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료 만세력
home
격국 찾기
home

45. 택지취

괘의

큰 일을 도모하기 위해 많은 사람들(多衆)을 모이게 할 때에는 지극한 정성으로 순하고 기쁜 마음으로 따르게 하되, 미처 생각하지 못하는 위험을 대비하여 만반의 준비를 하라(警戒不虞).

괘명과 괘상

외괘가 태택(兌澤)☱, 내괘가 곤지(坤地)☷로 이루어진 괘를 ‘취(萃)’라고 한다. 인류역사의 발전은 물(강)에서 비롯된다. 모든 도시와 국가가 물(하천)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듯, 땅 위에 연못이 있으니 천하백성이 연못으로 모여든다. ‘취(萃)’는 ‘모인다’는 뜻이다. 정치를 하는 입장에서는 백성을 하나의 마음으로 결집시키는 것이다. 나라와 백성을 위한 마음을 정성스럽게 하여 백성이 편안하게 살도록 흥기시키는 것이다.

서괘

「서괘전」은 천풍구괘 다음에 택지취괘가 온 이유를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
姤者는 遇也니 物相遇而後에 聚라 故로 受之以萃하고
구자    우야    물상우이후   취    고    수지이취
구(姤)는 만남이니, 물건이 서로 만난 뒤에 모인다. 그러므로 취(萃)로써 받고
자연의 기운이나 현실 세계의 사물이 상호작용할 때, 필연적으로 결집이 이루어집니다. 이러한 자연스러운 순서를 반영하여 만남을 의미하는 구괘(姤卦) 다음에 결집을 상징하는 취괘(萃卦)가 배치되었습니다.

괘사

萃는 (亨)王假有廟니 利見大人하니 亨하니 利貞하니라. 用大牲이 吉하니 利有攸往하니라.
취    (형)왕격유묘    이견대인      형       이정          용대생    길       이유유왕
취(萃)는 (형통하니) 왕이 사당을 둠에 지극히 하니, 대인을 봄이 이로우니, 형통하니, 바르게 함이 이롭다. 큰 희생을 씀이 길하니, 가는 바를 둠이 이롭다.
취괘(萃卦)는 국가의 구성원들을 통합하여 하나의 공동체로 결속시키는 중대한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이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통치자가 국가의 정체성을 상징하는 사당을 정성껏 관리하며, 국민 통합에 기여할 수 있는 유능한 인재를 적재적소에 배치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국가 통합이라는 핵심 과제를 수행함에 있어 원칙에 따른 운영이 필수적입니다. 아울러 국민 화합을 도모하기 위해서는 공식적인 행사나 의례를 통해 소통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긍정적인 방향으로 진전될 것입니다. 단전은 이에 대해 다음과 같이 기술하고 있습니다.

단사

彖曰 萃는 聚也니 順以說하고 剛中而應이라 故로 聚也니라.
단왈 취    취야    순이열       강중이응      고    취야
王假有廟는 致孝享也오 利見大人亨은 聚以正也일새오 用大牲吉利有攸往은 順天命也니 觀其所聚而天地萬物之情을 可見矣리라.
왕격유묘    치효향야    이견대인형    취이정야 용대생길이유유왕    순천명야 관기소취이천지만물지정    가견의
단전에 말하였다. “취(萃)는 모이는 것이니, 순해서 기뻐하고, 강한 것이 가운데 해서 응한다. 그러므로 모인다. ‘왕이 사당을 둠에 지극히 함’은 효성으로 제사를 이루는 것이고, ‘대인을 봄이 이롭고 형통함’은 모으는 것을 바름으로써 하기 때문이요, ‘큰 희생을 써서 길하여 가는 바를 둠이 이로운 것’은 천명을 따름이니, 그 모이는 바를 보아서 천지만물의 실정을 가히 볼 수 있을 것이다.”
취(萃)는 결집을 의미합니다. 내괘 곤지(坤地)☷는 순응을, 외괘 태택(兌澤)☱은 화합을 상징합니다. 외괘의 구오 군주가 강(剛)의 중정한 위치에서 내괘 육이 신하와 조화롭게 호응하여, 상하가 자연스럽게 화합하며 하나가 됩니다. '왕이 사당을 정성스럽게 관리한다'는 것은 최고의 정성으로 제례를 수행함을 의미하며, 올바른 결집을 위해서는 구오 군주의 지시 하에 백성들을 올바르게 이끌 수 있는 현명한 대인(大人)을 적재적소에 배치해야 합니다. '큰 희생을 바치는 것이 길하고 나아감이 이롭다'는 것은 천명에 순응함을 뜻하며, 이는 시대와 사회의 자연스러운 흐름을 따르는 것입니다. 이처럼 백성들이 하나의 뜻으로 모이는 양상을 통해 천지만물의 본질적 모습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괘상사

象曰 澤上於地 萃니 君子 以하야 除戎器하야 戒不虞하나니라.
상왈 택상어지 취    군자 이      제융기       계불우
상전에 말하였다. “연못이 땅 위에 한 것이 취(萃)니, 군자가 이를 본받아 병기(兵器)를 수리하여 헤아리지 못함을 경계한다.”
취괘(萃卦)는 땅 위에 위치한 연못을 상징하며, 이는 지상으로 솟아나는 샘물과 같은 형상을 나타냅니다. 샘은 국민 생활의 근간이 되며, 역사적으로 모든 문명은 수계(水系)를 중심으로 발전해왔습니다. 국민들이 수원(水源)을 중심으로 모여 안정된 생활을 영위하는 가운데, 통치자는 국민의 활력을 증진시키는 역할을 수행해야 합니다. 이처럼 국민이 결집하는 시기에는, 지도자는 국가와 국민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고려하며 국방태세를 확립해야 합니다. 따라서 국민 보호와 국가 수호를 위해 방비 체계를 정비하여 만약의 상황에 대한 대비를 강화합니다. 이는 '유비무환(有備無患)'의 원칙을 실천하는 것입니다.

효사 및 효상사

초육(初六)

有孚나 不終이면 乃亂乃萃하릴새 若號하면 一握爲笑하리니 勿恤코 往하면 无咎리라. 유부    부종      내란내취          약호       일악위소         물휼    왕       무구 초육은 믿음을 두나 끝까지 안하면 이에 어지럽고 이에 모이기 때문에, 만약 부르짖으면 조금 웃음거리가 될 것이니, 근심하지 말고 가면 허물이 없을 것이다.
초육의 위치에 있는 백성들은 본래의 자리와 맞지 않아 안정성이 부족한 상태입니다. 대중의 심리는 집단적 성향을 보이며, 때로는 모였다 흩어지는 유동성을 나타내고, 신뢰를 보이다가도 공론의 방향에 따라 즉각적으로 반응하는 특성이 있습니다.
이처럼 백성들이 초기에는 신뢰를 보이나 그것이 지속되지 못할 경우, 집단심리의 영향으로 응집과 분산이 반복되는 양상이 나타납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민심을 통합하고자 성급한 선동을 시도하면 오히려 신뢰를 잃을 수 있으나, 차분히 민심을 수렴해 나간다면 문제가 없을 것입니다. 본질적으로 민의는 다양성을 내포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象曰 乃亂乃萃는 其志亂也일새라.
상왈 내란내취    기지란야
상전에 말하였다. “이에 어지럽고 이에 모이는 것은 그 뜻이 어지럽기 때문이다.”

육이(六二)

引하면 吉하야 无咎하리니 孚乃利用禴이리라.
인      길       무구          부내이용약
육이는 이끌면 길하여 허물이 없을 것이니, 믿어서 이에 간략한 제사를 올림이 이로울 것이다.
육이는 내괘의 중심 위치에서 외괘의 중심에 있는 구오 군주와 조화롭게 상응하고 있습니다. 구오 군주의 지시를 충실히 이행하여 초육의 백성들을 적절히 인도한다면 길하며 과실이 없을 것입니다. 백성들의 지지를 얻기 위해서는 형식적인 의례가 아닌, 진정성 있는 헌신이 필요합니다. '약(禴)'이란 여름철 제례이자 상황에 맞춰 진행하는 간소한 의식을 의미합니다. 이는 백성들과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며 그들의 충성심을 확보하기 위한 지속적인 노력을 상징합니다. 육이가 백성들을 효과적으로 통솔할 수 있는 이유는 내괘의 중심을 확보하여 구오 군주와 함께 국가를 위한 확고한 신념을 유지하기 때문입니다. 다만, 육이가 변화하여 지괘(之卦)가 택수곤(澤水困)이 되면, 육이의 위치에 있는 이는 다소의 어려움을 겪게 됨을 시사합니다.
象曰 引吉无咎는 中하야 未變也일새라.
상왈 인길무구    중       미변야
상전에 말하였다. “이끌면 길해서 허물이 없는 것은 가운데 해서 변하지 않기 때문이다.”

육삼(六三)

萃如嗟如라 无攸利하니 往하면 无咎어니와 小吝하니라.
취여차여    무유리      왕       무구         소린
육삼은 모이는데 탄식한다. 이로울 바가 없으니, 가면 허물이 없지만 조금 인색하다.
육삼은 지방제후의 위치에 있으나, 중용의 덕을 갖추지 못했으며 양의 자리에 음으로 존재하여 적절하지 않은 상황에 처해 있습니다. 모든 백성이 구오 군주를 중심으로 결집하는 시기에, 지방제후인 육삼은 추종하는 이가 부재하여 안타까움을 느낍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육삼 자신에게는 유리한 점이 없습니다. 그러나 구오 군주를 향한 대중의 신뢰와 단합의 시기에, 육삼이 이에 동참한다면 과오는 없을 것입니다. 다만 지방제후로서의 지위에 지나치게 집착한다면 소인배적인 모습을 보이게 될 것입니다.
구오 군주는 지방제후인 육삼이 백성들의 이탈을 슬퍼한다는 사실을 인지하고 있음에도, 육삼의 지방제후 직위를 겸허하게 인정함으로써, 이는 결과적으로 무고한 상황으로 귀결됩니다.
象曰 往无咎는 上이 巽也일새라.
상왈 왕무구    상    손야
상전에 말하였다. “가서 허물이 없다는 것은 위(구오)가 겸손하기 때문이다.”

구사(九四)

大吉이라아 无咎리라.
대길         무구
구사는 크게 길하여야 허물이 없을 것이다.
구사의 대신(大臣)은 음의 자리에 양으로 위치하여 적절하지 않은 상황에 처해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구오 군주를 중심으로 한 통합의 시기에 신중하지 못한 언행을 보일 수 있습니다. 모든 백성과 군주 간의 소통이 구사 대신을 통해 이루어지므로, 대신의 언행이 조금이라도 부적절하다면 심각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위치에서는 매우 신중하고 올바른 행동을 통해서만 과오를 피할 수 있습니다. 군주와 백성 사이의 가교 역할을 하는 대신의 위치는 항상 세심한 주의가 요구됩니다.
象曰 大吉无咎는 位不當也일새라.
상왈 대길무구    위부당야
상전에 말하였다. “크게 길해야 허물이 없는 것은 자리가 마땅하지 않기 때문이다.”

구오(九五)

萃有位코 无咎하나 匪孚어든 元永貞이면 悔 亡하리라.
취유위    무구      비부       원영정       회 망
구오는 모이는데 자리가 있고 허물이 없으나, 믿지 않거든 착하고 오래하고 바르게 하면 뉘우침이 없어질 것이다.
구오의 위치는 외괘의 중심에서 천하 백성을 통솔할 수 있는 중요한 자리입니다. 군주로서 사당을 설립하고 운영함에 있어 진정성을 보이며, 상당한 자원을 투자하여 백성들의 지지를 확보합니다. 백성들의 신뢰가 부족할지라도, 공정하고 균형 잡힌 태도로 지속 가능한 정책을 수립하고 올바르게 실행한다면 후회할 일이 없을 것입니다.
구오의 위치가 중심적이며 백성을 통합하는 자리이나, 백성들의 신뢰가 부족할 수 있는 이유는 외괘가 태택(兌澤)☱의 형태로, 마치 저무는 석양(夕陽)과 같이 그 영향력이 감소하는 상황에 있기 때문입니다.
象曰 萃有位는 志未光也일새라.
상왈 취유위    지미광야
상전에 말하였다. “모이는 데 자리가 있다는 것은 뜻이 빛나지 않기 때문이다.”

상육(上六)

齎咨涕洟니 无咎니라.
자자체이    무구
상육은 탄식하고 탄식하며 눈물콧물을 흘리니, 허물할 데가 없다.
상육은 최상위의 위치에서 천하백성이 집결하는 시기를 맞이하고 있습니다. 비록 높은 지위를 점하고 있으나, 백성들이 구오의 군주를 추종함에 따라 상육은 고립된 상태에 처해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상육은 깊은 자성과 비통함을 표출하게 되는데, 이는 외부적 요인이 아닌 자신의 처지에서 기인한 것입니다. 상육의 위치는 높으나 심리적 안정을 찾지 못하고 있습니다. 더욱이 상육이 천하를 통합하고자 하나, 지괘가 천지비괘로 변화하여 상하 관계가 단절되는 상황에 이르러 더욱 불안정한 상태에 놓이게 됩니다.
象曰 齎咨涕洟는 未安上也라.
상왈 자자체이    미안상야
상전에 말하였다. “탄식하고 탄식하며 눈물콧물을 흘리는 것은 위에서 편안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다음 괘

이전 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