괘의
인생은 항상 이익만 있을 수 없다. 때로는 손해를 보고 또한 베풀어야 할 때도 있다. 인생살이에서 분함을 징계하고 욕심을 막는 것은 수양의 가장 기본적인 것이다(懲忿窒欲).
괘명과 괘상
외괘는 간산(艮山)☶이며 내괘는 태택(兌澤)☱로 구성되어 있는 이 괘를 '손(損)'이라고 합니다. 연못의 기운이 상승하여 산을 윤택하게 하고, 산의 물기가 하강하여 연못을 채워줍니다. 이러한 상호작용은 전체적으로는 이로우나, 각각의 입장에서는 자신의 기운을 내어주는 손실이 발생합니다.
개별적 관점에서는 손실이 발생하는 것으로 인식될 수 있으나, 거시적 차원에서는 전체적 조화와 균형을 통한 순기능이 도출됩니다. 따라서 이상적 사회 구현의 핵심 요소는 사익(私益)과 공익(公益)의 최적화된 균형점 도출에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천지인온(天地氤氳)과 남녀교합(男女交合)
산택손괘는 삼음삼양(三陰三陽)의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지천태(地天泰)괘에서 유래하였는데, 내괘가 건천(乾天)☰이고 외괘가 곤지(坤地)☷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내괘의 구삼 양을 위로 이동시키면 산택손(山澤損)괘가 형성되어, 아래에서 위로 에너지가 이동하는 형태를 보여줍니다. 지천태괘와 산택손괘는 각각 상경과 하경의 11번째에 위치합니다. 이러한 구조는 자연의 순환을 반영하는데, 상경(上經)의 시작인 중천건(重天乾)과 중지곤(重地坤)이 합일되어 지천태(地天泰)를 이루고, 하경(下經)에서는 택산함(澤山咸)의 결합으로부터 시작하여 뇌풍항(雷風恒)을 거쳐 산택손(山澤損)으로 완성되는 과정을 보여줍니다.
서괘
解者는 緩也니 緩必有所失이라 故로 受之以損하고
해자 완야 완필유소실 고 수지이손
해란 느즈러짐이니, 느즈러지면 반드시 잃는 바가 있다. 그러므로 손(損)으로 받고
일련의 과정에서 난관이 해소되면 긴장이 이완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됩니다. 이러한 이완 상태가 지속되어 해이함과 나태함으로 이어지면 필연적으로 손실이 발생하게 됩니다. 이러한 인과관계에 근거하여 뇌수해괘 다음에 산택손괘가 배치되었습니다.
괘사
損은 有孚면 元吉코 无咎하야 可貞이라.
손 유부 원길 무구 가정
利有攸往하니 曷之用이리오. 二簋 可用享이니라.
이유유왕 갈지용 이궤 가용향
손(損)은 믿음을 두면 크게 길하고 허물이 없어서 가히 바르게 한다. 가는 바를 둠이 이로우니, 어떻게 쓸 것인가? 두 대그릇에 가히 제사지낸다.
손괘(損卦)는 국가 운영의 관점에서 살펴보면, 국가 재정을 위해 백성들로부터 세금을 징수하는 과정을 상징적으로 나타냅니다. 국가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해서는 시민들의 재정적 기여가 필수적입니다. 개인의 입장에서는 일시적인 부담이 될 수 있으나, 이는 국가 전체의 안정적 운영을 위한 필요한 과정으로, 이러한 상호 신뢰를 바탕으로 할 때 국가와 시민 모두에게 이롭습니다. 다만, 조세 제도의 운영은 반드시 공정성과 형평성의 원칙에 따라 이루어져야 합니다.
하경의 시작인 택산함괘에서 발생하는 음양의 결합과 교감은 10개월의 시간이 경과한 산택손괘에서 결실을 맺게 됩니다. 이는 새로운 생명의 탄생으로 귀결되며, 이러한 과정에서 신뢰와 믿음을 바탕으로 할 때 길상(吉祥)이 따르고 과오가 없으며, 올바른 양육의 책무가 수반됩니다.
손실과 이익의 상호관계는 자연의 필연적 법칙으로서, 궁극적으로는 호혜적 보상으로 귀결됩니다. 산택손(山澤損)의 괘상은 하향적 에너지가 상승 전환되는 현상을 상징하며, 이는 개별 구성원의 일시적 손실이 전체 공동체의 이익으로 승화되는 메커니즘을 함의합니다. 이러한 맥락에서 진보적 발전 방향성의 추구는 필연적으로 긍정적 결과를 도출합니다. 그렇다면 손실이 발생하는 상황에서의 대응 전략은 무엇인가? '이궤가용향(二簋可用享)'의 함의는 손실 상황에서도 신뢰 기반의 절제된 생활 태도를 견지해야 함을 시사합니다. 단전(彖傳)에서는 이에 대해 다음과 같은 해석을 제시합니다.
단사
彖曰 損은 損下益上하야 其道 上行이니 損而有孚면 元吉无咎可貞利有攸往이니
단왈 손 손하익상 기도 상행 손이유부 원길무구가정이유유왕
曷之用二簋可用享은 二簋 應有時며 損剛益柔 有時니 損益盈虛를 與時偕行이니라.
갈지용이궤가용향 이궤 응유시 손강익유 유시 손익영허 여시해행
단전에 말하였다. “손(損)은 아래를 덜어 위를 더하여 그 도가 위로 행하니, 더는데 믿음을 두면 ‘원길무구가정이유유왕(元吉无咎可貞利有攸往)’이니, ‘갈지용이궤가용향(曷之用二簋可用享)’은 두 대그릇이 응당 때가 있으며, 강(剛)을 덜어 유(柔)에 더함이 때가 있으니, 덜고 더하고 차고 비는 것을 때와 더불어 함께 행한다.”
손괘(損卦)는 삼음삼양(三陰三陽)괘로서 지천태(地天泰)괘의 구조를 기반으로 합니다. 지천태괘에서는 내괘가 건천(乾天)☰으로 견고하나, 외괘는 곤지(坤地)☷로 공허한 상태를 나타냅니다. 이는 통치 기구가 취약하나 민간의 경제력이 충실한 상태를 의미합니다. 그러나 국가 재정이 취약한 상황에서는 민간의 번영만으로는 지속 가능한 안정을 확보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국가의 번영과 안보를 위해 시민들의 조세가 국가 재정에 기여하는 과정이 산택손괘에 반영됩니다. 이러한 역학 관계는 견고한 내괘 건천☰의 구삼 양이 상승하고 외괘 곤지☷의 상육이 하강하여 산택손괘를 형성하는데, 이는 '하위 요소를 감하여 상위 요소를 보강함으로써 상향적 발전을 도모하는 원리'를 시사합니다.
국민이 공공의 이익을 위해 재정적 기여를 할 때 상호 신뢰가 형성되면, 국가의 번영과 안정적 발전이 가능해집니다. 이는 '크게 길하고 허물이 없어 올바른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두 대그릇에 제사를 지낸다'는 것은 기여와 수혜의 균형이 적절한 시기에 이루어져야 함을 나타내며, 풍요로운 자원을 조정하여 부족한 부분을 보완하는 과정이 필요함을 시사합니다. 이러한 원리는 사계절의 순환, 음양의 변화, 천체의 운행과 같은 자연의 질서와 일맥상통합니다. 따라서 자원의 분배와 조정은 자연의 순리에 따라 진행되어야 합니다. 내괘의 태택(兌澤)☱이 후천팔괘방위에서 가을의 수확기를 상징하듯이, 재정적 기여 역시 수확이 완료되는 적절한 시기에 이루어져야 합니다.
괘상사
象曰 山下有澤이 損이니 君子 以하야 懲忿窒欲하나니라.
상왈 산하유택 손 군자 이 징분질욕
상전에 말하였다. “산 아래 연못이 있는 것이 손(損)이니, 군자가 이를 본받아 성냄을 징계하며 욕심을 막는다.”
아래의 연못이 상승하여 산을 적시고 윤택하게 하는 현상은 자연의 순환을 보여줍니다. 내괘 태(兌)☱는 기쁨을 상징하고, 외괘 간(艮)☶은 덕의 축적을 나타냅니다. 이러한 자연의 섭리를 관찰한 군자는 개인적 손실이 발생하는 상황에서도 감정을 절제하고 욕망을 제어합니다. 군자의 수양(修養)에 있어 핵심적 덕목은 분노를 다스리고 자비를 실천하며, 사적 이익의 추구를 절제하여 타인의 복리 증진에 기여하는 것입니다.
효사 및 효상사
초구(初九)
已事어든 遄往이라아 无咎리니 酌損之니라.
이사 천왕 무구 작손지
초구는 일을 마치거든 빨리 가야 허물이 없을 것이니, 참작하여 덜어야 한다.
초구는 국가의 기초를 형성하는 백성들의 위치를 나타냅니다. 이는 양의 자리에 양이 위치하여 올바르고 충실한 상태입니다. 내괘의 태택(兌澤)☱은 후천팔괘방위에서 가을을 상징하며, 이는 수확의 시기를 의미합니다. 자연의 순리에 따라 증감과 충실함과 비움이 조화롭게 순환합니다(損益盈虛 與時偕行). 백성들이 수확을 통해 성과를 얻었다면, 국가 재정(財政)에 신속히 기여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초구가 변화하여 감수(坎水)☵의 겨울이 도래하기 전에, 국가 재정 확보가 이루어져야 합니다.
이러한 원리는 현대 조세 제도의 근간이 되고 있습니다. 세금은 수익에 비례하여 체계적으로 산정되어야 하며, 이는 고소득자의 높은 세율과 저소득자의 낮은 세율로 구현됩니다. 이러한 누진적 과세 체계를 통해 국가 재정과 시민 생활의 균형을 도모할 수 있습니다. 이것이 바로 '참작하여 덜어낸다(酌損之)'는 원칙의 현대적 적용입니다.
象曰 已事遄往은 尙合志也일새라.
상왈 이사천왕 상합지야
상전에 말하였다. “일을 마치면 빨리 간다는 것은 위와 뜻이 합하기 때문이다.”
국민의 세금 납부는 국가 발전을 위한 정부와의 상호 협력을 반영합니다. 정부는 국민 복지 증진을 위해 노력하며, 국민은 국가 발전에 기여함으로써 공동의 목표를 달성합니다. 이러한 상호 호혜적 관계가 조세 제도의 근본 원리입니다.
구이(九二)
利貞코 征이면 凶하니 弗損이라아 益之리라.
이정 정 흉 불손 익지
구이는 바르게 함이 이롭고 가면 흉하니, 덜지 않아야 더할 것이다.
구이는 내괘의 중앙에 위치하고 있으나, 음의 자리에 양이 존재하여 균형이 맞지 않은 상태입니다. 이는 실질적인 수확이 부족한 상황을 의미합니다. 초구에서 백성들이 농업 활동을 통해 실질적인 성과를 얻는 반면, 구이의 선비는 학문에 전념하여 직접적인 물질적 수확을 얻지 못합니다. 따라서 중용의 자리에서 정도를 지키는 것이 가장 적절한 방향입니다.
이는 수확이 없는 자리이므로 신중한 접근이 필요합니다. 육오의 지도력을 따르되, 정치적 개입은 자제해야 합니다. 현재 상황에서는 지원을 받는 것이 적절합니다. 이는 마치 고결한 선비들이 올바른 신념을 유지하며 적절한 시기를 기다리다가, 공적 직무를 수행하며 정당한 보상을 받는 것과 같습니다. 청렴성을 저버리고 부정한 방법으로 직위를 얻는다면, 이는 국가의 근간을 훼손하는 행위가 될 것입니다.
象曰 九二利貞은 中以爲志也라.
상왈 구이이정 중이위지야
상전에 말하였다. “구이가 바르게 함이 이로움은 중으로써 뜻을 삼는 것이다.”
육삼(六三)
三人行앤 則損一人코 一人行앤 則得其友로다.
삼인행 즉손일인 일인행 즉득기우
육삼은 세 사람이 감에는 곧 한 사람을 덜어내고, 한 사람이 감에는 곧 그 벗을 얻도다.
둘째, 하경(下經)의 첫 괘인 택산함괘에서는 남녀의 만남이 이루어지며, 이는 구사효에서 결실을 맺어 새로운 생명의 잉태(孕胎)로 이어집니다. 이후 열 달이 지나 하경의 제10괘인 산택손괘의 육삼효에서 출산이 이루어집니다. 이는 남녀가 만나 가정을 이루고 자녀를 얻어 삼인이 되며, 그 자녀가 성장하여 새로운 인연을 만나는 자연스러운 순환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체계적인 구조는 주역 64괘 384효가 깊은 의미를 담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부부교합지의(夫婦交合之義)
澤山咸卦:九四는 貞이면 吉하야 悔 亡하리니 憧憧往來면 朋從爾思리라.
자녀출산지의(子女出産之義)
山澤損卦:六三은 三人行앤 則損一人코 一人行앤 則得其友로다.
공자(孔子)는 「계사하전」(繫辭下傳) 제5장에서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
天地 絪縕에 萬物이 化醇하고 男女 構精에 萬物이 化生하나니 易曰 三人行엔 則損一人코 一人行엔 則得其友라하니 言致一也라.
"천지 간의 자연적인 조화로움으로 인해 만물이 성숙해지며, 남녀의 결합을 통해 새로운 생명이 탄생합니다. 이에 역(易)에서는 '세 사람이 동행할 때는 한 사람이 떨어져 나가고, 홀로 갈 때는 새로운 동반자를 만난다'고 하여, 이는 하나됨의 원리를 설명하는 것입니다."
象曰 一人行은 三이면 則疑也리라.
상왈 일인행 삼 즉의야
상전에 말하였다. “한 사람이 감은 셋이면 곧 의심할 것이다.”
육사(六四)
損其疾호대 使遄이면 有喜하야 无咎리라.
손기질 사천 유희 무구
육사는 그 병을 덜되, 빨리 하게 하면 기쁨이 있어서 허물이 없을 것이다.
육사는 음 자리에 음으로 위치하여 적절한 대신(大臣)의 위치에 있습니다. 국가 운영을 책임지는 대신으로서 가장 큰 과제는 재정 관리입니다. 육사가 변화하면 화택규(火澤睽)괘가 되어 불안정한 상황이 초래될 수 있습니다. 대신의 입장에서는 국가 재정 문제 해결을 위해, 재정이 부족할 경우 초구의 백성들로부터 신속하게 세금을 징수하여 재정적 어려움을 해소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국가는 안정을 찾고 문제를 피할 수 있습니다. 개인적 관점에서는 실제 질병이 있을 때 신속한 치료가 필요하다는 의미로도 해석됩니다.
象曰 損其疾하니 亦可喜也로다.
상왈 손기질 역가희야
상전에 말하였다. “그 병을 덜어내니 또한 가히 기쁘도다.”
육오(六五)
或益之면 十朋之라. 龜도 弗克違하리니 元吉하니라.
혹익지 십붕지 귀 불극위 원길
육오는 혹 더하면 열 벗이다. 거북점도 능히 어기지 못할 것이니 크게 길하다.
이 육오 효사에서 "혹 더하면 십붕지귀라도 능히 어기지 못할 것이니 크게 길하다"라는 해석이 있습니다. 이는 군주가 현명한 정치를 펼칠 경우, 신성한 거북점조차도 그 정치적 성과를 부정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해석은 본질적으로 동일한 의미를 함축하고 있습니다.
육오의 군주는 외괘의 중심 위치에서 국가를 통치하는 자리에 있습니다. 비록 양의 자리에 음이 위치하여 부족한 상태이나, 백성들에게 이익을 베풀어 길한 결과를 얻게 되는데, 이는 상위에 있는 충실한 상구의 지원이 있기 때문입니다.
象曰 六五元吉은 自上祐也라.
상왈 육오원길 자상우야
상전에 말하였다. “육오가 크게 길함은 위로부터 돕는 것이다.”
상구(上九)
弗損코 益之면 无咎코 貞吉하니 利有攸往이니 得臣이 无家리라.
불손 익지 무구 정길 이유유왕 득신 무가
상구는 덜지 말고 더하면 허물이 없고 바르게 하여 길하니, 가는 바를 둠이 이로우니, 신하를 얻음이 집이(경계가) 없을 것이다.
상구는 국가 재정의 관리와 운용을 담당하는 중요한 직책을 맡고 있습니다. 이 직책에서는 백성들로부터 징수한 세금을 국가 발전을 위해 효율적으로 비축하고 활용해야 합니다. 따라서 재정을 감소시키지 않고 증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올바른 정책 방향이 될 것입니다. 국가 재정의 투명하고 체계적인 관리는 매우 중요하며, 이를 통해 공익 사업을 원활히 수행할 수 있습니다. 더불어, 재정이 공정하게 운영될 때 유능한 인재들이 자연스럽게 국가에 봉사하고자 할 것입니다. 여기서 '경계가 없다'는 표현은 인재 영입에 제한이 없음을 의미하며, 이는 결과적으로 국가의 번영으로 이어질 것입니다.
정자(程子)는 『역전(易傳)』에서 산택손괘의 각 효에 관하여 다음과 같은 통찰력 있는 해석을 제시하였다.
凡損之義 有三하니 損己從人也와 自損以益於人也와 行損道以損於人也라. 損己從人은 徙於義也요 自損益人은 及於物也요 行損道以損於人은 行其義也니 各因其時하야 取大者言之라.
四五二爻는 取損己從人하고 下體三爻는 取自損以益人하니 損時之用은 行損道以損天下之當損者也라. 上九則取不行其損爲義하니 九居損之終하야 損極而當變者也라. 以剛陽으로 居上하니 若用剛以損削於下면 非爲上之道니 其咎 大矣어니와 若不行其損하고 變而以剛陽之道로 益於下면 則无咎而得其正且吉也니 如是則宜有所往이요 往則有益矣라.
在上하야 能不損其下而益之면 天下 孰不服從이리오. 從服之衆에 无有內外也라 故로 曰得臣无家라하니 得臣은 謂得人心歸服이요 无家는 謂无有遠近內外之限也라.
손괘(損卦)의 핵심적 의미는 세 가지로 구분됩니다. 첫째, 자기를 낮추어 타인을 따르는 것, 둘째, 자신의 이익을 줄여 타인의 이익을 증진시키는 것, 셋째, 올바른 도리를 실천하여 불필요한 요소를 제거하는 것입니다. 이러한 세 가지 원칙은 각각 의리의 실천, 이타적 봉사, 그리고 정의의 구현을 의미하며, 시기적절하게 적용되어야 합니다.
지도자가 백성의 이익을 침해하지 않고 오히려 증진시킨다면, 자연스럽게 모든 이의 충성을 얻게 될 것입니다. 이러한 통치 방식은 계층과 지역을 초월한 보편적 지지를 얻게 되며, 이것이 바로 '신하를 얻음에 경계가 없다'는 의미입니다. 즉, 진정한 리더십은 모든 구성원의 자발적 충성과 지지를 이끌어내는 것입니다.
象曰 弗損益之는 大得志也라.
상왈 불손익지 대득지야
상전에 말하였다. “덜지 말고 더함은 크게 뜻을 얻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