅니다.
육삼(六三)
含章可貞이니 或從王事하야 无成有終이니라.
함장가정 혹종왕사 무성유종
육삼은 빛남을 머금어 가히 바르게 하니, 혹 왕의 일을 좇아서 이룸은 없되 마침은 있다.
육삼효는 양의 자리에 음이 위치하여 양의 기운을 내포하고 있습니다. 이 효가 변화할 때, 내괘는 간(☶)이 되며, 내호괘는 감(☵), 외호괘는 진(☳)으로 전환됩니다. 이러한 구조에서 감(☵)의 기운으로 빛을 포용하고, 간(☶)의 덕으로 올바름을 유지하며, 진(☳)의 성질로 군왕의 업무를 보좌합니다. 그러나 본 괘는 하늘의 이치를 계승하는 곤(坤)의 도리이므로, 주도적으로 성과를 이루려 하기보다는 보조적 역할을 수행하며 일을 완수하게 됩니다. 육삼 효사에 대한 효상전의 해석은 다음과 같습니다.
象曰 含章可貞이나 以時發也오 或從王事는 知光大也라.
상왈 함장가정 이시발야 혹종왕사 지광대야
상전에 말하였다. “빛남을 머금어 가히 바르게 하지만 때로 발하고, 혹 왕의 일을 좇음은 앎이 빛나고 큰 것이다.”
육삼효는 양의 자리에 음으로 위치하여 내재된 빛남을 적절히 드러내며 정도를 유지합니다. 그러나 이는 단순히 수동적인 상태가 아닙니다. 육삼효가 변화하여 외호괘가 진☳이 될 때, 상황의 필요에 따라 그 역량을 적절히 발현합니다. 따라서 왕의 정무에 참여할 때에도 자신의 공적을 추구하지 않고 완수에만 집중하는데, 이는 그 통찰력과 지혜의 깊이를 보여주는 것입니다.
육사(六四)
括囊이면 无咎며 无譽리라.
괄낭 무구 무예
육사는 주머니를 매면 허물이 없으며 명예로움도 없을 것이다.
육사는 중지곤의 외괘에서 음의 자리에 위치하며, 내괘의 세 음효를 통솔하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합니다. 이는 국가의 맥락에서 백성을 다스리는 대신의 지위와 유사합니다. 육사효의 변화 시, 음에서 양으로의 전환이 일어나며, 이로 인해 내괘는 곤☷, 내호괘는 간☶, 외호괘는 감☵, 그리고 외괘는 진☳의 형태를 이룹니다. 이러한 구조에서 내괘 곤☷의 백성들을 간☶의 포용력 있는 덕으로 보살펴야 하므로 '괄낭(括囊)'이라는 표현이 사용됩니다. 이러한 포용적인 덕의 실천은 과오를 방지하지만, 이는 대신(大臣)으로서의 기본적 책무이므로 특별한 영예로 간주되지 않습니다.
육사효의 변화로 괘가 뇌지예(雷地豫)괘로 전환되면서, '예(豫)'의 성질인 즐거움과 예측의 의미가 나타납니다. 이때 외괘가 진☳으로 변화하여 과도한 즐거움이나 부적절한 예언을 할 수 있는 위험이 있으므로, 외호괘의 감☵의 성질을 통해 신중함을 강조하여 '입 주머니를 매라(括囊)'는 가르침을 주고 있습니다.
육사효는 중지곤의 내괘에서 외괘로 이어지는 첫 번째 위치에 자리잡고 있습니다. 이는 내괘와 외괘, 하늘과 땅, 그리고 군주와 백성 사이의 소통을 매개하는 핵심적인 위치입니다. 효상전에서는 이러한 의미를 다음과 같이 해석하고 있습니다.
象曰 括囊无咎는 愼不害也라.
상왈 괄낭무구 신불해야
상전에 말하였다. “주머니를 매서 허물이 없는 것은 삼가면 해롭지 않은 것이다.”
육사는 대신의 직책을 수행하며 국가와 백성 간의 연결 고리 역할을 담당합니다. 신중하고 적절한 처신을 통해 자신의 안위뿐만 아니라 국가와 백성의 안녕을 도모할 수 있습니다.
육오(六五)
黃裳이면 元吉이리라.
황상 원길
육오는 누런 치마면 크게 길할 것이다.
육오는 중지곤괘의 외괘에서 중심 위치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오행의 원리에 따르면 황색은 중앙을 상징하므로, '누렇다'는 표현은 외괘의 중심을 지키며 중도를 실천해야 함을 나타냅니다. 의복에서 '의(衣)'는 상의를, '상(裳)'은 하의를 지칭합니다. 따라서 '누런 치마(黃裳)'는 신하의 위치에서 중도의 원칙을 바탕으로 군주를 보필해야 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춘추전》에서는 남괴가 반란을 계획하며 점을 쳐서 이 효를 얻어 "크게 길하다"는 결과를 받았습니다. 이에 대해 자복혜백은 다음과 같이 분석했습니다: "충성스럽고 신뢰할 수 있는 행위라면 적절하나, 그렇지 않다면 실패가 불가피합니다. 외면의 강건함과 내면의 온화함이 충성이며, 조화로운 가운데 정도를 따르는 것이 신의입니다. '누런 치마면 길하다'라는 구절에서 '황'은 중심을 상징하는 색이며, '상'은 하단의 장식을, '원'은 선의 정점을 의미합니다. 중심에 충성이 없다면 그 색을 얻지 못하고, 아래에서 공경심이 부족하다면 그 장식을 이루지 못하며, 행위가 올바르지 않다면 그 궁극의 결실을 맺지 못할 것입니다. 더욱이 역은 부적절한 일에 대해 점을 칠 수 없으므로, 충성・공경・선행이라는 세 가지 요소 중 하나라도 결여되었다면, 이 효를 얻더라도 길한 결과를 기대할 수 없습니다." 실제로 이후 남괴는 패배하였으니, 이는 점술의 원리를 이해하는 중요한 사례가 되었습니다.(春秋傳에 南蒯 將叛할새 筮得此爻하야 以爲大吉이라하여늘 子服惠伯이 曰忠信之事則可커니와 不然이면 必敗하리라. 外强內溫은 忠也요 和以率貞은 信也라. 故로 曰黃裳元吉이라하니 黃은 中之色也요 裳은 下之飾也요 元은 善之長也라. 中不忠이면 不得其色이요 下不共이면 不得其飾이요 事不善이면 不得其極이라. 且夫易은 不可以占險일새 三者 有闕이면 筮雖當이라도 未也라하더니 後에 蒯 果敗하니 此可以見占法矣로다.)
육오 효사에 대해 효상전은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
象曰 黃裳元吉은 文在中也라.
상왈 황상원길 문재중야
상전에 말하였다. “누런 치마면 크게 길한 것은 문채가 가운데 있는 것이다.”
'누런 치마면 크게 길하다'는 의미는 육오의 현명한 신하가 중도(中道)의 원칙을 지키며 상하 관계를 원활히 조율함으로써, 그 덕의 광채가 중심에서 빛나는 것을 나타냅니다.
상육(上六)
龍戰于野하니 其血이 玄黃이로다.
용전우야 기혈 현황
상육은 용이 들에서 싸우니 그 피가 검고 누르도다.
상육효는 중지곤괘의 최상단에 위치하여 음의 기운이 최고조에 달합니다. 천기와 지기는 서로 교류하며 만물을 생성하고 양육하는데, 상육효는 이러한 천지의 상호작용을 상징적으로 보여줍니다. 여기서 용은 중천건괘의 육룡을, 들은 중지곤괘의 대지를 나타냅니다. 지상 최고점에서 음기가 극에 달하여 하늘의 양기를 끌어들이는데, 이때 하늘의 육룡이 땅으로 내려와 음기와 만나는 것이 '용전우야'의 의미입니다. 이러한 음양의 교감으로 인해 땅의 황색 음기와 하늘의 흑색 양기가 조화를 이루어 현황색의 정혈이 형성됩니다.
상육효에 대해 효상전은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
象曰 龍戰于野는 其道 窮也라.
상왈 용전우야 기도 궁야
상전에 말하였다. “용이 들에서 싸우는 것은 그 도가 궁한 것이다.”
용이 들에서 싸우는 것은 음의 도가 극점에 도달하여 한계에 이르렀음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새로운 방향으로의 전환을 고려해야 합니다.
용육사·용육상사
用六은 利永貞하니라.
용륙 이영정
용육은 오래 바르게 함이 이롭다.
중지곤괘에서 여섯 음의 활용에 있어, 부드러운 덕성을 함양하며 지속적으로 정도를 걸어야 이롭습니다. 이는 64괘의 384효 중 절반을 차지하는 192개의 음효 전체에 적용되는 기본 원칙입니다. 이러한 원리에 대해 상전은 다음과 같이 해설하고 있습니다.
象曰 用六永貞은 以大終也라.
상왈 용륙영정 이대종야
상전에 말하였다. “용육이 오래 바르게 하면 이로운 것은 크게 마치는 것이다.”
음의 도리는 양을 주도하는 것이 아니라, 양을 보완하고 완성하는 것에 있습니다. 고전에서는 '앞서면 멀어지고 뒤따르면 성취한다'라고 하였으며, '군왕을 보좌함에 있어 주도하지 않고 완성하는 데 중점을 둔다'고 하였고, '누런 치마의 길함'을 강조하였습니다. 따라서 음이 올바른 길을 걸을 때, 양의 사업, 즉 하늘의 뜻이 지상에서 온전히 실현되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