괘의
전쟁 등 큰 일을 수행하기에 앞서 백성을 용납하고 각자의 역할에 맡는 기량을 습득하도록 훈련하라(容民畜衆).
괘명과 괘상
이 괘는 외괘로 곤지(坤地)☷와 내괘로 감수(坎水)☵가 구성되어 '사(師)'라 명명됩니다. '사(師)'는 조직화된 집단이나 군사력을 의미하며, 이는 사회적 긴장이나 분쟁 상황에서 체계적인 대응을 나타냅니다. 역사적으로 주나라의 군사 제도에서는 2,500명 규모의 부대를 '사(師)'로 정의했으며, 이는 《주례(周禮)》「하관사마(夏官司馬)」편에서 상세히 기술되어 있습니다.
군제에 따르면, 12,500명이 하나의 군(軍)을 구성하며, 왕국은 6군(75,000명), 대국은 3군(37,500명), 차국은 2군(25,000명), 소국은 1군(12,500명)을 보유합니다. 각 군대의 지휘관은 경(卿)의 직위를 가집니다. 군사 조직은 체계적으로 구성되어, 2,500명 단위의 사(師)는 중대부가 지휘하고, 500명 단위의 려(旅)는 하대부가 이끌며, 100명 단위의 졸(卒)은 상사가 지휘합니다. 더 작은 단위로는 25명의 량(兩)이 중사의 지휘 아래 있고, 5명 단위의 오(伍)는 유장이 이끕니다. 각 군(軍)의 행정 조직은 2부(府), 6사(史), 10명의 서(胥), 100명의 도(徒)로 구성됩니다. (凡制軍에 萬有二千五百人爲軍하니 王은 六軍이요 大國은 三軍이요 次國은 二軍이요 小國은 一軍이라. 軍將은 皆命卿으로 하니라. 二千有五百人爲師니 師帥는 皆中大夫로 하니라. 五百人爲旅니 旅帥는 皆下大夫로 하니라. 百人爲卒이니 卒長은 皆上士로 하니라. 二十五人爲兩이니 兩司馬는 皆中士로 하니라. 五人爲伍니 伍는 皆有長으로 하니라. 一軍은 則二府六史胥十人徒百人이니라.)
천수송(天水訟)괘는 분쟁의 전체적인 정세(政勢)라고 한다면, 지수사(地水師)괘는 군사를 일으켜 전쟁을 수행하는 병법(兵法)에 해당한다.
언제 없어질 지 모르는 할인쿠폰!
명리학을 잘 활용하는 것은 주어진 운세에 맞게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것이에요! 이 더큼만세력을 만든 허유는 현재 희신세운을 맞이했어요. 때문에 적극적으로 사람들과 소통하기 위한 기회를 만들고 있답니다!
병화용신의 대표적인 재능은 ‘소통’이랍니다.
할인코드: pro5050
더큼만세력 바로가기
서괘
訟必有衆起라 故로 受之以師하고
송필유중기 고 수지이사
송사는 반드시 무리로 일어난다. 그러므로 사(師)로써 받고
분쟁이나 대립이 발생하면 필연적으로 집단적 대응이 이루어지게 됩니다. 이러한 이유로 천수송괘 이후에 지수사괘가 배치되었습니다.
괘사
師는 貞이니 丈人이라아 吉코 无咎하리라.
사 정 장인 길 무구
사(師)는 바름이니, 장인(丈人)이라야 길하고 허물이 없을 것이다.
사(師)는 군사력의 운용을 의미하며, 이는 엄격한 군율(軍律)에 따라 체계적으로 진행되어야 합니다. 지휘관은 '장인(丈人)', 즉 경험과 지혜를 갖춘 지도자여야 성공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원칙에 대해 단전은 다음과 같이 상세히 설명합니다.
단사
彖曰 師는 衆也오 貞은 正也니 能以衆正하면 可以王矣리라.
단왈 사 중야 정 정야 능이중정 가이왕의
剛中而應하고 行險而順하니 以此毒天下而民이 從之하니 吉코 又何咎矣리오.
강중이응 행험이순 이차독천하이민 종지 길 우하구의
단전에 말하였다. “사(師)는 무리요, 정(貞)은 바름이니, 능히 무리를 바르게 하면 가히 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강한 것이 가운데 해서 응하고, 험함을 행하여도 순하게 하니, 이로써 천하를 괴롭혀도 백성이 따르니 길하고 또 무슨 허물이 있겠는가?”
괘상사
象曰 地中有水 師니 君子 以하야 容民畜衆하나니라.
상왈 지중유수 사 군자 이 용민휵중
상전에 말하였다. “땅 가운데 물이 있는 것이 사(師)니, 군자가 이를 본받아 백성을 용납하고 무리를 기른다.”
외괘는 곤지(坤地)☷로 땅을, 내괘는 감수(坎水)☵로 물을 상징하여 땅 가운데 물이 있는 형상을 나타냅니다. 마치 땅속의 물이 생명체들을 끌어들이듯이, 현명한 지도자는 이러한 원리를 적용하여 백성들을 포용하고 그들의 역량을 육성합니다. 지수사(地水師)괘는 하나의 양과 다섯 개의 음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근본적인 구조는 중지곤(重地坤)괘에 기반을 두고 있습니다. 이제 중지곤괘의 괘상전과 육이효사가 전달하는 의미를 살펴보겠습니다.
象曰 地勢 坤이니 君子 以하야 厚德으로 載物하나니라.
상전에 말하였다. "땅의 형세가 곤이니, 군자가 이를 본받아 두터운 덕으로 만물을 실어야 한다."
六二는 直方大라 不習이라도 无不利하니라.
육이는 곧고 모나고 크다. 익히지 않더라고 이롭지 않음이 없다.
효사 및 효상사
초육(初六)
師出以律이니 否면 臧이라도 凶하니라.
사출이률 부 장 흉
초육은 군사가 나가는데 율령(律令)으로써 하니, 그렇지 않으면 착하더라도 흉하다.
초육은 사괘의 최하단에 위치하여 군사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이는 양의 자리에 음이 위치하여 본질적으로 취약한 상태를 나타내므로, 전투 대비를 위한 체계적인 훈련이 필수적입니다. 군사 조직의 성공적인 운영을 위해서는 엄격한 군율의 준수가 핵심적이며, 이러한 규율이 부재할 경우 승리를 위한 어떠한 노력도 무위로 돌아갈 수 있습니다.
象曰 師出以律이니 失律하면 凶也리라.
상왈 사출이률 실률 흉야
상전에 말하였다. “군사가 나가는데 율령으로써 하니, 군율을 잃으면 흉할 것이다.”
군대를 조직하고 군사를 훈련함에 있어 군율을 상실하게 되면 전쟁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없게 되어 불길한 결과를 초래하게 됩니다.
구이(九二)
在師하야 中할새 吉코 无咎하니 王三錫命이로다.
재사 중 길 무구 왕삼석명
구이는 군사에 있어 가운데 하기 때문에 길하고 허물이 없으니, 왕이 세 번 명을 주도다.
象曰 在師中吉은 承天寵也오 王三錫命은 懷萬邦也라.
상왈 재사중길 승천총야 왕삼석명 회만방야
상전에 말하였다. “‘재사중길’은 하늘의 은총을 잇는 것이고, ‘왕삼석명’은 만방을 품는 것이다.”
'군사에 있어 중을 얻어 길하다'는 것은 인군인 육오의 은총을 받는 것을 의미합니다. '왕으로부터 세 번 명을 받는다'는 것은 왕의 명을 받아 군사를 통솔하여 전쟁에서 승리함으로써 만방을 통합하게 됨을 나타냅니다.
육삼(六三)
師或輿尸면 凶하리라.
사혹여시 흉
육삼은 군사가 혹 여럿이 주장하면 흉할 것이다.
육삼은 양자리에 음이 위치하고 중심성을 확보하지 못한 상태로, 이는 군대의 지휘체계와 규율이 적절히 기능하지 않음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전략 수립과 전투 수행 시 다양한 의견이 충돌하여 일관된 작전을 전개하기 어렵습니다. 이와 같은 조건에서 전투에 임하게 되면 패배가 예상되어 불길한 결과를 초래합니다. 육삼이 변화하여 음이 양으로 전환되면 내괘는 손(巽)☴이 되어 사방에서 의견이 분분해지며, 내호괘는 태(兌)☱가 되어 조직의 통합성이 훼손됩니다.
'여시(輿尸)'의 의미는 전장에서 패배한 후 전사자들을 수레에 싣고 귀환하는 상황을 상징적으로 나타냅니다.
象曰 師或輿尸면 大无功也리라.
상왈 사혹여시 대무공야
상전에 말하였다. “군사가 혹 여럿이 주장하면 크게 공이 없을 것이다.”
육사(六四)
師左次니 无咎로다.
사좌차 무구
육사는 군사가 진영으로 물러나니 허물이 없도다.
육사는 음위에 위치하여 전쟁 수행에 있어 전반적인 군사력이 취약한 상태입니다. 육사가 변화하여 음이 양으로 전환되면 외괘는 진(震)☳이 되며, 후천팔괘에서 진☳은 동방으로 좌측에 해당합니다. 여기서 좌(左)는 후퇴를, 우(右)는 전진을 의미하며, '차(次)'는 군영을 지칭합니다. 또한 육사의 변화로 내호괘가 이(離)☲가 되어 상황 판단이 명확해지니, 전력의 열세를 인지하고 전략적 후퇴를 선택하는 것은 합리적인 판단입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육사는 진영으로 후퇴하여 병사들의 사기를 진작시키고 군사력을 재정비해야 합니다. 육사의 변화로 지괘(之卦)는 뇌수해(雷水解)가 되며, 그 구사 효사는 다음과 같습니다.
九四는 解而拇면 朋至하야 斯孚리라.
구사는 너의 발가락에서 풀면 벗이 이르러 이에 믿을 것이다.
象曰 左次无咎는 未失常也라.
상왈 좌차무구 미실상야
상전에 말하였다. “진영으로 물러나 허물이 없는 것은 떳떳함을 잃지 않는 것이다.”
전략적 후퇴는 전력 평가를 바탕으로 한 합리적 판단으로서, 이는 군사적 덕목을 저해하지 않습니다. 전진만을 고수하고 적절한 후퇴를 고려하지 않는 것은 궁극적으로 중대한 전략적 실수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육오(六五)
田有禽이어든 利執言하니 无咎리라.
전유금 이집언 무구
長子 帥師니 弟子 輿尸하면 貞이라도 凶하리라.
장자 솔사 제자 여시 정 흉
육오는 밭에 새가 있거든 말을 잡음(주장함)이 이로우니, 허물이 없을 것이다. 장자가 군사를 거느리니, 제자가 여럿이 주장하면, 바르게 하더라도 흉할 것이다.
육오는 외괘의 중앙에 위치하여 천하를 통치하는 군주의 자리에 있으나, 양의 자리에 음이 거하여 통솔력이 부족한 상황입니다. 이에 전시 상황에서 육오는 구이 사령관(장자)에게 군사 지휘권을 위임합니다. '밭의 새'는 곡식을 해치는 적군을 상징하며, '말을 잡음이 이롭다'는 것은 적을 제압하라는 명령을 의미합니다. 구이 장자, 즉 총사령관이 군을 지휘할 때 예하 장군들이 각자의 의견을 주장하게 되면 지휘체계가 와해되어 정당한 전략을 수립하더라도 불리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이는 육오 군주의 통솔력 부재로 인해 주변의 조언에 현혹되어 명령체계에 혼란이 발생할 수 있음을 경계하는 것으로, 국가의 안위를 책임질 구이 사령관을 전적으로 신뢰하고 군기를 확립해야 함을 시사합니다.
象曰 長子帥師는 以中行也오 弟子輿尸는 使不當也라.
상왈 장자솔사 이중행야 제자여시 사부당야
상전에 말하였다. “장자가 군사를 거느림은 중으로써 행하는 것이고, 제자가 여럿이 주장함은 부림이 마땅하지 않은 것이다.”
육오는 외괘의 중심 위치에서 군주의 역할을 수행하며, 구이는 내괘의 중심에서 군사를 지휘하는 장군의 직분을 맡고 있습니다. 이는 군주와 사령관이 각자의 위치에서 중도를 지키며 책무를 이행함을 의미합니다. 다만, 주변 신하들의 다양한 의견이 군주의 판단을 흐리게 할 경우, 이는 통치자로서의 적절한 지휘 체계를 저해할 수 있음을 경계하고 있습니다.
상육(上六)
大君이 有命이니 開國承家애 小人勿用이니라.
대군 유명 개국승가 소인물용
상육은 대군이 명을 두니, 나라를 열고 가문을 이음에 소인은 쓰지 말라.
상육은 지수사괘의 최상단에 위치하여 전쟁의 종결과 천하 통일을 상징하는 자리입니다. 육오의 군주가 구이 장수를 적절히 활용하여 승전을 거두면, 새로운 국가 체제를 수립하게 됩니다. 이에 천하를 통일한 대군(大君)이 통치 방침을 수립하는데, 국가 운영과 왕조의 계승에 있어 소인(小人)의 등용은 지양해야 합니다. 전쟁 승리에 기여한 공로가 지대하더라도, 국가 경영의 역량이 부족한 소인에게 중요 직책을 위임하는 것은 부적절합니다.
象曰 大君有命은 以正功也오 小人勿用은 必亂邦也일새라
상왈 대군유명 이정공야 소인물용 필란방야
상전에 말하였다. “대군이 명을 둠은 공을 바르게 하는 것이고, 소인을 쓰지 말라는 것은 반드시 나라를 어지럽히기 때문이다.”
'대군이 명을 내린다'는 것은 전쟁의 시련을 극복하고 승리를 이끈 장수들의 공적을 공정하게 평가하고 합당한 보상을 수여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소인을 등용하지 말라'는 것은 능력과 자질이 부족한 인재를 중용할 경우 국가 운영에 심각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는 현대 정치 지도자들이 인재 등용에 있어 반드시 숙고해야 할 중요한 원칙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