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료 만세력
home
격국 찾기
home

1. 중천건

괘의

천지의 운행이 쉬지 않는 것과 같이 끊임없이 노력하라(自强不息).

괘명과 괘상

내괘와 외괘가 모두 하늘을 상징하는 건천(乾天)☰으로 구성되어 있어 '중천건'괘라고 명명됩니다. '중천(重天)'은 내괘와 외괘가 하늘괘☰로 중첩된 형상(象)을 의미하며, '건(乾)'은 하늘이 이중으로 겹쳐져 여섯 효가 모두 양의 기운으로 구성된 괘의 명칭입니다. 즉, '건(乾)'은 괘의 이름이며 '중천(重天)'은 건괘의 구조적 형상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중천건'이라는 명칭에서는 내괘와 외괘가 모두 순수한 양의 기운으로 이루어진 괘의 본질적 특성을 이해해야 합니다.
우주의 존재로 인해 항성(恒星)이 존재하며, 지구의 존재로 인해 만물이 존재합니다. 하늘과 우주는 모든 존재의 근본이 됩니다. 우리는 우주의 원리를 이해하기 위해 노력해야 합니다. 선천팔괘는 우주의 실상(實相)을 체계적으로 표현한 것입니다. 하늘이 상부에, 땅이 하부에 위치하고, 해와 달이 좌우로 운행하는 선천팔괘의 기본 원리를 주목해야 합니다.

언제 없어질 지 모르는 할인쿠폰!

명리학을 잘 활용하는 것은 주어진 운세에 맞게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것이에요! 이 더큼만세력을 만든 허유는 현재 희신세운을 맞이했어요. 때문에 적극적으로 사람들과 소통하기 위한 기회를 만들고 있답니다!
병화용신의 대표적인 재능은 ‘소통’이랍니다.
할인코드: pro5050
더큼만세력 바로가기

괘사

乾은 元코 亨코 利코 貞하니라. 건    원    형    이   정 건은 원하고 형하고 이하고 정하다(건은 크고 형통하고 이롭고 바르다). 乾:하늘 건 元:으뜸 원 亨:형통할 형 利:이로울 리 貞:곧을 정·바를 정
우리 인류는 자연의 순환 법칙을 가장 명확하게 사계절의 변화를 통해 이해할 수 있습니다. 천체의 운행에 따른 음양의 변화는 체계적인 질서를 보여줍니다. 봄에는 양기의 영향으로 생명이 소생하며(元), 여름에는 만물이 번성하여 성장의 절정에 이르고(亨), 가을에는 음기가 작용하여 풍성한 수확을 맺으며(利), 겨울에는 음기 속에 양기가 잠재되어 새로운 시작을 준비합니다(貞). 이러한 자연의 순환 원리가 바로 원형이정의 사덕(四德)으로 체계화된 것입니다.
인간은 하늘의 원형이정(元亨利貞) 사덕을 모범으로 삼아 각 계절의 덕목을 체계적으로 실천해야 합니다. 봄의 원덕(元德)은 어짊(仁)으로, 여름의 형덕(亨德)은 예(禮)로, 가을의 이덕(利德)은 의로움(義)으로, 겨울의 정덕(貞德)은 지혜(智)로 승화시켜야 합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하늘의 사덕인 원형이정(元亨利貞)은 인간 세상에서 인예의지(仁禮義智)라는 덕목으로 구현됩니다.

효사

초구(初九)

潛龍이니 勿用이니라. 잠룡      물용 초구는 잠겨 있는 용이니 쓰지 말라.
건괘의 첫 번째 양효인 초구는 잠재된 용의 형상을 나타냅니다. 이는 아직 적절한 시기가 도래하지 않았으며, 필요한 역량이 충분히 갖추어지지 않은 상태를 의미하므로 행동을 자제해야 합니다. 초구의 양효가 음효로 변화하면 내괘는 손풍(巽風)☴이 되어, 겸양의 자세로 자신의 때를 기다려야 함을 시사합니다.
「설괘전」 제8장에 따르면 건(乾)☰과 곤(坤)☷은 각각 말과 소를 상징합니다. 그러나 중천건괘는 우주의 근본 원리를 나타내므로, 지상의 일반적인 동물이 아닌 하늘을 상징하는 신비로운 존재인 용(龍)으로 표현됩니다.

구이(九二)

見龍在田이니 利見大人이니라. 현룡재전      이견대인 구이는 나타난 용이 밭에 있으니 대인을 봄이 이롭다.
중천건괘의 두 번째 양인 구이에서는, 초구에서 잠재되어 있던 용이 현실 세계로 나타납니다. 이는 용이 밭(田), 즉 현실 사회에 모습을 드러낸 것을 의미합니다. 그러나 이 단계에서는 독자적으로 앞장서기에는 아직 이르므로, 구이는 자신을 지도할 수 있는 현명한 대인을 찾아야 합니다. 이는 마치 청소년기에 적절한 스승의 지도가 필요한 것과 같습니다. 구이효가 변화하여 양이 음으로 전환되면 내괘는 이화(離火)☲가 되어 '밝음(明)'과 '출현(見․現)', '관찰(見)'의 의미가 도출되며, 내호괘는 손풍(巽風)☴이 되어 겸손한 자세로 스승의 가르침을 받아 역량을 향상시켜야 하는 상황을 나타냅니다.

구삼(九三)

君子가 終日乾乾하야 夕惕若하면 厲하나 无咎리라. 군자    종일건건      석척약       려      무구 구삼은 군자가 날을 마치도록 굳세고 굳세어서 저녁에 두려운 듯 하면 위태로우나 허물이 없을 것이다.
중천건괘의 구삼효는 양의 자리에 양이 위치하여 강건한 기운을 보여줍니다. 이 삼효는 내괘에서 외괘로 전환되는 중요한 위치에 있어 신중한 대처가 필요합니다. 천지인 삼재의 관점에서 삼효와 사효는 인간을 상징하는데, 내괘에 위치한 구삼의 군자는 외괘로의 진전을 위해 지속적인 노력이 요구됩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하루를 마무리하며 겸손한 자세로 성찰한다면, 비록 도전적인 상황이더라도 군자로서의 품격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구삼효가 변화하여 양에서 음으로 전환되면 내괘는 태택(兌澤)☱이 되는데, 후천팔괘에서 태(兌)는 가을과 저녁을 의미하므로, 현재(선천)를 마무리하고 미래(후천)를 준비하는 성찰의 시기를 나타냅니다.

구사(九四)

或躍在淵하면 无咎리라. 혹약재연      무구 구사는 혹 뛰어서 연못에 있으면 허물이 없을 것이다.
네 번째 양효인 구사는 이전 효들을 거치며 지속적으로 덕성과 역량을 함양하여 내괘에서 외괘로 진전한 상태로서, 자신의 능력을 검증하는 위치에 있습니다. 이는 용의 덕성을 갖추어 자신을 시험하는 단계로, 성공 시에는 구오의 대인과 같은 능력을 발현할 수 있으며, 비록 성공하지 못하더라도 그것이 과오로 귀결되지는 않습니다.
구사효가 변화하면 양이 음으로 전환되어 내호괘는 태(兌)☱가 되어 연못의 상을 나타내며, 외호괘는 이(離)☲로서 밝은 덕성을 상징합니다. 또한 외괘가 손(巽)☴이 되어 구오 대인의 위치에 이르지 못하고 연못에 머무를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구사가 음위에 양효로 위치하여 적절하지 않은 자리에 있으므로, 상승하는 용의 형상을 이루지 못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구오(九五)

飛龍在天이니 利見大人이니라. 비룡재천      이견대인 구오는 나는 용이 하늘에 있으니 대인을 봄이 이롭다.
구오는 양의 자리에서 올바른 위치를 차지하고 있으며, 외괘의 중심에 위치하여 중정(中正)의 상태를 이루고 있습니다. 이는 마치 충분한 덕성과 능력을 갖춘 용이 하늘로 비상하는 것과 같습니다. 그러나 구오 역시 천하의 대업(天下事)을 함께 이룰 현명한 조력자인 대인(구이)과의 만남이 필요합니다. 구오의 양이 음으로 변화하면 외괘는 이(離)☲가 되어, 문명의 빛으로 천하를 밝게 비추는 상징이 됩니다.

상구(上九)

亢龍이니 有悔리라. 항룡      유회 상구는 높은 용이니 뉘우침이 있을 것이다.
상구효는 가장 높은 위치에서 음자리에 양효가 자리하여 그 위치가 적절하지 않습니다. 더욱이 상구효가 변화하면 양이 음으로 전환되어 외괘가 태(兌)☱가 되는데, 이는 석양이 지는 것과 같은 상황을 의미합니다. 이처럼 시기가 이미 쇠퇴하는 상황임에도 지나치게 높은 위치에 머무르려 하니 후회가 따르게 됩니다.

용구사

用九는 見群龍호대 无首하면 吉하리라. 용구    견군룡      무수       길 용구는 뭇 용을 보되(뭇 용이 나타나되) 머리함이 없으면 길할 것이다.
용구(用九)는 중천건괘의 모든 효위에서 구양(九陽)의 기운이 작용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중천건괘의 초구에서 상구까지 여섯 양의 용이 드러나는데, 이들이 각자의 양강(陽剛)한 본성을 유지하면서도 서로 앞다투지 않을 때 길합니다. 이는 움직임 속에서도 고요함을 잃지 않는 동중정(動中靜)의 자연원리이자 마음의 법도(心法)입니다.
중천건괘의 구조는 순수한 양의 기운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처럼 강한 양의 기운이 발현될 때에는 조화로운 원칙을 고려해야 합니다. 각 효위의 변화를 살펴보면, 초구부터 구사까지의 변화는 모두 손(巽)☴괘로 전환되어 겸양의 자세가 필요함을 시사합니다. 구오효는 천하를 다스리는 지도자의 위치로서, 이(離)☲괘로 변화하여 문명의 광명을 상징합니다. 마지막으로 상구효는 최상위에 위치하여 과도하게 상승한 상태로, 태(兌)☱괘로 변화하여 시대의 종말을 암시합니다.
이는 주역의 모든 384효에 내재되어 있는 양효(陽爻)의 보편적 원리입니다. 양(陽)의 기운은 본질적으로 강건하고 활발한 특성을 지니고 있으나, 이상적인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움직임 속에서도 중용을 지키는 동중정(動中靜)의 원리를 실천해야 합니다.

단사

彖曰大哉라 乾元이여. 萬物이 資始하나니 乃統天이로다. 단왈대재    건원       만물    자시         내통천 雲行雨施하야 品物이 流形하나니라. 운행우시       품물   유형 大明終始하면 六位時成하나니 時乘六龍하야 以御天하나니라. 대명종시       육위시성         시승육룡      이어천 乾道 變化에 各正性命하나니 保合大和하야 乃利貞하니라. 건도 변화    각정성명         보합대화       내이정 首出庶物에 萬國이 咸寧하나니라. 수출서물    만국    함녕 단전에 말하였다. “크도다! 하늘의 원이여. 만물이 바탕하여 비롯하니 이에 하늘을 거느린다. 구름이 행하며 비를 베풀어서 만물(품물)이 형상을 이룬다. 마침과 비롯함을 크게 밝히면 여섯 자리(위)가 때로 이루어지니, 때로 여섯 용을 타서 하늘을 거느린다. 건의 도가 변화함에 각기 성과 명을 바르게 하니, 크게 화함을 보전하고 합해서, 이에 이롭고 바르다. 뭇 물건에 머리로 나옴에 만국이 다 편안하다.”
단전(彖傳)은 괘사(卦辭)의 심오한 의미를 체계적으로 해석한 문헌입니다.
우주의 광대함은 실로 형언할 수 없습니다. 노자(老子)의 《도덕경》 제25장에서는 이를 다음과 같이 설명합니다.
혼돈 속에서 형성된 하나의 존재가 천지보다 앞서 존재했습니다. 이는 적막하고 광활하여, 독자적으로 존재하며 변함이 없고, 순환하되 위태롭지 않아 천하의 근원이라 할 수 있습니다. 그 이름을 알 수 없어 '도(道)'라 명명하고, 그 특성을 '대(大)'라 표현했습니다. '대(大)'란 끝없이 흘러감이며, 이는 무한한 확장을 의미하고, 이 확장은 결국 근원으로 회귀합니다. 따라서 도(道)는 위대하고, 천(天)은 위대하며, 지(地)는 위대하고, 왕(王) 또한 위대합니다. 우주 안에는 이 네 가지의 위대함이 존재하며, 왕은 그 중 하나의 위치를 차지합니다. 인간은 땅을 본받고, 땅은 하늘을 본받으며, 하늘은 도를 본받고, 도는 자연을 본받습니다.(有物混成하여 先天地生이라. 寂兮寥兮여 獨立不改하고 周行而不殆하니 可以爲天下母니라. 吾不知其名일새 字之曰道요 强爲之名曰大라하니라. 大曰逝요 逝曰遠이요 遠曰反이니라. 故로 道大하고 天大하고 地大하고 王亦大하니 域中에 有四大호대 而王居其一焉이니라. 人法地하고 地法天하고 天法道하고 道法自然이니라.)
우주의 근원적 기운을 토대로 만물이 생성되며, 이 기운이 천체의 운행을 주관합니다. 하늘의 기운은 기상 현상을 통해 만물의 생장을 촉진합니다. 우주의 모든 존재는 자연스러운 순환 속에서 시작과 끝을 반복하며, 이러한 순환의 원리를 이해하면 여섯 단계의 변화 과정이 드러나고, 각 단계마다 적절한 대응이 이루어져 천도를 따르게 됩니다. 건괘의 원리에 따라 만물은 하늘로부터 부여받은 본성과 운명을 올바르게 실현하며, 이를 통해 조화로운 질서를 이루고 상생의 이치를 구현합니다. 이러한 하늘의 근원적 기운이 만물에 스며들어 세상 만국이 안정과 평화를 이루게 됩니다.

괘상사

象曰天行이 健하니 君子 以하야 自彊不息하나니라. 상왈천행    건      군자 이       자강불식 상전에 말하였다. 하늘의 운행이 굳세니, 군자가 이를 본받아 스스로 굳세어 쉬지 않는다.
괘상사는 중천건괘의 상징적 의미를 체계적으로 해석한 문헌입니다. 내괘와 외괘가 모두 하늘을 상징하여, 끊임없이 역동적으로 운행하는 하늘의 본질을 표현합니다. 하늘의 운행은 한순간의 정지도 없이 지속적으로 진행되며, 만약 이러한 운행이 중단된다면 자연계의 모든 생명 활동이 정지하게 될 것입니다. 이러한 하늘의 원리를 본받아 군자는 자신을 하늘의 강건함에 맞추어 지속적으로 정진하는 것입니다.

효상사

潛龍勿用은 陽在下也오 잠룡물용    양재하야 잠긴 용이니 쓰지 말라는 것은 양이 아래에 있음이요
효상사는 중천건괘의 각 효에 대한 상징적 해석과 그 의미를 체계적으로 설명하는 문헌입니다.
초구효의 경우, 순수한 양의 기운을 지닌 중천건괘의 최하단에 위치하여 '잠긴 용이니 쓰지 말라'는 해석이 도출됩니다. 중천건괘의 여섯 효는 천지인(天地人) 삼재(三才)의 원리에 따라 구분됩니다. 이때 하늘은 상단, 땅은 하단, 만물은 중단에 배치되어, 초효와 이효는 땅, 삼효와 사효는 만물(사람), 오효와 상효는 하늘의 영역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초효는 땅의 영역 중에서도 가장 아래에 위치하여 땅속에 잠겨 있는 형상을 상징합니다.
見龍在田은 德施普也오 현룡재전    덕시보야 나타난 용이 밭에 있다는 것은 덕을 베풂이 넓음이요
구이효의 '나타난 용(見龍)이 밭에 있다'는 표현은, 현실 세계에 모습을 드러낸 용이 자신의 덕을 널리 베풀며 공헌하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終日乾乾은 反復道也오 종일건건    반복도야 종일토록 굳세고 굳셈은 도를 반복함이요
구삼효의 군자가 하루 종일 굳건하게 정진하는 것은 천지자연의 법칙을 근간으로 하여 끊임없이 수행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或躍在淵은 進이 无咎也오 혹약재연    진    무구야 혹 뛰어서 연못에 있음은 나아감이 허물이 없음이요
'혹 뛰어서 연못에 있다'는 표현은 군자가 시대적 요구에 부응하고자 도를 성실히 실천하며 전진하는 모습을 의미하니, 이는 올바른 행보라 하겠습니다.
飛龍在天은 大人造也오 비룡재천    대인조야 나는 용이 하늘에 있음은 대인의 지음이요
구오의 비룡(飛龍)이 하늘에 있다는 것은 천지의 원리와 덕성을 완전히 체득하신 대인께서 사계절의 자연 순환을 따르고, 만물의 길흉을 조화롭게 다스리면서 천하의 대업을 수행해 나가시는 것을 의미합니다.
亢龍有悔는 盈不可久也오 항룡유회    영불가구야 높은 용이 후회가 있음은 차서 가히 오래하지 못함이요
상구의 항룡(亢龍)은 자연의 순환 법칙을 반영합니다. 달의 차고 기움과 같이, 양기운이 절정에 이른 여름 이후에는 음기운이 우세한 가을이 도래합니다. 이는 과도한 욕심이 결국 한계에 도달하여 쇠퇴로 이어지는 원리를 시사하며, 이러한 상태는 지속 가능하지 않음을 의미합니다.

용구상사

用九는 天德은 不可爲首也라. 용구    천덕    불가위수야 구를 쓰는 것(용구)은 하늘의 덕은 가히 머리할 수 없는 것이다.
천체들은 태양을 중심으로 정밀하게 계산된 궤도를 따라 지속적으로 운행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정교한 균형이 무너져 어느 하나라도 그 궤도를 이탈하게 되면, 전체 우주의 질서가 교란될 수 있습니다. 마찬가지로, 원형이정의 사덕에서도 어느 한 요소가 과도하게 되면 자연의 조화로운 균형이 깨어질 수 있습니다. 이러한 우주의 원리는 인간 사회에도 적용되어, 군자는 항상 겸허한 자세로 자신의 위치를 지켜야 함을 시사합니다.

다음 괘

이전 괘

주역 바로가기

상경
하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