괘의
경제를 원활하게 하여 나라를 부유하게 하려면 백성을 위로하여 근면하게 하고 서로 돕기를 권장하여야 한다(勞民勸相).
괘명과 괘상
서괘
困乎上者 必反下라 故로 受之以井하고
곤호상자 필반하 고 수지이정
위에서 곤궁한 자는 반드시 아래로 돌아온다. 그러므로 정(井)으로 받고
지풍승괘에서 지속적인 상승만을 추구하면 결국 기반이 취약해져 상부에서 어려움을 겪게 됩니다. 이러한 어려움에 직면할 때에는 반드시 근본으로 돌아가 제도를 체계적으로 재정비해야 하므로, 이를 상징하는 정괘(井卦)가 뒤따르게 되었습니다.
괘사
井은 改邑호대 不改井이니 无喪无得하며 往來 井井하나니
정 개읍 불개정 무상무득 왕래 정정
汔至亦未繘井이니 羸其甁이면 凶하니라.
흘지역미귤정 이기병 흉
정(井)은 고을(邑)은 고치되 우물은 고치지 못하니, 잃는 것도 없고 얻는 것도 없으며, 가고 오는 이가 우물을 우물로 쓰니, 거의 이름에 또 두레박줄이 우물에 닿지 않으니, 그 두레박(병)을 엎으면 흉하다.
국가 시스템의 기반이 되는 경제정책, 행정구역, 선거제도 등은 필요에 따라 개선이 가능하나, 민생(民生)의 근간인 우물은 변경할 수 없는 본질적 요소입니다. 우물은 모든 인류의 생존에 필수불가결한 기본 요소로서, 모든 구성원이 평등하게 누려야 할 기본권입니다. 이러한 맥락에서 민생의 근본 요소는 어떤 개인이나 단체의 독점적 소유가 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우물은 득실의 대상이 아닌, 공동체 전체가 자유롭게 이용하는 공공재의 성격을 지닙니다.
정책의 효과는 즉각적으로 나타나지 않습니다. 모든 정책은 단계적으로 시행되며, 그 성과를 확인하기까지 상당한 시간이 소요됩니다. 우물의 두레박줄이 바닥에 거의 다다랐을 때 조급하게 당기면 물을 제대로 담을 수 없는 것처럼, 정책의 결과가 즉시 나타나지 않는다고 해서 성급하게 중단하면 안 됩니다. 만약 두레박을 손상시킨다면, 이는 국가 경제와 국민 생활에 심각한 악영향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국민적 합의를 통해 수립된 정책은 그 효과가 충분히 나타날 때까지 일관성 있게 추진되어야 합니다. 단전은 이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습니다.
단사
彖曰 巽乎水而上水 井이니 井은 養而不窮也하니라.
단왈 손호수이상수 정 정 양이불궁야
改邑不改井은 乃以剛中也오 汔至亦未繘井은 未有功也오 羸其甁이라 是以凶也라.
개읍불개정 내이강중야 흘지역미귤정 미유공야 이기병 시이흉야
단전에 말하였다. “물에 들어가서 물을 올리는 것이 정(井)이니, 정(井)은 길러서 궁하지 않는 것이다. ‘고을은 고치되 우물은 고치지 않는다’는 것은 이에 강으로써 가운데 함이고, ‘거의 이르러 또 두레박줄이 우물에 닿지 않음’은 공이 있지 않은 것이고, ‘그 병을 엎는다’ 이로써 흉한 것이다.”
물을 마시기 위해서는 물이 있는 곳까지 두레박을 들여보내어 물을 퍼 올려야 합니다. 민생의 안정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국민이 실질적으로 필요로 하는 바를 백성과의 긴밀한 소통을 통해 파악하고 그 요구사항을 수용해야 합니다. 이와 같이 진정한 민생의 요구를 충족시킨다면, 우물물이 마르지 않듯이 국민의 생활에 궁핍함이 없을 것입니다.
'읍은 고치되 우물은 고치지 않는다'는 말은 정괘(井卦) 구오가 외괘 감수(坎水)☵에서 중정하게 위치하고 있듯이, 국가 정책은 전 국민이 신뢰하고 따를 수 있도록 확고하고 강건하며 중도를 지키며 추진되어야 함을 의미합니다. '거의 이르러 두레박줄이 우물에 닿지 않는다'는 것은 정책의 긍정적 성과를 도출하지 못하여 공이 없는 상태를 의미하며, 민생(民生)의 필수요소인 두레박을 파괴하는 것은 결과적으로 국가와 국민을 포기하는 것과 동일하므로 흉한 결과를 초래하게 됩니다.
괘상사
象曰 木上有水 井이니 君子 以하야 勞民勸相하나니라.
상왈 목상유수 정 군자 이 노민권상
상전에 말하였다. “나무 위에 물이 있는 것이 정(井)이니, 군자가 이를 본받아 백성을 위로하고 돕는 것을 권한다.”
마치 지하에 나무로 구조물을 설치하여 물이 모이도록 우물을 만드는 것처럼, 국민 경제의 발전을 위해서는 의식주의 기본적 생활이 보장될 수 있도록 체계적인 정책 기반을 구축하여 경제가 원활히 순환되도록 해야 합니다. 아울러 경제적 안정성과 번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국가 지도자가 국민들을 격려하고 상호 협력하며 근면한 노력을 장려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개인과 조직의 지속적인 발전과 안정적인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서는 각 이해관계자들이 상호 협력적인 관계를 구축해야 합니다. 조직의 리더십은 구성원들의 복리후생을 증진시키고, 구성원들은 조직의 성장을 위해 상호 협력하며 전문성을 발휘하는 것이 경제 발전의 핵심 동력이 됩니다.
효사 및 효상사
초육(初六)
井泥不食이라 舊井애 无禽이로다.
정니불식 구정 무금
초육은 우물이 진흙이어서 먹지 못한다. 오래된 우물에 새가 없도다.
초육은 최하단에 위치하며, 양의 자리에 음이 존재하여 우물 바닥의 침전물과 유사한 상태를 나타냅니다. 이러한 침전물로 인해 물은 사용이 불가능한 상태입니다. 가정, 기업, 국가에 이르기까지 경제(經濟)의 기반은 시대적 요구에 부응하며 지속적으로 개선되어야 합니다. 마치 관리되지 않은 우물에 고인 물이 정체되어 새들이 접근하지 않는 것처럼, 경제정책이 고착(固着)되면 국가 경제의 침체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象曰 井泥不食은 下也일새오 舊井旡禽은 時舍也라.
상왈 정니불식 하야 구정무금 시사야
상전에 말하였다. “우물이 진흙이어서 먹지 못함은 아래이기 때문이고, 오래된 우물에 새가 없는 것은 때에 버려진 것이다.”
정괘에서 초육효는 우물의 최하단에 위치하여 침전물이 축적되어 물을 사용할 수 없는 상태를 나타내며, 새들이 찾지 않는 노후된 우물은 관리 부실로 인해 그 기능을 상실했음을 의미합니다.
구이(九二)
井谷이라. 射鮒오 甕敝漏로다.
정곡 석부 옹폐루
구이는 우물이 골짜기다. 붕어가 쏘고 독이 깨져서 새도다.
내괘 손풍(巽風)☴은 인체의 다리를 상징하며(巽爲股), 구이효의 변화로 양이 음이 되면서 내괘는 간산(艮山)☶으로 전환됩니다. 이때 산간의 무릎은 계곡(溪谷)에 해당하게 됩니다. '우물이 계곡이라'(井谷)는 표현은 우물의 수자원이 외부로 유출되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수량 부족으로 인해 물고기가 외부로 도약하며 물을 튀기는 모습은, 용기의 파손으로 인한 누수와 동일한 맥락입니다. 이는 국가, 사회, 가정의 경제 운영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象曰 井谷射鮒는 无與也일새라.
상왈 정곡석부 무여야
상전에 말하였다. “우물이 골짜기여서 붕어가 쏜다는 것은 더불음이 없기 때문이다.”
우물이 깨져 물이 새면서 흐르는 물에 붕어가 산들 얼마나 살겠는가? 경제정책이 부실하여 나라와 백성이 서로 함께하지 못하는 것이다.
구삼(九三)
井渫不食하야 爲我心惻하야 可用汲이니 王明하면 竝受其福하리라.
정설불식 위아심측 가용급 왕명 병수기복
구삼은 우물이 깨끗하되 먹지 못해서, 내 마음이 슬프게 되어, 가히 물을 길을만하니, 왕이 밝으면 아울러 그 복을 받을 것이다.
구삼은 양의 위치에 양의 기운이 충실한 상태입니다. 우물이 중간 지점에서 정화되어 청정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나, 아직 인지도가 부족하여 활용되지 못하는 상황입니다. 이러한 우물의 수질은 충분히 활용 가능한 수준이므로, 현명한 통치자가 이러한 잠재력을 인식하고 활용한다면 상호 간에 이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이는 미발굴된 우수 인재를 적재적소에 배치함으로써 국정 운영의 효율성을 제고하고 국민 복지를 증진할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象曰 井渫不食은 行을 惻也오 求王明은 受福也라.
상왈 정설불식 행 측야 구왕명 수복야
상전에 말하였다. “우물이 깨끗하되 먹지 않음은 (먹지 않고) 감을 슬퍼하는 것이고, 왕의 밝음을 구함은 복을 받는 것이다.”
육사(六四)
井甃면 无咎리라.
정추 무구
육사는 우물을 치면 허물이 없을 것이다.
육사는 외괘 감수(坎水)☵의 음 자리에 위치하며, 음의 기운으로 자리가 적절합니다. 후천팔괘방위의 사계절을 살펴보면, 내괘 손풍(巽風)☴은 봄, 내호괘 태택(兌澤)☱은 가을, 외호괘 이화(離火)☲는 여름, 그리고 외괘 감수(坎水)☵는 겨울에 해당합니다. 따라서 춘하추동(春夏秋冬)의 계절적 순환에 맞추어 우물의 수질을 유지하기 위한 체계적인 관리가 필요합니다.
육사의 위치에서 분석하면, 내호괘 태택☱은 가을, 외호괘 이화☲는 여름, 외괘 감수☵는 겨울을 상징합니다. 특히 여름에서 겨울로 전환되는 시기인 가을에 우물의 정비를 실시하는 것이 최적의 시기라 할 수 있습니다.
象曰 井甃无咎는 修井也일새라.
상왈 정추무구 수정야
상전에 말하였다. “우물을 쳐서 허물이 없는 것은 우물을 닦기 때문이다.”
구오(九五)
井冽寒泉食이로다.
정렬한천식
구오는 우물이 맑아 찬 샘물을 먹도다.
象曰 寒泉之食은 中正也일새라.
상왈 한천지식 중정야
상전에 말하였다. “찬 샘물을 먹는 것은 가운데하고 바르기 때문이다.”
상육(上六)
井收勿幕고 有孚라. 元吉이니라.
정수물막 유부 원길
상육은 우물을 거두어서 덮지 말고 믿음을 둔다. 크게 길하다.
상육은 정괘의 최상위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고을은 변화할 수 있으나 우물은 그대로 두어야 하는데, 이는 우물이 공공의 자원이기 때문입니다. 우물은 특정 개인의 소유가 아닌, 모든 구성원이 공평하게 혜택을 받을 수 있는 공공재입니다. 따라서 우물을 폐쇄하여 접근을 제한하면 공공의 이익을 저해하게 되므로, 개방적인 운영을 통해 모든 이의 접근을 보장할 때 최적의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원리는 경제 제도에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과도한 규제 중심의 정책은 제도의 효용을 저해합니다. 제도는 통제의 수단이 아닌, 구성원 모두가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기반이 되어야 합니다.
象曰 元吉在上이 大成也라.
상왈 원길재상 대성야
상전에 말하였다. “크게 길함이 위에 있음이 크게 이루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