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료 만세력
home
격국 찾기
home

37. 풍화가인

괘의

직장에서나 가정에서나 원만한 조화를 이루기 위해서는 저마다의 본분을 지키고 맡은바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여야 한다(言行有恒).

괘명과 괘상

괘상은 외괘 손풍(巽風)☴과 내괘 이화(離火)☲의 조합으로 '가인(家人)'이 형성됩니다. 이는 자연의 원리를 반영하는데, 마치 바람이 불을 활성화하듯이 바람☴과 불☲은 가정 구성원 간의 상호작용을 상징적으로 나타냅니다. 또한 불꽃이 발산하는 온기처럼, 가족 구성원들이 함께하는 식사 자리를 통해 조화로운 가정이 형성된다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서괘

「서괘전」은 지화명이괘 다음에 풍화가인괘를 둔 이유를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
夷者는 傷也니 傷於外者 必反其家라 故로 受之以家人하고
이자    상야    상어외자 필반기가    고   수지이가인
이(夷)라는 것은 상함이니, 밖에서 상한 자는 반드시 그 집으로 돌아온다. 그러므로 가인으로 받고
명이(明夷)는 밝음의 손상을 의미합니다. 외부에서 어려움을 겪은 후에는 자연스럽게 가정으로 회귀하여 휴식을 취하게 됩니다. 이러한 맥락에서 지화명이괘 이후에 풍화가인괘가 배치되었습니다.

괘사

家人은 利女貞하니라.
가인    이여정
가인(家人)은 여자가 바르게 함이 이롭다.
가인(家人)괘는 가정을 상징하며, 가정 운영의 중심적 역할이 주로 여성에 의해 이루어짐을 나타냅니다. 내괘는 이화(離火)☲로서 중녀(中女)를, 외괘는 손풍(巽風)☴으로서 장녀(長女)를 상징하여, 내외괘 모두 음괘(陰卦)의 특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그러나 가인괘의 각 효위에서는 내괘가 여성의 도를, 외괘가 남성의 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해석됩니다.
비록 현대 사회에서는 양성평등의 가치가 실현되고 있지만, 가정 내에서 여성의 역할이 갖는 중요성은 여전히 유효합니다. 그러나 풍화가인괘가 강조하는 핵심은 가족 구성원 각자가 자신의 책임과 의무를 성실히 이행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괘사의 "利女貞"은 단순히 여성의 도리만을 지칭하는 것이 아니라, 성별에 관계없이 모든 가족 구성원이 각자의 위치에서 올바른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합니다. 이어지는 단전에서는 이러한 해석을 다음과 같이 뒷받침하고 있습니다.

단사

彖曰 家人은 女 正位乎內하고 男이 正位乎外하니 男女正이 天地之大義也라.
단왈 가인    녀 정위호내       남    정위호외 남녀정    천지지대의야
家人이 有嚴君焉하니 父母之謂也라.
가인    유엄군언      부모지위야
父父子子兄兄弟弟夫夫婦婦而家道正하리니 正家而天下 定矣리라.
부부자자형형제제부부부부이가도정 정가이천하 정의
단전에 말하였다. “가인(家人)은 여자가 안에서 자리를 바르게 하고, 남자는 밖에서 자리를 바르게 하니, 남녀가 바르게 함이 천지의 큰 의리이다. 가인(家人)에 엄한 인군이 있으니 부모를 말한다. 아비는 아비답게, 자식은 자식답게, 형은 형답게, 동생은 동생답게, 남편은 남편답게, 아내는 아내답게 하여 집안의 도가 바르게 될 것이니, 집안을 바르게 하여야 천하가 정해질 것이다.
각 가정 구성원은 자신의 고유한 영역에서 책임을 다해야 하며, 이는 가정의 근본적인 원칙입니다. 자연계가 각자의 역할을 통해 조화로운 생태계를 유지하듯이, 가정도 구성원 각자의 역량과 책임이 조화를 이룰 때 안정적으로 운영됩니다. 현대 사회에서 성평등의 가치가 중요해졌지만, 가정 구성원이 각자의 전문성과 특성에 맞는 역할을 수행하는 가인(家人)의 기본 원리는 여전히 유효합니다.
마치 자연계에 질서를 부여하는 원리가 있고 국가를 통솔하는 리더십이 존재하듯이, 가정에도 통합적 지도력이 필요하며 이는 가장으로서의 부모에 의해 구현됩니다. 각 구성원이 자신의 역할과 책임을 성실히 이행할 때 가정의 근본이 확립되며, 이러한 건전한 가정들이 모여 사회의 기반을 형성하고 궁극적으로 국가의 안정으로 이어집니다. 이러한 맥락에서 《대학(大學)》의 「제가치국장(齊家治國章)」이 제시하는 다음 구절의 의미를 고찰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所謂治國이 必先齊其家者는 其家를 不可敎오 而能敎人者 無之하니 故로 君子는 不出家而成敎於國하나니 孝者는 所以事君也오 弟者는 所以事長也오 慈者는 所以使衆也니라.
국가 경영의 기초는 가정 관리에서 시작됩니다. 자신의 가정을 올바르게 이끌지 못하면서 타인을 지도할 수 있는 사람은 없습니다. 따라서 군자는 가정에서부터 국가를 위한 교육의 기반을 다지며, 효도는 군주를 섬기는 근본이 되고, 공경은 어른을 모시는 기본이 되며, 자애로움은 백성을 다스리는 핵심이 됩니다.
一家 仁이면 一國이 興仁하고 一家 讓이면 一國이 興讓하고 一人이 貪戾하면 一國이 作亂하나니 其機如此하니 此謂一言이 僨事며 一人이 定國이니라.
한 가정의 인자한 품성은 국가 전체의 덕목이 되고, 한 가정의 겸양은 사회 전반의 미덕이 됩니다. 반면 한 사람의 탐욕과 부정은 국가적 혼란의 씨앗이 될 수 있습니다. 이처럼 개인과 국가는 긴밀히 연결되어 있어, 한 사람의 언행이 국가의 운명을 좌우할 수 있습니다.

괘상사

象曰 風自火出이 家人이니 君子 以하야 言有物而行有恒하나니라.
상왈 풍자화출    가인      군자 이       언유물이행유항
상전에 말하였다. “바람이 불로부터 나오는 것이 가인(家人)이니, 군자가 이를 본받아 말에는 실지가 있고 행동에는 항상함이 있게 한다.
가인괘의 내괘는 이화(離火)☲로 불을, 외괘는 손풍(巽風)☴으로 바람을 상징합니다. 자연의 원리에 따라, 불이 타오를 때 발생하는 기압(氣壓) 차이로 인해 기류(氣流)가 형성되어 따뜻한 바람이 생성됩니다. 이는 마치 가족들이 모닥불 주위에 모여 따뜻한 대화를 나누는 모습과 같습니다. 이처럼 불이 상징하는 인간의 정신(精神)은 우리의 언행의 근원이 됩니다.
현명한 지도자는 신중하게 말하고 일관된 행동을 보임으로써 신뢰와 존경을 얻습니다. 이러한 원칙은 가정 경영과 국가 통치에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효사 및 효상사

초구(初九)

閑有家면 悔 亡하리라.
한유가    회 망
초구는 집에 있어서 익히면 후회가 없을 것이다.
가인(家人)괘에서 내괘 이화(離火)☲는 가정 내 여성의 역할을, 외괘 손풍(巽風)☴은 가정 내 남성의 역할을 상징적으로 나타냅니다. 초구는 내괘의 최하단에 위치하여 미혼 여성을 의미합니다. 품격 있는 여성으로서 가정에서 예의와 가도(家道)를 배우면, 향후 결혼 생활에서 가정을 원만하게 이끌어 나갈 수 있습니다. 가도(家道)를 익히는 것은 자아실현의 한 방법이며, 개인의 성장을 위한 과정입니다. 초구의 변화로 내괘가 간산(艮山)☶이 되어 가정에 안정적으로 머무는 모습을 보여줍니다. '한(閑)'은 문맥상 '익힌다'의 의미로 해석됩니다.
象曰 閑有家는 志未變也라.
상왈 한유가    지미변야
상전에 말하였다. “집에 있어서 익힘은 뜻이 변하지 않는 것이다.”

육이(六二)

无攸遂오 在中饋면 貞吉하리라.
무유수    재중궤   정길
육이는 이루는 바가 없고, 집안에서 음식을 지으면, 바르게 해서 길할 것이다.
육이는 내괘에서 중정한 위치에 있으며, 가정의 살림을 담당하는 며느리의 역할을 상징합니다. 외괘의 중정한 구오가 남편을 나타내며, 내괘의 중정한 배우자는 가정 운영의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합니다. 이는 제사 봉양과 손님 접대를 통해 가문의 전통을 계승하는 것을 포함합니다. 음의 위치에서 음의 성질로 균형과 조화를 이루어, 정중하고 세심하게 가정을 관리합니다. '궤(饋)'는 음식을 준비하고 제공하는 것을 의미하며, 《주례》에서는 이를 존경하는 마음으로 윗사람께 물품을 올리는 것으로 정의했습니다. '중궤(中饋)'는 가정에서 여성이 담당하는 식사 준비와 관련된 책임, 또는 그러한 역할을 수행하는 배우자를 지칭합니다.
象曰 六二之吉은 順以巽也일새라.
상왈 육이지길    순이손야
상전에 말하였다. “육이의 길함은 순해서 공손하기 때문이다.”

구삼(九三)

家人이 嗃嗃하니 悔厲나 吉하니 婦子 嘻嘻면 終吝하리라.
가인    학학      회려    길       부자 희희    종린
구삼은 집 사람이 엄숙하게 하니 위태로움에 뉘우치나 길하니, 아내와 자식이 희희덕거리면 마침내 인색할 것이다.
구삼은 내괘 이화(離火)☲의 최상단에 위치하여, 가정 내 여성 구성원 중 최고 연장자인 시어머니를 상징합니다. 시어머니가 며느리와 딸을 엄격하게 지도할 때는 안타까운 마음과 갈등이 발생할 수 있으나, 이는 가문의 질서를 확립하기 위한 필요한 과정입니다. 반면, 시어머니의 적절한 지도력이 부재하여 가족 구성원들이 규율 없이 행동한다면, 표면적인 화목함과는 달리 궁극적으로는 가정의 기강이 흐트러질 수 있습니다. 현대 핵가족 시대에도 가문의 전통을 계승하고 가족 간의 상호 존중을 실천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象曰 家人嗃嗃은 未失也오 婦子嘻嘻는 失家節也라.
상왈 가인학학    미실야   부자희희    실가절야
상전에 말하였다. “집 사람이 엄함은 잃지 않는 것이요, 아내와 자식이 희희덕거림은 집안의 절도를 잃는 것이다.”

육사(六四)

富家니 大吉하니라.
부가    대길
육사는 집을 부하게 하니, 크게 길하다.
육사는 외괘 손풍(巽風)☴의 위치에서 남성의 책임과 의무를 상징합니다. 음의 자리에 음의 성질이 조화롭게 위치하며, 외괘 손풍☴의 하단에서 겸양의 미덕을 보여줍니다. 이러한 겸손한 태도로 사회에서 활동하며 가정의 번영을 이끌어냅니다. 육사의 변화로 천화동인(天火同人)괘가 형성되어, 대외적으로도 타인과 원활히 협력하며 성과를 이루어냅니다. 이는 매우 길한 징조입니다.
象曰 富家大吉은 順在位也일새라.
상왈 부가대길    순재위야
상전에 말하였다. “집을 부하게 하여 크게 길함은 순함이 자리에 있기 때문이다.”

구오(九五)

王假有家니 勿恤하야 吉하리라.
왕격유가   물휼       길
구오는 왕이 집안을 지극히 하니, 근심하지 말아서 길할 것이다.
구오는 외괘의 중정한 자리니 집안으로 보면 가장(家長)이지만 나라로 보면 왕(王)이다. 나라를 다스리는 왕도 집안을 지극히 하니, 모든 식솔(食率)이 근심을 하지 않고 길하다. 집안을 지극히 한다는 것은 구오와 정응인 육이 아내와 사귀어 서로 사랑함과 더불어 가족 모두에게 사랑을 두루 베푸는 것을 말한다.
가장(家長)이 사랑을 베풀어 집안을 지극히 하듯이, 왕(王)은 정치를 잘 해서 백성과 나라를 지극히 한다. ‘가(假)’는 ‘거짓’이라 할 때는 ‘가’로 발음하고, ‘지극하다’고 할 때는 ‘격’으로 발음하니, 여기서는 지극하다는 뜻이다.
象曰 王假有家는 交相愛也라.
상왈 왕격유가    교상애야
상전에 말하였다. “왕이 집안을 지극히 함은 사귀어 서로 사랑하는 것이다.”

상구(上九)

有孚코 威如면 終吉하리라.
유부    위여   종길
상구는 믿음을 두고 위엄있게 하면 마침내 길할 것이다.
상구는 가정의 최고 어른인 시아버지 또는 할아버지의 위치를 나타냅니다. 이러한 위치에서는 가족 구성원들에 대한 신뢰와 적절한 위엄이 필수적입니다. 이는 가장(家長)의 리더십에 대한 신뢰, 시어머니의 가르침에 대한 확신, 그리고 후손들의 성장 가능성에 대한 믿음을 포함합니다. 이러한 신뢰와 위엄이 조화를 이룰 때 가정이 번영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위엄(威嚴)은 단순한 권위가 아닌, 풍부한 인생 경험을 통해 얻은 지혜를 후손들에게 전달하는 능력을 의미합니다.
象曰 威如之吉은 反身之謂也라.
상왈 위여지길    반신지위야
상전에 말하였다. “위엄있게 해서 길한 것은 몸을 반성함을 말한다.”

다음 괘

이전 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