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료 만세력
home
격국 찾기
home

15. 지산겸

괘의

높은 산이 땅 아래에 있듯이, 풍요로운 곳에서 여유 있는 것을 덜어내어 어려운 처지에 있는 곳에 보태어 사회의 균형과 형평성을 유지해야 한다. 마치 저울로 물건의 무게를 재듯이 모든 상황을 세심하게 살펴보고 판단하여, 모든 이에게 공정하고 평등하게 베풀어야 한다(稱物平施). 이것이 진정한 겸손의 실천이며, 사회 정의를 구현하는 근본이 된다.

괘명과 괘상

외괘가 곤지(坤地)☷와 내괘가 간산(艮山)☶으로 구성된 이 괘를 '겸(謙)'이라고 합니다. 이는 높은 산이 땅 아래에 위치하는 모습으로, 자발적으로 자신을 낮추는 겸손의 정신을 나타냅니다. 자연에서 비와 바람이 적절할 때 만물이 조화롭게 성장하듯이, 인간 사회에서도 겸손한 태도를 지닌 이는 신뢰와 존경을 받지만, 지나치게 자신을 내세우는 이는 주위의 시기와 반감을 사게 됩니다. 본 괘는 하나의 양효와 다섯 개의 음효로 구성된 일양오음(一陽五陰)괘이며, 그 구조적 기반은 중지곤(重地坤)괘에 있습니다. 중지곤괘의 육삼효가 변화하면 지산겸괘가 형성됩니다.
六三은 含章可貞이니 或從王事하야 无成有終이니라.
육삼은 덕의 빛남을 머금고 바르게 행하니, 왕의 일을 따르되 이루지는 못하나 끝맺음은 있다.

언제 없어질 지 모르는 할인쿠폰!

명리학을 잘 활용하는 것은 주어진 운세에 맞게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것이에요! 이 더큼만세력을 만든 허유는 현재 희신세운을 맞이했어요. 때문에 적극적으로 사람들과 소통하기 위한 기회를 만들고 있답니다!
병화용신의 대표적인 재능은 ‘소통’이랍니다.
할인코드: pro5050
더큼만세력 바로가기

서괘

「서괘전」은 화천대유괘 다음에 지산겸괘를 둔 이유를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
有大者는 不可以盈이라 故로 受之以謙하고
유대자 불가이영 고 수지이겸
큰 것을 가진 자는 가득 차게 할 수 없다. 그러므로 겸손으로써 받고
큰 것을 가진 자일수록 더욱 겸허한 자세와 절제된 태도가 필요합니다. 높은 지위나 많은 재물을 가진 이는 그만큼 더 큰 책임과 덕목이 요구되기 때문입니다. 중천건괘의 상구효사가 보여주듯이, 후회하는 용(亢龍)이 되지 않으려면 자신을 낮추고 겸손한 마음가짐을 유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교만한 마음은 결국 실패와 후회를 낳게 되므로, 항상 자신을 낮추고 겸양의 미덕을 실천해야 합니다. 이러한 깊은 의미와 이유로 겸손을 상징하는 지산겸괘가 화천대유괘 다음에 위치하게 되었습니다.

괘사

謙은 亨하니 君子 有終이니라.
겸 형 군자 유종
겸손하면 형통하니, 군자는 일을 이룰 것이니라.
뛰어난 능력과 높은 지위를 지니고 있더라도 산이 땅 아래에 있듯이 겸허한 자세를 견지해야 합니다. 이러한 겸양의 태도는 자연스럽게 모든 일의 순조로운 진행으로 이어집니다. 겸손한 마음가짐으로 착수한 일은 어떠한 난관에 직면하더라도 반드시 성공적인 결과를 도출할 수 있습니다. 이는 마치 씨앗이 겸허히 대지 깊숙이 자리잡고 있다가 결국 아름다운 꽃을 피우고 열매를 맺는 것처럼, 진정한 유종(有終)의 미(美)를 실현하게 되는 것입니다. 이러한 겸손의 원리에 대해 단전은 다음과 같이 상세히 논하고 있습니다.

단사

彖曰 謙亨은 天道 下濟而光明하고 地道 卑而上行이라.
단왈 겸형 천도 하제이광명 지도 비이상행
天道는 虧盈而益謙하고 地道는 變盈而流謙하고 鬼神은 害盈而福謙하고 人道는 惡盈而好謙하나니 謙은 尊而光하고 卑而不可踰니 君子之終也라.
천도 휴영이익겸 지도 변영이유겸 귀신 해영이복겸 인도 오영이호겸 겸 존이광 비이불가유 군자지종야
단전에 말하였다."겸이 형통한 것은 하늘의 도가 아래로 내려와 광명하고, 땅의 도는 낮은 곳에서 위로 행하기 때문이다. 하늘의 도는 가득한 것을 감소시키고 겸손한 것을 더하며, 땅의 도는 가득한 것을 변화시켜 겸손한 곳으로 흐르게 한다. 귀신은 가득한 것을 해치고 겸손한 것에 복을 주며, 사람의 도는 가득한 것을 싫어하고 겸손한 것을 좋아한다. 겸손은 높아서 빛나고 낮아도 넘을 수 없으니, 이것이 군자의 궁극이다."
하늘은 비록 최상위에 자리하고 있으나, 그 무한한 혜택과 은총을 끊임없이 아래로 전달하여 만물을 따뜻하게 비추고 세상을 밝고 생동감 있게 만듭니다. 이는 마치 태양이 매일 아침 떠올라 모든 생명체에게 빛과 온기를 전하는 것과 같습니다. 반면 땅은 가장 낮은 곳에 위치하고 있으나, 그 순수하고 정화된 에너지가 쉼 없이 상승하여 하늘과 완벽한 조화를 이루며 만물의 생장을 돕습니다. 이는 마치 나무의 뿌리가 깊이 박혀 있으면서도 영양분을 위로 전달하여 꽃과 열매를 맺게 하는 것과 같습니다.
따라서 높은 지위에 있는 사람일수록 더욱 겸허하고 포용력 있는 자세로 임해야 그 가치가 한층 더 빛나며, 겸손한 태도를 한결같이 견지할 때 그 덕성이 자연스럽게 상승하여 주위에 선한 영향력을 미치게 됩니다. 이러한 원리는 천도(天道)·지도(地道)·신도(神道)·인도(人道)의 사법계(四法界) 전반에 걸쳐 나타나는 영원불변의 보편적 진리입니다. 마치 자연의 순환처럼, 이 네 가지 차원에서 모두 겸손의 미덕이 강조되고 있습니다.
결과적으로 모든 일의 진정한 성취와 완성은 이러한 겸손의 미덕을 바탕으로 할 때에만 가능하며, 이를 통해서만 진정한 유종(有終)의 미(美)를 온전히 달성할 수 있습니다. 이는 마치 풍성한 수확을 위해서는 먼저 씨앗이 겸허히 땅속 깊이 묻혀야 하는 것과 같은 이치입니다.

괘상사

象曰 地中有山이 謙이니 君子 以하야 裒多益寡하야 稱物平施하나니라.
상왈 지중유산 겸 군자 이 부다익과 칭물평시
상전에 말하였다. "땅 가운데 산이 있는 것이 겸(謙)이니, 군자는 이를 본받아 많은 것을 덜어 적은 것을 보태고, 만물을 공평하게 저울질하여 베푼다."
자연을 보면 거대한 산이 겸손하게 땅 속에 자리 잡고 있습니다. 이러한 자연의 모습에서 우리는 중요한 교훈을 얻을 수 있습니다. 군자는 이를 본받아 풍요로운 곳에서 여유 있는 것을 덜어내어 부족한 곳에 보태고, 모든 상황을 세심하게 저울질하여 사회의 형평성(衡平性)과 평등(平等)을 실현해야 합니다. 이처럼 사회정의(社會正義)의 근본은 형평과 평등의 실천에 있습니다.
현대 사회의 '부익부(富益富) 빈익빈(貧益貧)' 현상은 사회의 균형을 심각하게 무너뜨리고 있습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누진세(累進稅)와 같은 공정한 세금제도로 재원(財源)을 확보하고, 이를 통해 경제적 어려움을 겪는 이들에게 실질적인 복지혜택을 제공해야 합니다. 이처럼 겸(謙)의 정신은 개인의 덕목을 넘어서, 사회정의(社會正義)를 실현하고 진정한 평등(平等)을 구현하는 근본 원리가 됩니다.

효사 및 효상사

초구(初六)

謙謙君子니 用涉大川이라도 吉하니라.
겸겸군자 용섭대천 길
초육은 겸손하고 또 겸손한 군자이니, 큰 강을 건너더라도 길하리라.
초육은 양의 자리에서 음의 기운을 지니며 겸괘의 최하위에 위치합니다. 이는 겸손을 상징하는 괘체의 가장 아래에 자리잡고 있으며, 부드럽고 온화한 음의 성질을 갖추어 이중의 겸손을 체현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진정한 겸손의 덕목을 갖춘 이는 어떠한 도전에도 적절히 대응할 수 있는 내적 역량을 보유하게 됩니다. 따라서 이러한 군자는 중대한 책무가 주어지더라도 이를 원만히 수행할 수 있는 자질을 갖추고 있다고 하겠습니다.
象曰 謙謙君子는 卑以自牧也라.
상왈 겸겸군자    비이자목야
상전에 말하였다. “겸손하고 겸손한 군자는 낮춤으로써 스스로 기른다.”
초육의 겸손한 자세는 자신을 낮추는 겸허한 태도를 통해 내적 품성과 덕목을 발전시키는 것을 의미합니다.

육이(六二)

鳴謙이니 貞코 吉하니라.
명겸 정 길
육이는 겸손함이 울려 퍼지니, 곧고 바르게 하면 길하다.
육이는 내괘에서 중정한 자리에 위치하여, 자연스럽고 진실된 겸손함을 보여줍니다. 이는 마치 맑은 종소리가 저절로 울려 퍼지듯이, 인위적인 노력 없이도 그 겸손함이 자연스럽게 드러나는 상입니다. 더욱이 내괘의 간산(艮山)☶이 지닌 안정되고 굳건한 덕성이 바탕이 되어 있으며, 육이가 변화하여 손풍(巽風)☴이 될 때는 바람처럼 부드럽고 온화한 성질이 더해져 한층 더 깊은 겸손의 경지를 보여줍니다.
象曰 鳴謙貞吉은 中心得也라.
상왈 명겸정길    중심득야
상전에 말하였다. “겸손함을 울림이 바르게 해서 길함은 중심을 얻은 것이다.”

구삼(九三)

勞謙이니 君子 有終이니 吉하니라.
노겸 군자 유종 길
구삼은 수고롭더라도 겸손하니, 군자가 마침내 이루어 길하다.
구삼은 겸괘에서 유일하게 양의 위치에 자리잡고 있습니다. 내괘 간산☶의 상단에 위치하여, 그 탁월한 덕성으로 다섯 음을 대표하며 막중한 책무를 수행합니다. 이는 마치 한 사람의 지도자가 많은 이들을 이끌어가는 모습과 같습니다. 비록 무거운 책임이 따르는 위치이지만, 구삼은 언제나 겸손한 자세로 맡은 바 소임을 충실히 이행합니다. 이처럼 진정한 겸손의 미덕을 실천하는 군자의 태도는 반드시 성공적인 결실을 맺게 되어 길한 결과를 가져옵니다. 이러한 깊은 의미에 대해 공자는 「계사상전」 제8장에서 상세히 논하셨습니다.
"노고가 따르더라도 겸손을 잃지 않는 군자는 반드시 좋은 결과를 얻게 됩니다." 공자께서는 이어서 다음과 같이 심오한 가르침을 전하셨습니다. "진정한 겸손이란, 끊임없이 많은 노력을 기울이되 결코 이를 내세우지 않으며, 커다란 공적을 이루되 결코 이를 자신의 덕으로 여기지 않는 것입니다. 이것이야말로 겸손의 진정한 정수라 할 수 있습니다. 이는 자신이 이룬 모든 성과와 공적을 타인을 위해 낮추고 양보하는 고귀한 정신을 의미합니다. 여기서 덕이란 내면의 충만함을 상징하고, 예란 외면의 공경심을 나타내니, 결국 겸손이란 이러한 내외의 조화를 이루며 공경하는 마음으로 자신의 위치를 지켜나가는 것입니다."(勞謙이니 君子 有終이니 吉이라하니 子曰 勞而不伐하며 有功而不德이 厚之至也니 語以其功下人者也라. 德言盛이오 禮言恭이니 謙也者는 致恭하야 以存其位者也라.)
象曰 勞謙君子는 萬民의 服也라.
상왈 노겸군자 만민 복야
상전에 말하였다. "열심히 노력하면서도 겸손한 군자는 모든 백성의 신뢰를 얻는다."
겸괘의 구삼은 유일한 양의 위치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합니다. 온갖 일을 도맡아 수고롭게 일을 하면서도 겸손한 태도를 잃지 않으니, 이는 진정한 지도자의 모습을 보여줍니다. 이처럼 책임감과 겸손을 조화롭게 실천하는 구삼의 덕성으로 인해, 자연스럽게 모든 백성이 그의 지도력을 인정하고 신뢰하며 따르게 되는 것입니다.

육사(六四)

无不利撝謙이니라.
무불리휘겸
육사는 겸손을 널리 펼치니 이롭지 않음이 없다.
육사는 대신의 지위에서 겸손한 자세로 임하여, 그 고결한 품성이 자연스럽게 영향력을 발휘합니다. 상관인 육오를 모심에 있어서도 예의 바르게 처신하며, 백성들을 대할 때도 일관된 공손함을 보입니다. 이러한 진정성 있는 태도는 전체 조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더욱이 육사의 위치가 변화하여 양의 기운을 얻게 되면 진뢰의 형상이 되어, 그 영향력이 더욱 분명하게 드러나게 됩니다.
象曰 无不利撝謙은 不違則也라.
상왈 무불리휘겸 불위칙야
상전에 말하였다. "겸손을 널리 펼치면 이롭지 않음이 없으니, 이는 도리에 어긋나지 않기 때문이다."
육사는 대신의 직책에 따른 중대한 책무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대신으로서의 겸손한 자세는 개인적 미덕의 범주를 초월하여, 국가의 제도와 규범을 존중하고 성실히 실천하는 기반이 됩니다. 이러한 겸허한 태도는 상으로는 군주를 공경하고 하로는 백성을 보호하는 대신의 책무를 완수하는 데 있어 필수적인 덕목입니다.

육오(六五)

不富以其鄰이니 利用侵伐이니 无不利하리라.
불부이기린 이용침벌 무불리
육오는 홀로 부유하지 않고 이웃과 함께하니, 바로잡음이 이로우니, 이롭지 않음이 없을 것이다.
육오는 외괘의 중앙에 위치한 군주로서 지도자의 중요한 역할을 수행합니다. 진정한 지도자의 겸손이란 단순한 자기 비하가 아닌, 국가의 부와 권력을 공정하게 분배하여 국민과 함께 번영을 이루는 것입니다. 그러나 이러한 겸손이 무분별한 관용이나 결단력 부족을 의미하지는 않습니다. 지도자로서 과도한 겸양은 오히려 국가 질서를 약화시키고 안정을 위협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때로는 단호한 리더십이 필요하며, 특히 법질서를 위반하는 이들에 대해서는 적절한 제재를 통해 국가 안정을 확보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象曰 利用侵伐은 征不服也라.
상왈 이용침벌    정불복야
상전에 말하였다. “침벌함이 이로움은 복종하지 않는 것을 정벌하는 것이다.”

상육(上六)

鳴謙이니 利用行師하야 征邑國이니라.
명겸 이용행사 정읍국
상육은 겸손이 울리니, 군사를 일으켜 읍국을 치는 것이 이롭다.
상육은 겸괘의 최상위에 위치하고 있으나, 겸손의 진정한 의미를 이해하지 못하고 자신의 겸손함을 과시하려는 경향을 보입니다. 이는 마치 자신의 겸손을 알리고자 목소리를 높이는 것과 같으며, 이는 겸손의 본질과는 거리가 멉니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외부 요인이나 타인을 비난하기보다, 자기 성찰을 통해 진정한 겸손의 의미를 재고해야 합니다. 따라서 군사를 동원하여 읍국(邑國)을 공격하라는 것은 자신의 마음속에 자리 잡은 교만과 고집을 단호히 제거하라는 의미입니다. 여기서 읍국(邑國)은 자기 자신의 내면을 상징적으로 표현한 것입니다.
象曰 鳴謙은 志未得也니 可用行師하야 征邑國也라.
상왈 명겸 지미득야 가용행사 정읍국야
상전에 말하였다. "겸손함을 드러내어 울리는 것은 뜻을 이루지 못했기 때문이니, 군사를 일으켜 읍국을 정벌할 수 있는 것이다."
상육의 위치에서는 겸손의 표면적 실천으로 인해 본질적 의미를 달성하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합니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군사적 규율과 같은 엄격한 자기 통제를 통해 내면을 철저히 점검하고, 과거의 행동을 심도 있게 성찰하여 진정한 겸손의 가치를 회복해야 합니다. 이는 단순한 형식적 예의가 아닌, 내면의 근본적 전환을 통해 실현되는 것입니다.

다음 괘

이전 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