괘의
약한 바람이라도 거듭하여 계속 불게 되면 천하 만물을 움직이게 된다. 겸손하고 겸손한 자세로 명을 펴서 일을 행하라(申命行事).
괘명과 괘상
손괘(巽卦)는 64괘 중 57번째에 위치하며 하경 27번째에 있어서 인사(人事)를 의미하는 하경을 마무리하는 중요한 자리입니다. 60갑자로는 57번째인 경신(庚申)에 해당합니다. 경신(庚申)이란 고쳐서 새롭게 편다는 의미입니다. 《주역》은 64괘로 이루어져 있으나, 실제로는 60번째 수택절(水澤節)괘에서 모든 현상의 파노라마가 끝나게 됩니다.
서괘
旅而无所容이라 故로 受之以巽하고
여이무소용 고 수지이손
나그네로 용납할 바가 없다. 그러므로 손괘(巽卦)로써 받고
화산려(火山旅)괘는 여행자, 군인, 유배자와 같이 정착하지 못하는 이들을 상징합니다. 하지만 천하의 이치는 모든 존재를 포용하는 것입니다. 나그네라도 겸손과 공경의 미덕을 보인다면 다시 받아들여질 수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겸손을 상징하는 손괘(巽卦)가 여괘(旅卦) 다음에 위치하게 되었습니다.
괘사
巽은 小亨하니 利有攸往하며 利見大人하니라.
손 소형 이유유왕 이견대인
손(巽)은 조금 형통하니, 가는 바를 둠이 이로우며 대인을 봄이 이롭다.
손(巽)은 겸손하고 또 겸손하게 하여 일을 행하는 것입니다. 또한 바람이 거듭하며 하늘의 새로운 명을 펴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조금 형통하다는 것은 겸손하게 낮추어야 형통함을 얻을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새로운 명이 행해지므로 나아가는 바를 두는 것이 이롭고, 또한 대인을 만나보는 것이 이롭습니다. 단전에서는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습니다.
단사
彖曰 重巽으로 以申命하나니
단왈 중손 이신명
剛이 巽乎中正而志行하며 柔 皆順乎剛이라.
강 손호중정이지행 유 개순호강
是以小亨하니 利有攸往하며 利見大人하니라.
시이소형 이유유왕 이견대인
단전에 말하였다. “거듭한 바람(겸손)으로 명을 거듭하니, 강(剛)이 중정(中正)에 겸손해서 뜻이 행하며, 유(柔)가 모두 강(剛)에 순하다. 이로써 조금(작은 것) 형통하니, 가는 바를 둠이 이로우며 대인을 봄이 이롭다.
괘상사
象曰 隨風이 巽이니 君子 以하야 申命行事하나니라.
상왈 수풍 손 군자 이 신명행사
상전에 말하였다. “따르는 바람이 손(巽)이니, 군자가 이를 본받아 명을 거듭해서 일을 행한다.”
손괘(巽卦)의 내괘와 외괘에는 바람이 연속적으로 나타나며, 이는 지속적인 바람의 흐름을 상징합니다. 군자는 이러한 자연의 현상을 본받아 명령을 체계적이고 일관되게 수행합니다. 손괘(巽卦)는 60갑자 중 경신(庚申)에 해당하는 57번째 괘로서, 이는 명령의 쇄신과 혁신을 의미합니다.
효사 및 효상사
초육(初六)
進退니 利武人之貞이니라.
진퇴 이무인지정
초육은 나아가고 물러나니, 무인(武人)의 바름이 이롭다.
손괘(巽卦)의 초육은 가장 아래에 위치하며, 양의 자리에 음이 있어 겸양의 자세가 지나쳐 결단력이 부족한 상태를 나타냅니다. 적절한 판단과 결단력 있는 행동이 결여되어 전진과 후퇴를 반복하는 모습을 보입니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무인(武人)의 담대함과 정직함을 본받는 것이 유익합니다. 전진과 후퇴를 반복하는 것은 결단의 부재를 의미하며, 무인의 정직함이 이롭다는 것은 우유부단한 태도를 바로잡아야 함을 시사합니다.
象曰 進退는 志疑也오 利武人之貞은 志治也라.
상왈 진퇴 지의야 이무인지정 지치야
상전에 말하였다. “나아가고 물러남은 뜻이 의심하는 것이요, 무인의 바름이 이로움은 뜻이 다스려짐이다.”
구이(九二)
巽在牀下니 用史巫紛若하면 吉코 无咎리라.
손재상하 용사무분약 길 무구
구이는 겸손함이 평상 아래에 있으니, 사(史)와 무(巫)를 씀이 어지러운 듯 하면 길하고 허물이 없을 것이다.
구이는 음의 자리에 양의 기운을 지니고 있으며, 내괘의 중심(中)에 위치합니다. 구이가 변화하면 간산(艮山)☶이 되는데, 이는 산 아래로 불어오는 바람이 평상 아래에서 감지되는 것과 유사합니다. 이러한 현상은 평상 아래로 은은하게 스며드는 바람처럼, 자신을 겸허하게 낮추어야 함을 시사합니다. 여기서 언급되는 사(史)와 무(巫)는 고대의 제례를 주관하던 제사장(祭司長)을 지칭합니다. 이들이 주관하는 의식이 복잡하고 다양하게 진행되더라도, 그 결과는 길하며 과오가 없을 것입니다.
이는 단순히 무속적 의례를 권장하는 것이 아닙니다. 오히려 천명(天命)이라는 새로운 기운이 도래할 때, 우리는 겸손한 자세로 깊은 성찰과 집중된 마음가짐을 통해 이에 부응해야 한다는 교훈을 전달합니다.
象曰 紛若之吉은 得中也일새라.
상왈 분약지길 득중야
상전에 말하였다. “어지러운 듯해서 길한 것은 중(中)을 얻었기 때문이다.”
구삼(九三)
頻巽이니 吝하니라.
빈손 인
구삼의 위치는 중심에서 벗어나 있으며, 양의 자리에 양의 기운이 있어 지나치게 강건한 상태입니다. 비록 손괘의 본질이 겸손함에 있어 구삼도 겸양의 자세를 취하고자 하나, 그 본성이 지나치게 강건하여 진정한 겸손을 이루지 못합니다. 표면적으로는 겸손한 모습을 보이려 하지만, 그 기저에 있는 강한 성향으로 인해 진정성이 결여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불완전한 겸손은 결국 인색함으로 이어지며, 이는 구삼의 한계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象曰 頻巽之吝은 志窮也라.
상왈 빈손지린 지궁야
상전에 말하였다. “자주 겸손하여 인색함은 뜻이 궁한 것이다.”
육사(六四)
悔 亡하니 田獲三品이로다.
회 망 전획삼품
육사는 뉘우침이 없어지니, 사냥하여 삼품을 얻도다.
육사는 중(中)을 얻지 못하였으나, 음 자리에 음으로 자리가 바르고 겸손하게 처신합니다. 새로운 명이 행해지는 과도기(過渡期)에 많은 어려움이 있고 따라서 미리 앞서서 행하지 못하는 뉘우침이 있으나 그 뉘우침도 없어집니다. 마침내 사냥해서 삼품(三品)을 얻는 공을 세우게 됩니다.
삼품(三品)은 인군으로부터 등용되어 공직(公職)에 오른다는 의미이기도 하고, 새로운 사회를 만들어 가는 데 필요한 것을 얻어 백성과 인군에게 베풀어주는 공을 세운다는 의미도 됩니다. 항상 강유(剛柔)의 도를 겸하여야 합니다. 겸손하다는 것은 나약함을 말하는 것이 아닙니다. 노자 《도덕경(道德經)》 제36장을 음미해 보겠습니다.
將欲翕之인댄 必固張之요 將欲弱之인댄 必固强之며 將欲廢之인댄 必固擧之요 將欲取之인댄 必固予之니 是謂微明이라하니 柔弱은 勝剛强하니라 魚不可脫於淵이오 國之利器는 不可以示人이니라.
장차 거두고자 하려면 반드시 펴고, 장차 약하고자 하려면 반드시 강하며, 장차 폐하고자 하려면 반드시 흥하고, 장차 빼앗고자 하려면 반드시 주니, 이를 '미묘한 밝음'(微明)이라 일컬으니, 부드러움과 약함은 굳셈과 강함을 이깁니다. 물고기는 가히 못에서 벗어날 수 없고, 나라의 이로운 그릇(나라를 다스릴 수 있는 미묘한 무기)은 가히 남에게 보여서는 안 됩니다.
象曰 田獲三品은 有功也라.
상왈 전획삼품 유공야
상전에 말하였다. “사냥해서 삼품을 얻음은 공이 있는 것이다.”
구오(九五)
貞이면 吉하야 悔 亡하야 无不利니 无初有終이라. 先庚三日하며 後庚三日이면 吉하리라.
정 길 회 망 무불리 무초유종 선경삼일 후경삼일 길
구오는 바르게 하면 길해서 뉘우침이 없어서 이롭지 않음이 없으니, 처음은 없고 마침은 있다. 경(庚)으로 앞서 삼일하며 경(庚)으로 뒤에 삼일하면 길할 것이다.
중풍손괘의 신명은 특정한 시기에만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구오효는 이러한 신명이 발현되는 시기를 명확히 제시합니다. 올바른 방식으로 새로운 명을 실행할 때, 우리는 과거의 후회를 해소하고 모든 것이 순조롭게 진행됨을 경험하게 됩니다. 과거의 일들은 자연스럽게 흘러가며, 우리는 새로운 명을 향한 결실에 집중해야 합니다. 이는 경으로 시작하는 전후 삼일의 기간 동안 이루어집니다. 천간에서 경은 가을의 후천을 상징하는데, 전반 삼일은 여름의 정에, 후반 삼일은 겨울의 계에 해당합니다. 이러한 맥락에서 시작보다는 완성에 중점을 두어야 합니다.
蠱는 元亨하니 利涉大川이니 先甲三日하며 後甲三日이니라.
고괘는 크게 형통하며, 큰 강을 건너는 것이 이롭습니다. 갑(甲)을 기점으로 전후 삼일의 기간을 두어야 합니다.
이러한 함의는 단순히 표면적 의미를 넘어섭니다. 이는 논리적 분석만으로는 충분히 이해할 수 없으며, 심도 있는 수양을 통한 통찰적 이해가 요구되는 부분입니다. 「역서(易序)」의 다음 구절을 통해 그 심오한 의미를 고찰해 보겠습니다.
時固未始有一而卦未始有定象하고 事固未始有窮而爻亦未始有定位하니 以一時而索卦則拘於无變이면 非易也오 以一事而明爻則窒而不通이면 非易也오 知所謂卦爻彖象之義而不知有卦爻彖象之用이면 亦非易也라. 故로 得之於精神之運과 心術之動하야 與天地合其德하며 與日月合其明하며 與四時合其序하며 與鬼神合其吉凶然後에아 可以謂之知易也라.
雖然이나 易之有卦는 易之已形者也오 卦之有爻는 卦之已見者也니 已形已見者는 可以言知어니와 未形未見者는 不可以名求니 則所謂易者 果何如哉아. 此 學者所當知也라.
시간은 본래 단일하지 않으며, 괘는 처음부터 고정된 형상이 없습니다. 사건에는 본래 끝이 없고, 효 역시 처음부터 정해진 위치가 없습니다. 한 시점만으로 괘를 찾으려 하면 변화를 제한하게 되어 역(易)의 본질에서 벗어나며, 한 사건으로만 효를 이해하려 하면 통찰이 막혀 역(易)이라 할 수 없습니다. 괘효단상의 의미만 알고 그 실제적 적용을 모른다면 이 또한 역(易)이라 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정신의 작용과 마음의 움직임을 체득하여, 천지의 덕과 조화를 이루고, 일월의 밝음과 하나가 되며, 사계절의 질서와 합치하고, 길흉화복의 이치를 깨달은 후에야 비로소 역(易)을 안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주목할 점은, 역(易)에서 괘가 있다는 것은 이미 형태를 갖춘 것이며, 괘에 효가 있다는 것은 이미 드러난 것입니다. 형태를 갖추고 드러난 것은 이해할 수 있으나, 아직 형태를 갖추지 않고 드러나지 않은 것은 이름 지어 구할 수 없습니다. 그렇다면 이른바 역(易)의 본질은 과연 무엇일까요? 이는 학문을 추구하는 자가 반드시 숙고해야 할 문제입니다.
象曰 九五之吉은 位正中也일새라.
상왈 구오지길 위정중야
상전에 말하였다. “구오의 길함은 자리가 바르고 가운데하기 때문이다.”
상구(上九)
巽在牀下하야 喪其資斧니 貞애 凶하니라.
손재상하 상기자부 정 흉
상구는 겸손함이 평상 아래에 있어서, 그 노자와 도끼를 잃으니 고집함에 흉하다.
상구효는 음의 자리에 양이 위치하여 부적절한 상황을 나타냅니다. 손괘의 최상단에 위치함에도 자신의 위치를 인식하지 못하고 과도한 겸양을 보여 평상 아래에 머무르는 모습입니다. 이러한 지나친 겸손으로 인해 본인이 보유한 자원과 영향력을 상실하게 됩니다. 적절한 위치 인식 없이 무조건적인 겸손만을 고수하는 것은 불길한 결과를 초래합니다. 이처럼 평상 아래의 겸손은 최상위 위치에서의 한계를 드러내며, 자원과 영향력의 상실은 올바르지 못한 처신의 결과로 해석됩니다.
象曰 巽在牀下는 上窮也오 喪其資斧는 正乎아 凶也라.
상왈 손재상하 상궁야 상기자부 정호 흉야
상전에 말하였다. “겸손함이 평상 아래에 있음은 위에서 궁한 것이고, 그 노자와 도끼를 잃는 것은 바르겠는가? 흉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