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료 만세력
home
격국 찾기
home

58. 중택태

괘의

안에서 기뻐하고 밖에서도 기뻐하니 모두가 이구동성(異口同聲)으로 기뻐하는 상황이다. 그러나 이렇게 기뻐서 들떠 있는 상황에서는 차분히 모여 함께 강습하는 것이 보다 현명한 일이다(朋友講習).
하경 ‘중택태’괘의 모습

괘명 및 괘상

내괘와 외괘가 모두 태택(兌澤)☱으로 이루어진 괘의 명칭을 '태(兌)'라고 합니다. 이는 안과 밖이 모두 기뻐한다는 의미입니다. 모든 이가 기뻐하면서 어려움을 잊고 있는 상황을 나타냅니다. 중풍손(重風巽)괘에서 새로운 명이 내려지면서 백성들이 기쁜 마음으로 새로운 명(命)과 질서를 받아들이고 있습니다. 새로운 질서를 확립하는 과정에서 백성들의 노고가 상당하지만, 지도자가 백성들을 고무진작(鼓舞振作)하여 그들이 노고(勞苦)조차 잊을 만큼 기쁘게 만들고 있습니다.

서괘

「서괘전」은 중풍손괘 다음에 중택태괘가 온 것을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
巽者는 入也니 入而後애 說之라 故로 受之以兌하고
손자    입야    입이후   열지    고    수지이태
손(巽)이란 들어감이니, 들어간 후에 기뻐한다. 그러므로 태(兌)로써 받고
손(巽)은 내면으로의 진입을 상징합니다. 안정된 거처를 찾아 정착하게 되면서 기쁨이 생겨납니다. 이러한 맥락에서 손괘(巽卦) 다음에 태괘(兌卦)가 위치하게 되었습니다. 더욱 정확한 해석으로는, 풍괘(豐卦)와 여괘(旅卦)를 통해 부적절한 행위를 교정하고, 손괘(巽卦)를 통해 새로운 지침을 확립함으로써 질서를 재정립합니다. 이에 따라 구성원들이 새로운 체계를 긍정적으로 수용하게 되므로, 손괘(巽卦) 이후에 태괘(兌卦)가 배치된 것으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괘사

兌는 亨하니 利貞하니라.
태    형      이정
태(兌)는 형통하니, 바르게 함이 이롭다.
중택태(重兌卦)는 새로운 질서 체계의 수립으로 인한 보편적 기쁨을 상징하며, 이는 궁극적으로 형통함을 나타냅니다. 다만, 올바른 방향성을 유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내외의 조화로운 기쁨이 과도해져 중용의 도를 벗어날 경우 불길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으므로, 기쁨 속에서도 정도를 지키는 것이 이롭습니다. 이에 대해 단전에서는 다음과 같이 서술하고 있습니다.

단사

彖曰 兌는 說也니 剛中而柔外하야 說以利貞이라.
단왈 태    열야   강중이유외       열이이정
是以順乎天而應乎人하야 說以先民하면 民忘其勞하고 說以犯難하면 民忘其死하나니 說之大 民勸矣哉라.
시이순호천이응호인       열이선민      민망기로 열이범난       민망기사         열지대 민권의재
단전에 말하였다. “태(兌)는 기뻐하는 것이니, 강(剛)이 가운데하고 유(柔)가 바깥해서, 기뻐함으로 바르게 함이 이롭다. 이로써 하늘에 순하고 사람에 응해서, 기뻐함으로 백성에 먼저 하면 백성이 그 수고로움을 잊고, 기뻐함으로 어려움을 범하면 백성이 그 죽음도 잊으니, 기뻐함의 큼이 백성이 권하는 것이다.”
태(兌)는 기쁨을 상징합니다. 태괘(兌卦)의 구조를 살펴보면, 내괘의 구이 강(剛)과 외괘의 구오 강(剛)이 중심에 위치하며, 육삼상육의 음(陰)은 외부에 존재합니다. 이는 기쁨이 올바른 방향으로 나아갈 때 이로움을 의미합니다. 천상과 조화를 이루고 백성들과 소통할 때 진정한 기쁨의 도가 실현됩니다.
지도자가 솔선수범하여 기쁨을 실천할 때, 백성들은 자연스럽게 노고를 잊고 따르게 됩니다. 더 나아가, 이러한 긍정적 기운으로 백성들을 고무시키면, 그들은 어려운 상황에서도 두려움 없이 앞으로 나아갈 수 있습니다. 이처럼 국가와 백성, 그리고 천도가 모두 조화롭게 어우러지는 기쁨이야말로 우리가 추구하고 장려해야 할 가치입니다. 국가적 위기 상황에서도 이러한 단합된 기쁨의 힘이 있다면, 어떠한 난관도 극복할 수 있을 것입니다.

괘상사

象曰 麗澤이 兌니 君子 以하야 朋友講習하나니라.
상왈 이택    태    군자 이      붕우강습
상전에 말하였다. “걸린 연못이 태(兌)니, 군자가 이를 본받아 벗(朋友)과 강습한다.”
중택태괘(重兌卦)는 두 연못이 상하로 연결된 형상을 나타냅니다. 내부와 외부 모두에서 기쁨이 나타나며, 태괘(兌卦)는 기쁨의 표현, 소통, 그리고 발화를 상징합니다. 이러한 맥락에서 구성원들이 함께 모여 공통된 의견을 나누며 학습하는 것이 바람직한 방향성이라 할 수 있습니다.

효사 및 효상사

초구(初九)

和兌니 吉하니라.
화태    길
초구는 화해서 기뻐하니 길하다.
초구는 태괘의 최하단에 위치하여 백성의 위치를 상징합니다. 양의 자리에 양이 위치하여 적절한 조화를 이루며, 이는 긍정적인 결과로 이어집니다. 초구의 위치가 적절하고 백성으로서의 역할이 분명하여, 상위의 구이를 따르는 데 있어 확신을 가지고 행동할 수 있습니다.
象曰 和兌之吉은 行未疑也일새라.
상왈 화태지길    행미의야
상전에 말하였다. “화해서 기뻐하여 길한 것은 행함에 의심하지 않기 때문이다.”

구이(九二)

孚兌니 吉코 悔 亡하니라.
부태    길    회 망
구이는 미덥게 기뻐하니 길하고, 뉘우침이 없어진다.
구이는 음의 자리에 양(陽)이 위치하여 자리가 적절하지 않아 일부 우려가 존재합니다. 그러나 내괘의 중심(中)을 수호하며 진정한 기쁨을 표현하여 길하며, 초구의 백성들이 조화롭게 구이의 의지를 신뢰하고 수용하여 우려가 해소됩니다. 구이가 변화하여 지괘(之卦)가 택뢰수(澤雷隨)로 전환되면서, 기쁨과 함께 순응하는 형상이 드러납니다.
象曰 孚兌之吉은 信志也일새라.
상왈 부태지길    신지야
상전에 말하였다. “미덥게 기뻐해서 길한 것은 뜻을 믿기 때문이다.”

육삼(六三)

來兌니 凶하니라.
래태    흉
육삼은 와서 기뻐하니 흉하다.
육삼의 위치는 중심성을 결여하고 있으며, 양의 자리에 음이 위치하여 적절하지 않은 상황입니다. 전체적으로 긍정적인 분위기 속에서 육삼은 본연의 위치에서 벗어나 다른 이들의 의견을 맹목적으로 추종하며 방향성 없이 움직이고 있습니다. 이처럼 중용의 도를 벗어나고 올바른 판단력을 상실한 채 타인을 무비판적으로 따르는 것은 불길한 징조입니다.
象曰 來兌之凶은 位不當也일새라.
상왈 래태지흉    위부당야
상전에 말하였다. “와서 기뻐해서 흉한 것은 자리가 마땅하지 않기 때문이다.”

구사(九四)

商兌未寧이니 介疾이면 有喜리라.
상태미녕       개질      유희
구사는 기쁨을 헤아려서 편안하지 않으니, 분별해서 미워하면 기쁨이 있을 것이다.
구사는 음의 자리에 양이 위치하여 정위(正位)를 벗어났으나, 전체적으로는 대신(大臣)의 위치를 점하고 있습니다. 대신의 직분을 수행해야 하는 구사는 구오의 명령을 충실히 이행해야 하지만, 부적절한 위치에 있고 육삼 음(陰)과 근접해 있어 심리적 동요를 겪고 있습니다. 이로 인해 표면적인 기쁨 속에서도 내적 불안정을 경험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명확한 판단으로 육삼의 부적절한 영향력을 차단한다면 진정한 기쁨을 얻을 수 있습니다. 국사를 담당하는 대신으로서 구사가 신중한 분별력을 발휘하여 구오 군주의 통치 방침을 충실히 이행한다면, 국가의 번영을 이끌어낼 수 있으며, 이는 곧 구사 개인의 기쁨이 국가적 경사로 승화되는 것입니다.
象曰 九四之喜는 有慶也라.
상왈 구사지희    유경야
상전에 말하였다. “구사의 기쁨은 경사가 있는 것이다.”

구오(九五)

孚于剝이면 有厲리라.
부우박       유려
구오는 깎는데 믿으면 위태함이 있을 것이다.
구오는 외괘의 중심에 위치한 군주의 자리에 있습니다. 군주로서 국가를 통치하며 백성들의 행복을 증진시켜야 하는 책무가 있습니다. 하지만 상단에 있는 음(陰)의 기운은 양(陽)의 힘을 약화시키는 부정적 요소입니다. 따라서 구오의 군주가 상육의 음(陰)에 지나치게 의존하게 되면, 상육의 음이 구오의 양을 손상시켜 위험한 상황이 초래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경고는 구오가 중심적이고 정당한 위치에 있기에, 잠재적 위험 요소를 미리 인지하고 대비해야 함을 시사합니다.
象曰 孚于剝은 位正當也일새라.
상왈 부우박    위정당야
상전에 말하였다. “깎는데 믿는다는 것은 자리가 정당하기 때문이다.”

상육(上六)

引兌라.
인태
상육은 이끌어서 기뻐한다.
상육은 태괘의 최상단에 위치하여 균형을 상실하고 과도한 환희에 빠진 상태입니다. 그러나 백성들은 구오의 공정하고 균형 잡힌 통치에 진정한 기쁨을 느끼고 있어, 상육의 존재감은 미미한 상황입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상육이 구오의 군주와 백성들의 관심을 강제로 끌어내려 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은 행보라 할 수 있습니다.
象曰 上六引兌 未光也라.
상왈 상륙인태 미광야
상전에 말하였다. “상육이 이끌어서 기뻐함이 빛나지 못한 것이다.”

다음 괘

이전 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