괘의
천지가 막혔다가 풀리면 우레와 비를 베풀어 만물을 화생하듯이, 어려운 상황이 풀리게 되면 그동안의 허물을 용서하고 죄를 너그럽게 다스리라(赦過宥罪).
괘명과 괘상
해(解)괘는 외괘 진뢰(震雷)☳와 내괘 감수(坎水)☵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 괘는 어려움이 해소되는 것을 의미하며, 구체적으로는 내괘 감수☵의 어려움이 외괘 진뢰☳의 활기찬 움직임으로 해결되는 과정을 보여줍니다. 이는 공동체가 위기를 극복하는 과정에서 사회 구성원들의 화합이 매우 중요함을 알려줍니다. 따라서 사회 통합을 이루기 위해서는 과거의 잘못을 용서하고(赦免) 서로를 이해하는 자세가 필요합니다.
서괘
蹇者는 難也니 物不可以終難이라 故로 受之以解하고
건자 난야 물불가이종난 고 수지이해
건(蹇)이란 어려움이니, 물건이 끝까지 어렵지만은 못한다. 그러므로 해괘(解卦)로 받고
어려운 상황에 처하여 몸을 돌이켜 반성하고 덕을 쌓아 나가며 서로가 도와주면 어려움에서 벗어날 수가 있고 일이 잘 풀리게 된다. 그래서 건괘(蹇卦) 다음에 해괘(解卦)를 둔 것이다.
괘사
解는 利西南하니 无所往이라.
해 이서남 무소왕
其來復이 吉하니 有攸往이어든 夙하면 吉하리라.
기래복 길 유유왕 숙 길
해(解)는 서남쪽이 이로우니 갈 바가 없다. 와서 회복함이 길하니, 갈 바가 있거든 빨리하면 길할 것이다.
상황이 진전되어 해결의 길이 열리니, 안정적인 서남쪽 방향으로의 진행이 유익할 것입니다. 기존의 난관에서 벗어났으므로 더 이상의 이동이 불필요합니다. 초기에는 급박하게 문제를 해결하려 했으나, 이미 상황이 호전되었다면 원점으로 돌아와 안정을 도모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다만, 미해결된 사안이 있다면 신속한 처리가 유리할 것입니다. 자연의 순환으로 보면, 내괘 감수(坎水)☵의 북방 겨울이 지나고 외괘 진뢰(震雷)☳의 봄이 도래하여, 얼음이 녹고(解氷) 새싹이 돋아나는 시기입니다. 이는 곧 난관을 극복하고 새로운 활력이 넘치는 시기를 의미합니다. 단전은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
단사
彖曰 解는 險以動이니 動而免乎險이 解라.
단왈 해 험이동 동이면호험 해
解利西南은 往得衆也오 其來復吉은 乃得中也오 有攸往夙吉은 往有功也라. 天地 解而雷雨 作하고 雷雨 作而百果草木이 皆甲拆하나니 解之時 大矣哉라.
해이서남 왕득중야 기래복길 내득중야 유유왕숙길 왕유공야 천지 해이뇌우 작 뇌우 작이백과초목 개갑탁 해지시 대의재
단전에 말하였다. “해(解)는 험해서 움직이니, 움직여서 험함을 벗어남이 해(解)이다. 해(解)가 서남이 이로움은 가서 무리를 얻기 때문이고, 와서 회복하여 길한 것은 이에 중을 얻기 때문이고, 갈 바가 있어 빨리하면 길함은 가서 공이 있는 것이다. 천지가 풀리매 우레와 비가 일어나고, 우레와 비가 일어나매 온갖 과실과 풀과 나무가 모두 열려서 터지니, 해(解)의 때가 크도다.”
위험한 상황에 직면했을 때에는 적극적으로 대처하여 그 상황을 극복해야 합니다. '서남쪽으로의 진행이 유익하다'는 것은 안정적인 방향으로 나아갈 때 협력자를 얻을 수 있음을 의미하며, '돌아와서 회복하면 길하다'는 것은 균형 잡힌 상태를 회복함을 뜻합니다. 미해결된 사안이 있다면 신속하게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문제 해결을 통해 유의미한 성과를 달성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자연의 순환에 따라, 겨울의 혹한기가 지나고 해동이 시작되면서 천지에는 우레와 비가 내립니다. 이러한 자연현상은 온갖 식물들의 생장을 촉진하여 새로운 생명의 싹을 틔우게 합니다. 이처럼 만물이 새로운 활력을 찾는 해(解)의 시기는 매우 중대한 의미를 지닙니다.
괘상사
象曰 雷雨作이 解니 君子 以하야 赦過宥罪하나니라.
상왈 뇌우작 해 군자 이 사과유죄
상전에 말하였다. “우레와 비가 일어나는 것이 해(解)니, 군자가 이를 본받아 허물을 용서하고 죄를 감해 준다.”
자연의 순환에 따라, 동절기의 한파가 지나고 우레와 비가 도래하면 만물이 새로운 생명력을 얻게 됩니다. 이와 마찬가지로, 현명한 지도자는 이러한 자연의 원리를 본받아 위기 상황에서 발생한 과오를 관용으로 다스리며, 이를 통해 사회적 결속력을 강화하고 공동체의 활력을 증진시킵니다.
효사 및 효상사
초육(初六)
无咎하니라.
무구
초육은 허물이 없다.
象曰 剛柔之際라 義无咎也니라.
상왈 강유지제 의무구야
상전에 말하였다. “강과 유가 서로 사귄다. 뜻이 허물이 없다.”
구이(九二)
田獲三狐하야 得黃矢니 貞하야 吉토다.
전획삼호 득황시 정 길
구이는 사냥해서 세 여우를 잡아 누런 화살을 얻으니, 바르게 해서 길하도다.
사냥에서 세 마리의 여우를 포획하는 것은 사회 질서를 교란하는 범법자들을 체포하는 것을 상징하며, '누런 화살을 획득'한다는 것은 공정한 법적 판단을 수행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상경의 21번째 화뢰서합(火雷噬嗑)괘에서는 사법적 판단을 담당하는 구사효에 '득금시(得金矢)'라는 표현이, 육오효에는 '득황금(得黃金)'이라는 표현이 등장합니다. 이에 따라 '득황시(得黃矢)'는 범법자에 대한 적절한 법적 제재를 의미합니다. 구이가 내괘의 중심을 확보하여 중도(中道)를 실천하기에 이러한 책무가 주어진 것이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올바른 판단이 길함의 전제가 됩니다.
象曰 九二貞吉은 得中道也일새라.
상왈 구이정길 득중도야
상전에 말하였다. “구이가 바르게 해서 길함은 중도를 얻었기 때문이다.”
육삼(六三)
負且乘이라. 致寇至니 貞이라도 吝이리라.
부차승 치구지 정 인
육삼은 지고 또 탄다. 도적 이름을 이루니, 바르게 하더라도 인색할 것이다.
육삼은 양의 자리에 음으로 위치하며 중도를 획득하지 못한 상태로, 적절한 위치를 벗어나 부적절한 행위를 하고 있습니다. 상육과의 관계에서도 동일한 음의 성질로 인해 조화를 이루지 못하며, 구이 양과 구사 양 사이에서 부적절한 위치를 점하고 있어 바람직하지 않은 상황입니다. 본연의 능력에 부합하지 않는 위치에 있으면서도 분별없이 행동하여 구이와 구사의 영역을 침범하고 있어, 이는 곧 문제를 초래할 것입니다. 자신의 한계를 인지하지 못하고 행동한 결과로 혼란을 야기하니, 올바른 방향으로 나아가더라도 제약이 따르는 것은 불가피한 결과입니다.
이 구절에 대해 『계사상전』에서는 공자의 심도 있는 해석이 기록되어 있습니다.
易曰 負且乘이라 致寇至라하니 負也者는 小人之事也오 乘也者는 君子之器也니 小人而乘君子之器라 盜 思奪之矣며 上을 慢코 下를 暴라 盜 思伐之矣니 慢藏이 誨盜며 冶容이 誨淫이니 易曰 負且乘致寇至라하니 盜之招也라.
공자께서는 다음과 같이 설명하셨습니다. "역경의 저자는 인간 본성을 깊이 이해하였습니다. 역경에서 '짐을 지고 또한 탄다'라고 한 것은 매우 의미심장합니다. 짐을 지는 것은 소인의 역할이며, 수레를 타는 것은 군자의 특권입니다. 소인이 군자의 지위를 탐하면 도적이 그것을 빼앗으려 할 것이며, 윗사람을 무시하고 아랫사람을 학대하면 도적이 침범하려 할 것입니다. 재물을 소홀히 관리하면 도둑을 부르고, 외양을 지나치게 꾸미면 방탕함을 초래합니다. 이처럼 '짐을 지고 또한 타며 도적이 이른다'는 말씀은 곧 스스로 화를 부르는 것을 경계하신 것입니다."
象曰 負且乘이 亦可醜也며 自我致戎이어니 又誰咎也리오.
상왈 부차승 역가추야 자아치융 우수구야
상전에 말하였다. “짊어지고 또 탐이 또한 추한 것이며, 나로부터 도적을 이루게 하니 또 누구를 허물하겠는가?”
구사(九四)
解而拇면 朋至하야 斯孚리라.
해이무 붕지 사부
구사는 너의 엄지발가락에서 풀면, 벗이 이르러 이에 미더울 것이다.
구사는 음 자리에 양으로 위치하여 이상적인 자리는 아니지만, 외괘 진뢰(震雷)☳의 아래에서 대신(大臣)의 역할을 수행하며 적극적으로 문제를 해결해야 하는 위치에 있습니다. 특히 대신으로서 초육 위치의 백성들이 겪는 어려움에 주목해야 합니다. 여기서 '이(而)'는 '너 이'자의 의미이며, '무(拇)'는 엄지발가락을 지칭합니다. 이는 대신이 백성들의 고충을 해소할 때, 백성들이 그 대신을 신뢰하고 지지하게 됨을 의미합니다.
象曰 解而拇는 未當位也일새라.
상왈 해이무 미당위야
상전에 말하였다. “너의 엄지발가락에서 푸는 것은 자리가 마땅치 않기 때문이다.”
육오(六五)
君子 維有解면 吉하니 有孚于小人이리라.
군자 유유해 길 유부우소인
육오는 군자가 오직 풀림이 있으면 길하니, 소인에게 믿음이 있을 것이다.
육오는 외괘의 중앙에 위치하여 군주의 자리를 점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양의 자리에 음이 위치함으로써 국가의 난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할 만한 역량이 충분치 않은 상황입니다. 따라서 현 상황에서는 제반 문제가 자연스럽게 해결되기를 기다리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군주는 어려운 상황이 해결되면 적절한 사면과 감형을 통해 과거의 과오를 범한 이들에게 새로운 기회를 제공하여 그들의 신뢰를 확보해야 합니다. 이와 더불어, 관료들이 범죄를 효과적으로 단속하고 백성들의 어려움을 해소함으로써 국정이 안정되면, 부적절한 행위를 일삼던 이들은 자연스럽게 그들의 영향력을 상실하게 됩니다.
象曰 君子有解는 小人의 退也라.
상왈 군자유해 소인 퇴야
상전에 말하였다. “군자가 풀림이 있는 것은 소인의 물러남이다.”
상육(上六)
公用射隼于高墉之上하야 獲之니 无不利로다.
공용석준우고용지상 획지 무불리
상육은 공이 높은 담 위의 새매를 쏘아서 잡으니, 이롭지 않음이 없도다.
뇌수해(雷水解)괘의 상육은 주역의 전체 체계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합니다. 상육효의 변화로 외괘가 이화(離火)☲로 전환되면서 화수미제(火水未濟)괘가 형성되는데, 이는 64괘의 마지막을 장식하는 괘입니다. 이는 정치적 혼란기에서 구이가 사회 질서를 바로잡고 구사가 민생을 안정시킴으로써 국가의 난제가 해결되는 과정을 보여줍니다. 이러한 맥락에서 상육효가 지니는 의미를 살펴볼 필요가 있습니다.
상육효가 이화(離火)☲로 변화하는 것은 매우 상징적입니다. 이(離)☲는 새를 상징하며, 특히 '준(隼)'은 맹금류인 새매를 가리킵니다. 공(公)이 높은 담장 위의 새매를 사냥하는 것은 상전(象傳)에서 '어그러짐을 바로잡는 것(解悖)'으로 해석됩니다. 이러한 해석의 중요성은 공자(孔子)께서 「계사하전」 제5장에서 상세히 논하고 계십니다.
易曰 公用射隼于高墉之上하야 獲之니 无不利라하니, 子曰 隼者는 禽也오 弓矢者는 器也오 射之者는 人也니, 君子 藏器於身하야 待時而動이면 何不利之有리오. 動而不括이라 是以出而有獲하나니 語成器而動者也라.
역경(易經)에서는 "군주가 높은 성벽 위의 매를 사냥하여 포획하니, 모든 것이 이롭다"라고 기술하고 있습니다. 이에 대해 공자께서는 다음과 같이 해석하셨습니다. "매는 사냥의 대상이며, 활과 화살은 도구이고, 이를 운용하는 것은 사람입니다. 현명한 군자는 도구를 적절히 준비하고 적기를 기다려 행동하니, 어찌 성공하지 않겠습니까? 그의 행동에는 장애가 없으며, 그렇기에 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 것입니다. 이는 곧 완벽한 준비 후에 행동하는 것의 중요성을 의미합니다."
象曰 公用射隼은 以解悖也라.
상왈 공용석준 이해패야
상전에 말하였다. “공이 새매를 쏘는 것은 어그러짐을 푸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