괘의
어떠한 재앙이 닥쳐도 적절한 대비를 하고 준비를 하면 큰 탈이 없다. 국가적인 차원에서도 평소에 각종 사회제도나 재난구호제도를 적절히 마련하고 민생을 위한 덕행을 의논하여야 한다(制度議德).
괘명과 괘상
외괘가 감수(坎水)☵, 내괘가 태택(兌澤)☱로 구성된 괘의 명칭을 '절(節)'이라고 합니다. 내괘의 연못에 외괘의 물이 고여 있는 형상으로, 물의 적절한 조절을 통해 범람이나 고갈을 방지해야 한다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습니다. 이는 풍수환(風水渙)괘에서 발생한 수해의 교훈을 바탕으로, 향후 수해 방지를 위한 철저한 물 관리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나아가 민생(民生)의 안정을 위해서는 경기부양책과 긴축정책 등을 통한 국가 경제의 균형적 조절이 필수적임을 시사합니다.
수택절(水澤節)괘는 60번째로 60갑자 순서로 보면 60번째 계해(癸亥) 마지막이 됩니다. 계해(癸亥)를 오행으로 보면 역시 계수(癸水)에 해수(亥水)이니 60번째 수택절과 통합니다. 《주역(周易)》은 음양 이진법으로 사상·팔괘를 거쳐 64괘 384효로 이루어져 있으나, 실질적인 책력도수로는 60번째인 이 수택절괘에서 마무리를 짓습니다. 중천건괘에서 수택절괘까지 모두 360효가 되니 360일 상수(常數)가 절괘(節卦)로써 이루어지고 또한 음효(陰爻)와 양효(陽爻)의 합도 각각 180효로 정확히 일치합니다. 다음의 61번째 풍택중부(風澤中孚), 62번째 뇌산소과(雷山小過), 63번째 수화기제(水火旣濟), 64번째 화수미제(火水未濟)의 4괘 24효는 사시(四時) 24절기를 상징하는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서괘
渙者는 離也니 物不可以終離라 故로 受之以節하고
환자 리야 물불가이종리 고 수지이절
환(渙)이란 떠남이니, 물건이 가히 끝까지 떠나지는 못한다. 그러므로 절(節)로써 받고
환(渙)은 분산과 이탈을 의미합니다. 그러나 모든 현상이 영구적으로 분산되지는 않으며, 자연스럽게 절제와 질서를 찾게 됩니다. 이러한 이유로 절괘(節卦)가 환괘(渙卦) 다음에 위치하게 되었습니다.
괘사
節은 亨하니 苦節은 不可貞이니라.
절 형 고절 불가정
절(節)은 형통하니 괴로운 시절은 가히 바르게 하지 못한다.
이제 일년(一年)의 사시(四時) 360일이 마디를 이루며, 《주역(周易)》의 장대한 서사가 절(節)을 통해 정점에 도달하고 있습니다. 풍수환(風水渙)에서 백성 구제의 과업을 완수한 후, 새로운 도수(度數)를 수립하고 덕행(德行)을 논하는 절괘(節卦)는 형통합니다. 그러나 궁핍과 고난의 시기에는 올바른 도리를 실천하기 어렵습니다. 단전에서는 이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습니다.
단사
彖曰 節亨은 剛柔 分而剛得中할새오 苦節不可貞은 其道 窮也일새라.
단왈 절형 강유 분이강득중 고절불가정 기도 궁야
說以行險하고 當位以節하고 中正以通하니라.
열이행험 당위이절 중정이통
天地節而四時成하나니 節以制度하야 不傷財하며 不害民하나니라.
천지절이사시성 절이제도 불상재 불해민
단전에 말하였다. “‘절(節)이 형통함’은 강(剛)과 유(柔)가 나누어져 강(剛)이 중을 얻었기 때문이고, ‘괴로운 시절은 가히 바르게 하지 못하는 것’은 그 도(道)가 궁하기 때문이다. 기뻐함으로써 험한데 행하고, 자리가 마땅하여 절도가 있고, 중정함으로 통한다. 천지가 절도 있게 하여 사시(四時)가 이루어지니, 절도로써 법도를 지어서 재물을 상하게 하지 않으며, 백성을 해롭게 하지 않는다.”
어려운 시기에는 상황이 제한적이므로 올바른 방향을 유지하거나 원칙을 고수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내괘 태택(兌澤)☱의 긍정적 기운이 외괘 감수(坎水)☵의 도전적 상황을 내호괘 진뢰(震雷)☳를 통해 해결해 나가며, 외괘의 각 효들이 적절한 위치에서 균형을 이루고 있습니다. 특히 구오가 외괘의 중심에서 양의 기운으로 조화를 이루어 전체적인 흐름이 순조롭게 진행됩니다.
자연의 순환이 절도 있게 사계절을 이루듯이, 적절한 제도와 규범을 통해 재물과 민생을 보호해야 합니다. 모든 일에는 적절한 균형이 필요하며, 이를 통해 부작용을 방지하고 안정을 도모할 수 있습니다. 이것이 바로 중용(中庸)과 중도(中道)의 실천적 지혜입니다. 《중용》 제1장에서는 다음과 같이 설명합니다.
喜怒哀樂之未發을 謂之中이오 發而皆中節을 謂之和니 中也者는 天下之大本也오 和也者는 天下之達道也니라. 致中和면 天地 位焉하며 萬物이 育焉이니라.
감정이 아직 표출되지 않은 상태를 중(中)이라 하고, 표출된 감정이 모두 적절한 것을 화(和)라고 합니다. 중(中)은 천하의 근본이며, 화(和)는 천하의 보편적 도리입니다. 중화(中和)가 완성되면 천지가 안정되고 만물이 번영하게 됩니다.
괘상사
象曰 澤上有水 節이니 君子 以하야 制數度하며 議德行하나니라.
상왈 택상유수 절 군자 이 제수도 의덕행
상전에 말하였다. “연못 위에 물이 있는 것이 절(節)이니, 군자가 이를 본받아 도수와 법도를 지으며 덕행을 의논한다.”
내괘 태택(兌澤)☱의 연못 위에 외괘 감수(坎水)☵의 물이 위치한 것이 절괘(節卦)입니다. 연못에 고인 물은 적절한 관리가 필수적입니다. 제방은 견고해야 하며, 수위는 적정 수준을 유지해야 합니다. 이러한 절괘(節卦)의 상징성을 통해 군자는 민생(民生)을 위한 체계적인 도수(度數)를 수립하고 합리적인 사회제도를 확립하며, 나아가 덕행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를 통해 사회의 예의범절(禮儀凡節)을 정립합니다.
효사 및 효상사
초구(初九)
不出戶庭이면 无咎리라.
불출호정 무구
초구는 호정(집안 뜰)을 나서지 않으면 허물이 없을 것이다.
초구는 수택절괘의 첫 번째 효에 위치하여 중심적 위치는 아니지만, 양의 기운이 양의 자리에 있어 안정적입니다. 이 위치에서 외괘의 잠재적 위험을 인지하고 신중하게 문밖을 나서지 않음으로써 불필요한 문제를 피할 수 있습니다. 이는 앞으로 발생할 상황의 순조로움과 어려움을 파악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와 관련하여 공자는 계사상전 제8장에서 다음과 같은 통찰을 제시합니다.
不出戶庭이면 无咎라하니 子曰 亂之所生也 則言語 以爲階니 君不密則失臣하며 臣不密則失身하며 幾事 不密則害成하나니 是以君子 愼密而不出也하나니라.
"집 문밖을 나서지 않으면 허물이 없다"라는 구절에 대해 공자께서는 다음과 같이 해석하셨습니다. "혼란의 시작은 부주의한 언행에서 비롯됩니다. 군주가 신중하지 못하면 신하를 잃게 되고, 신하가 신중하지 못하면 자신의 지위를 잃게 되며, 중요한 사안에서 신중하지 못하면 문제가 발생합니다. 이러한 이유로 현명한 사람은 신중을 기하여 불필요한 외출을 삼가는 것입니다."
象曰 不出戶庭이나 知通塞也니라.
상왈 불출호정 지통색야
상전에 말하였다. “호정(戶庭)을 나서지 않으나 통하고 막힘을 아는 것이다.”
구이(九二)
不出門庭이라 凶하니라.
불출문정 흉
구이는 문정(대문앞 뜰)을 나서지 않는다. 흉하다.
수택절괘의 이효는 음의 자리에 양이 위치하여 적절하지 않으나, 내괘의 중심(中)을 획득한 상태입니다. 절도(節度)를 강조하는 절괘(節卦)에서, 초효는 앞에 놓인 위험을 인지하고 신중하게 문밖을 나서지 않아 허물이 없다고 평가되었습니다. 반면, 그 상위의 이효는 적절한 시기임에도 문밖으로 나아가지 않아 기회를 놓치는 실수를 범하여 흉한 결과를 초래하게 됩니다. 이는 적절한 시기를 파악하고 그에 맞춰 행동하는 것의 중요성을 시사합니다. 구이가 변화하여 수뢰둔(水雷屯)괘가 되는데, 둔괘(屯卦)의 육이 효사에서도 시기를 놓쳐 혼인이 10년이나 지연되는 것으로 설명됩니다.
六二는 屯如邅如하며 乘馬班如하니 匪寇면 婚媾리니 女子 貞하야 不字라가 十年에야 乃字로다.
육이는 어려우며 머뭇거리는 듯하며 말을 타도 말이 서성거리니, 도적이 아니면 청혼해 오리니, 여자가 곧아서 시집가지 않다가 십년에야 이에 시집가도다.
象曰 不出門庭凶은 失時 極也일새라.
상왈 불출문정흉 실시 극야
상전에 말하였다. “문정을 나서지 않아서 흉함은 때를 잃음이 극하기 때문이다.”
육삼(六三)
不節若이면 則嗟若하리니 无咎니라.
부절약 즉차약 무구
육삼은 절제하지 않으면 곧 탄식하게 될 것이니, 허물할 데가 없다.
육삼은 양의 자리에 음이 위치하여 적절하지 않으며, 중심성(中)도 확보하지 못한 상황입니다. 육삼의 위치는 내괘 태택(兌澤)☱ 연못의 상단부로, 적절한 관리가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물이 범람하여 문제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은 자신의 절제력 부족에서 기인하므로, 타인에게 책임을 전가할 수 없습니다.
象曰 不節之嗟를 又誰咎也리오.
상왈 부절지차 우수구야
상전에 말하였다. “절제하지 못하여 탄식함을 또 누구를 허물하겠는가?”
육사(六四)
安節이니 亨하니라.
안절 형
육사는 편안한 시절이니 형통하다.
육사는 음의 위치에 음이 자리하여 적절한 균형을 이루고 있습니다. 내괘 태택☱의 연못 위에 고요히 머무는 물처럼 안정된 상태를 보여줍니다. 이는 매우 형통한 상황입니다. 더불어 대신(大臣)의 위치에서 겸허한 자세로 구오의 중정한 도를 따르고 있어 더욱 형통합니다.
象曰 安節之亨은 承上道也라.
상왈 안절지형 승상도야
상전에 말하였다. “편안한 시절이 형통함은 위(구오)의 도를 잇는 것이다.”
구오(九五)
甘節이라. 吉하니 往하면 有尙하리라.
감절 길 왕 유상
구오는 달콤한(즐거운) 시절이다. 길하니 가면 숭상함이 있을 것이다.
구오는 외괘의 중심에서 균형잡힌 위치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중용의 도를 실천함으로써 안정된 상태를 유지하며 효과적인 조절이 가능합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전진하면 정치적 성과를 이루어 존경받게 될 것입니다. 구오가 변화하여 지택림괘가 되면, 임괘의 육오효는 "현명한 통치로 군주의 덕목을 갖추니 길하다(六五는 知臨이니 大君之宜니 吉하니라)"라고 설명합니다.
象曰 甘節之吉은 居位中也일새라.
상왈 감절지길 거위중야
상전에 말하였다. “달콤한(즐거운) 시절이 길함은 거한 자리가 가운데하기 때문이다.”
상육(上六)
苦節이니 貞이면 凶코 悔면 亡하리라.
고절 정 흉 회 망
상육은 괴로운 시절이니 고집하면 흉하고 뉘우치면 없어질 것이다.
상육은 절괘의 최상단에 위치하여 균형과 절제의 한계를 초과한 상태입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경직된 태도를 고수하면 불길한 결과를 초래하나, 자세를 겸허히 하고 적절한 절제를 실천하면 문제가 해소됩니다. 상육이 변화하여 풍택중부괘가 되는데, 이는 절도와 중용의 도를 지키며 신뢰할 수 있는 마음가짐을 유지해야 함을 시사합니다.
象曰 苦節貞凶은 其道 窮也일새라.
상왈 고절정흉 기도 궁야
상전에 말하였다. “괴로운 시절에 고집해서 흉함은 그 도가 궁하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