괘의
하나의 씨앗에서 아름드리나무가 이루어지듯이 모든 현상은 미미한데서 시작되어 크게 이루어진다. 큰 것을 이루려면 항상 작은 것부터 충실히 하라(積小高大).
괘명과 괘상
외괘가 곤지(坤地)☷, 내괘가 손풍(巽風)☴으로 이루어진 괘를 '승(升)'이라고 합니다. 내괘의 손(巽)☴ 음목(陰木)이 외괘의 곤지(坤地)☷ 땅 위로 자라서 올라간다는 의미입니다. 이는 승진하고, 상승하며, 순탄하게 일이 진행된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또한 내괘 손☴으로 겸손하면서도 외괘 곤☷으로 순한 덕을 갖추면 모든 일이 원활하게 진행됩니다. 아울러 외호괘가 진뢰(震雷)☳이므로 외괘의 순한 곤지(坤地)☷ 땅으로 역동적인 발전이 가능합니다.
서괘
萃者는 聚也니 聚而上者를 謂之升이라 故로 受之以升하고
취자 취야 취이상자 위지승 고 수지이승
취란 모임이니, 모여서 오르는 것을 승이라 한다. 그러므로 승(升)으로 받고
공동의 의지와 노력이 결집될 때, 물질적·정신적 성장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집니다. 이러한 원리에 따라 모임을 상징하는 취괘(萃卦) 다음에 상승을 의미하는 승괘(升卦)가 배치되었습니다.
괘사
升은 元亨하니 用見大人호대 勿恤코 南征하면 吉하리라.
승 원형 용견대인 물휼 남정 길
승(升)은 크게 형통하니, 대인을 보되 근심하지 말고 남쪽으로 가면 길할 것이다.
승(升)은 겸손과 순응의 덕목을 통해 지속적인 성장을 이루는 형상으로, 이는 매우 긍정적인 상황을 나타냅니다. 이러한 성장 과정에서 현명한 조언자와의 만남은 더욱 유익할 것입니다. 발전의 방향성을 나타내는 남쪽으로의 진행은 성공적인 결과를 약속합니다. 내괘의 손(巽)☴은 음목(陰木)의 성질을 지닌 나무로서, 후천팔괘방위에서는 봄의 시기를 상징합니다. 식물의 건강한 생장을 위해서는 적절한 태양광이 필수적입니다. 외괘인 곤지(坤地)☷는 후천팔괘방위에서 서남방(西南方)에 위치하며, 내괘 손풍(巽風)☴의 동남방(東南方)에서 외괘 곤지(坤地)☷의 서남방(西南方)으로의 이동은 여름의 남방(南方) 이화(離火)☲를 경유하게 됩니다. 단전은 이에 대해 다음과 같은 해석을 제시합니다.
단사
彖曰 柔 以時升하야 巽而順하고 剛中而應이라 是以大亨하니라.
단왈 유 이시승 손이순 강중이응 시이대형
用見大人勿恤은 有慶也오 南征吉은 志行也라.
용견대인물휼 유경야 남정길 지행야
단전에 말하였다. “유(柔)가 때로 올라가서, 겸손해서 순하고, 강한 것이 가운데 해서 응하고 있다. 이로써 크게 형통하다. ‘대인을 보되 근심하지 말라’는 것은 경사가 있는 것이고, ‘남쪽으로 가면 길하다’는 것은 뜻이 행하는 것이다.”
내괘 손(巽)☴의 부드러운 음목(陰木)은 봄철에 자연스럽게 성장하며, 내괘 손풍(巽風)☴은 겸손함을, 외괘 곤지(坤地)☷는 순응함을 나타냅니다. 내괘의 구이 강(剛)이 중심에 위치하여 외괘 육오의 음(陰)과 조화롭게 호응하므로 매우 형통합니다. '대인을 만나는 것이 유익하며 걱정할 필요가 없다'는 것은 자연스러운 성장과 발전이 이루어져 경사스럽기 때문이며, '남쪽으로 향하면 길하다'는 것은 원활한 진행을 통해 목표를 달성할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괘상사
象曰 地中生木이 升이니 君子 以하야 順德하야 積小以高大하나니라.
상왈 지중생목 승 군자 이 순덕 적소이고대
상전에 말하였다. “땅 가운데에 나무가 나오는 것이 승(升)이니, 군자가 이를 본받아 덕(德)에 순해서 작은 것을 쌓아 높고 크게 한다.”
…含抱之木은 生於毫末하며 九層之臺는 起於累土하며 千里之行은 始於足下하니라.…
대자연의 거목도 미세한 새싹에서 시작되며, 구층 누각의 웅장함도 한 줌의 흙을 반복적으로 쌓아 이루어집니다. 마찬가지로, 천리의 여정 또한 첫 발걸음으로부터 시작됩니다.
효사 및 효상사
초육(初六)
允升이니 大吉하니라.
윤승 대길
초육은 믿어서 오르니 크게 길하다.
初九는 拔茅茹라. 以其彙로 征이니 吉하니라.
초구는 띠 뿌리를 뽑는다. 그 무리로써 가니 길하다.
象曰 允升大吉은 上合志也라.
상왈 윤승대길 상합지야
상전에 말하였다. “믿어서 올라 크게 길함은 위와 뜻이 합하는 것이다.”
구이(九二)
孚乃利用禴이니 无咎리라.
부내이용약 무구
구이는 믿어서 이에 간략한 제사를 씀이 이로우니, 허물이 없을 것이다.
六二는 引하면 吉하야 无咎하리니 孚乃利用禴이리라.
육이는 이끌면 길하여 허물이 없을 것이니, 믿어서 이에 간략한 제사를 올림이 이로울 것이다.
象曰 九二之孚는 有喜也라.
상왈 구이지부 유희야
상전에 말하였다. “구이의 믿음은 기쁨이 있는 것이다.”
구삼(九三)
升虛邑이로다.
승허읍
구삼은 빈 읍에 오르도다.
구삼은 비록 중심적 위치에는 있지 않으나, 양의 본질과 자리가 조화를 이루며 내괘 손(巽)☴의 위치에서 겸양의 미덕을 체현하고 있습니다. 더불어 외호괘 진뢰(震雷)☳의 역동적 기운을 통해 외괘 곤지(坤地)☷의 미개발 지역으로 진출하게 됩니다. 이러한 조건들이 구삼의 안정적 상승을 보장하는 요인이 됩니다.
象曰 升虛邑은 无所疑也라.
상왈 승허읍 무소의야
상전에 말하였다. “빈 읍에 오름은 의심할 바가 없다.”
육사(六四)
王用亨于岐山이면 吉코 无咎하리라.
왕용향우기산 길 무구
육사는 왕이 기산에서 제사를 드리면 길하고 허물이 없을 것이다.
지풍승괘에서 육사는 특별한 의미를 지닙니다. 통상적으로 사효는 대신의 위치이며 오효는 왕의 위치이나, 승괘에서는 사효가 왕의 역할을 수행합니다. 이는 초육의 백성들이 봄철 파종을 통해 생산 활동을 하고 경제적 발전을 도모하는 시기에, 왕이 오효의 자리에서 내려와 사효에서 백성들과 직접 소통하며 그들의 필요를 파악하고 적절한 정책을 시행하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헌신적인 통치를 통해 육사의 왕은 궁극적으로 육오의 자리에서 천자의 지위에 오르게 됩니다.
이러한 맥락에서 육사의 왕이 기산에서 국가와 백성의 안녕을 위한 제사를 올리는 것은 매우 의미 있는 행위입니다. 기산은 주나라의 발상지로서, 이는 통치자가 국가와 백성의 근본을 충실히 받들고 겸손한 자세로 봉사한다는 것을 상징합니다.
象曰 王用亨于岐山은 順事也라.
상왈 왕용향우기산 순사야
상전에 말하였다. “왕이 기산에서 제사를 드림은 (천명을) 순히 섬기는 것이다.”
육오(六五)
貞이라아 吉하리니 升階로다.
정 길 승계
육오는 바르게 하여야 길할 것이니, 섬돌에 오르도다.
象曰 貞吉升階는 大得志也리라.
상왈 정길승계 대득지야
상전에 말하였다. “바르게 해서 길하여 섬돌에 오름은 크게 뜻을 얻는 것이다.”
상육(上六)
冥升이니 利于不息之貞하니라.
명승 이우불식지정
상육은 오르는데 어두우니, 쉬지 않는 바름이 이롭다
상육은 승괘의 최정점에 위치하여 더 이상의 상승이 제한된 상태에 놓여있습니다. 이는 지금까지의 성장 과정을 면밀히 검토하고 지속적인 자기계발을 통해 정도를 걸어야 함을 시사합니다. 최고 위치에 있을수록 자기성찰의 지혜가 요구되며, 이러한 통찰이 결여될 경우 발전이 정체되어 목표 달성이 어려워지고 기존의 성과마저 감소할 수 있습니다.
象曰 冥升在上하니 消不富也로다.
상왈 명승재상 소불부야
상전에 말하였다. “오르는데 어두움이 위에 있으니, 사라져서 부하지 못하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