괘의
하늘이 부여한 성품을 바르게 지켜 나가고, 천도의 변화에 응하여 만물을 기르라(對時育物).
괘명과 괘상
언제 없어질 지 모르는 할인쿠폰!
명리학을 잘 활용하는 것은 주어진 운세에 맞게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것이에요! 이 더큼만세력을 만든 허유는 현재 희신세운을 맞이했어요. 때문에 적극적으로 사람들과 소통하기 위한 기회를 만들고 있답니다!
병화용신의 대표적인 재능은 ‘소통’이랍니다.
할인코드: pro5050
더큼만세력 바로가기
서괘
復則不妄矣라 故로 受之以无妄하고
복즉불망의 고 수지입무망
회복되면 망령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무망으로써 받고
침체되어 있던 부정적 기운이 소멸되고 생동감 넘치는 양의 기운이 나타나면서, 본연의 순수한 천성이 회복됩니다. 이러한 자연스러운 진행 과정에 따라 천뢰무망괘를 지뢰복괘의 다음 순서에 배치하였습니다.
괘사
无妄은 元亨하고 利貞하니 其匪正이면 有眚하릴새 不利有攸往하니라.
무망 원형 이정 기비정 유생 불리유유왕
무망(无妄)은 크게 형통하고 바름이 이로우니, 그 바르지 않으면 재앙이 있을 것이니 가는 바를 둠이 이롭지 않다.
무망(无妄), 즉 하늘이 부여한 본성의 회복은 매우 큰 형통함을 가져옵니다. 다만, 이러한 상태를 지속하기 위해서는 올바른 길을 걸어야 합니다. 올바른 방향을 잃게 되면 망령된 상태에 빠지게 되며, 이는 곧 불운을 초래하여 어떠한 시도도 성과를 거두기 어렵게 됩니다. 이에 대해 단전에서는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습니다.
단사
彖曰 无妄은 剛이 自外來而爲主於內하니 動而健하고 剛中而應하야 大亨以正하니 天之命也라.
단왈 무망 강 자외래이위주어내 동이건 강중이응 대형이정 천지명야
其匪正有眚不利有攸往은 无妄之往이 何之矣리오.
기비정유생불리유유왕 무망지왕 하지의
天命不祐를 行矣哉아.
천명불우 행의재
단전에 말하였다. “무망(无妄)은 강(剛)이 밖으로부터 와서 안에서 주장하니, 움직이고 굳건하고, 강이 가운데 하고 응해서 크게 형통해서 바르니 하늘의 명이다. ‘그 바르지 않으면 재앙이 있어 가는 바를 둠이 이롭지 않음’은 무망(无妄)의 감이 어디를 가겠는가? 천명이 돕지 않음을 행하겠는가?”
이러한 맥락에서 '바르지 않으면 재앙이 있어 전진이 이롭지 않다'는 말씀은 본연의 바른 길을 벗어난 상태에서는 어떠한 행동도 성과를 거둘 수 없음을 의미합니다. 천명(天命)의 가호를 받지 못하면 올바른 방향으로 나아갈 수 없기 때문입니다.
괘상사
象曰 天下雷行하야 物與无妄하니 先王이 以하야 茂對時하야 育萬物하니라.
상왈 천하뇌행 물여무망 선왕 이 무대시 육만물
상전에 말하였다. “하늘 아래에 우레가 행해서 물건마다 무망(망녕됨이 없는 천성)을 주니, 옛 왕이 이를 본받아 성하게 때를 대해서 만물을 길렀다.”
하늘☰ 아래에서 울리는 우레☳는 자연의 순수한 본성을 만물에게 부여합니다. 고대의 현명한 통치자들은 이러한 자연의 섭리를 본받아, 계절의 흐름에 맞추어 만물을 보살폈습니다. 봄의 새싹, 여름의 성장, 가을의 수확, 겨울의 휴식 - 이러한 자연스러운 순환을 통해 국정을 현명하게 운영했습니다. 무망(无妄)괘는 이처럼 하늘이 부여한 본성을 올바르게 계발하고 육성하는 방법을 제시합니다.
효사 및 효상사
초구(初九)
无妄이니 往애 吉하리라.
무망 왕 길
초구는 망령됨이 없으니, 감에 길할 것이다.
초구 양은 하늘☰로부터 순수한 천성(天性)을 받았습니다. 이 천성을 그대로 지키면서 내괘 진☳의 방향으로 나아가니 길합니다. 이렇게 하면 바라는 바를 이룰 수 있습니다.
象曰 无妄之往은 得志也리라.
상왈 무망지왕 득지야
상전에 말하였다. “무망의 감은 뜻을 얻을 것이다.”
육이(六二)
不耕하야 穫하며 不菑하야 畬니 則利有攸往하니라.
불경 확 불치 여 즉이유유왕
육이는 밭을 갈지 않아서 거두며, 1년 밭을 갈지 않았는데도 3년 밭이 되니, 곧 가는 바를 둠이 이롭다.
육이는 내괘의 중정한 위치에서 외괘 건☰의 중정한 구오와 조화롭게 호응합니다. 하늘로부터 받은 중정한 본성을 따라 자연의 이치에 순응하니, 모든 일이 자연스럽게 성취됩니다. '치(菑)'는 1년 묵은 밭을, '여(畬)'는 3년 된 밭을 의미합니다. 《이아(爾雅)》의 설명에 따르면, 1년 된 밭은 '치(菑)', 2년 된 밭은 '신전(新田)', 3년 된 밭은 '여(畬)'라고 합니다(田 一歲曰菑 二歲曰新田 三歲曰畬). 이는 마치 1년의 노력으로 3년의 결실을 맺는 것과 같이, 자연스러운 순리에 따라 모든 일이 성취됨을 의미합니다. 이는 인위적인 노력 없이도 자연스럽게 풍요로움을 얻게 되며, 본성에 따라 살아가는 무욕의 경지를 나타냅니다. 이러한 맥락에서 노자(老子)의 깊은 통찰을 참고할 만합니다. 《도덕경》 제51장에서는 다음과 같이 설명합니다.
道生之하고 德畜之하며 物形之하고 勢成之하니 是以로 萬物이 莫不尊道而貴德이라. 道之尊과 德之貴는 夫莫之爵而常自然이라. 故로 道生之하고 德畜之하며 長之育之하고 亭之毒之하며 養之覆之하니 生而不有하고 爲而不恃하며 長而不宰를 是謂玄德이니라.
도가 낳고 덕은 기르며, 물건을 형상하고 형세를 이루니,
이로써 만물이 도를 높이고 덕을 귀하게 하지 않음이 없다.
도의 높음과 덕의 귀함은 무릇 누가 부여함이 없이 항상 스스로 그러한 것이다.
그러므로 도가 낳고 덕이 기르며, 자라게 하고 이루어 주며,
형통하게 하고 성숙하게 하며, 길러주고 살피니,
낳아도 소유하지 않고, 하여도 자랑하지 않고, 길러도 주재하지 않음을
이를 일컬어 '현묘한 덕'이라 한다.
象曰 不耕穫은 未富也라.
상왈 불경확 미부야
상전에 말하였다. “밭을 갈지 않아도 거둠은 (억지로) 안 해도 부하게 되는 것이다.”
천성을 통해 우주의 원리와 조화를 이루며, 자연스럽게 번영을 이루게 됩니다. 이러한 천성의 순수함은 개인의 이익을 추구하지 않고 올바른 길을 걸어가는 데 중점을 둡니다.
육삼(六三)
无妄之災니 或繫之牛하나 行人之得이 邑人之災로다.
무망지재 혹계지우 행인지득 읍인지재
육삼은 무망의 재앙이니, 혹 소를 매나 지나가는 사람의 얻음이 읍 사람의 재앙이로다.
육삼은 양의 자리에 음이 위치하여 중도와 균형을 잃은 상태입니다. 이는 올바른 길에서 벗어나 천명과 부합하지 않는 상황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경우 불가피한 결과가 따르게 되는데, 이는 마치 마을 입구에 매어둔 소를 지나가는 사람이 가져가 마을 사람들에게 문제가 되는 것과 같습니다. 육삼이 변화하면 내괘는 이화(離火)☲가 되며, 이(離)☲는 소라는 동물과 연관됩니다(중화리괘 참조).
'소(牛)'는 여기서 인간의 정신(精神)을 상징적으로 나타냅니다. 방향성을 상실하고 방황하다가 특정 신념이나 사상에 매료되지만, 결국 타인에 의해 본질적 가치를 상실하게 되는 것입니다. 《맹자(孟子)》 「고자장구상(告子章句上)」에서는 다음과 같이 서술합니다.
孟子曰仁은 人心也오 義는 人路也니라. 舍其路而弗由하며 放其心而不知求하나니 哀哉라! 人이 有雞犬이 放則知求之호대 有放心而不知求하나니 學問之道는 無他라 求其放心而已矣니라.
맹자께서 말씀하셨다. "어짊은 사람의 마음이요, 의로움은 사람의 길이다. 그 길을 버리고 따르지 않으며, 그 마음을 잃어버리고 찾을 줄을 모르니, 애처롭다. 사람이 닭과 개가 도망가면 찾을 줄을 알되, 마음을 잃고서는 찾을 줄을 알지 못하니, 학문하는 방법은 다른 것이 없다. 그 잃어버린 마음(放心)을 찾는 것일 뿐이다."
象曰 行人得牛 邑人災也라.
상왈 행인득우 읍인재야
상전에 말하였다. “지나가는 사람이 소를 얻음이 읍 사람의 재앙이다.”
천성에서 벗어나 중도를 상실한 상황에서, 정신적 가치(소)를 제대로 지키지 못하고 타인에게 빼앗기게 되니, 이는 결국 자신의 부주의로 인한 불가피한 결과입니다.
구사(九四)
可貞이니 无咎리라.
가정 무구
구사는 가히 바르게 하니, 허물이 없을 것이다.
구사는 음의 자리에 양이 위치하여 중도를 이루지는 못하였으나, 외괘 건천☰의 영역에 있으며, 구사가 변화하면 손☴이 되어 천명에 순응하는 겸손한 모습을 나타냅니다. 이와 같이 올바른 방향을 따르면 천부적인 본성을 확고히 유지하여 과오가 없게 됩니다.
象曰 可貞无咎는 固有之也일새라.
상왈 가정무구 고유지야
상전에 말하였다. “가히 바르게 해서 허물이 없음은 굳게 두기 때문이다.”
구오(九五)
无妄之疾은 勿藥이면 有喜리라.
무망지질 물약 유희
구오는 무망의 병은 약을 쓰지 않으면 기쁨이 있을 것이다.
구오는 외괘 건천(乾天)☰의 중정한 위치에 자리잡고 있습니다. 구오의 변화로 외괘가 이화(離火)☲로 전환되면서 질병의 가능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순수한 상태를 유지하더라도 예기치 않은 질병이 찾아올 수 있습니다. 천성(天性)을 수련하는 과정에서도 갑작스러운 질병이 발생할 수 있으나, 이는 자연스럽게 치유될 것입니다. 천성을 따르며 순수하게 살아가더라도 도전과 시련은 피할 수 없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시련 속에서도 흔들림 없이 천성을 지켜나간다면 궁극적으로 큰 기쁨을 얻게 될 것입니다. 수련 과정에서 마주하는 질병이나 순수한 삶 속에서 맞이하는 시련은 인위적으로 통제할 수 없는 것입니다.
象曰 无妄之藥은 不可試也니라.
상왈 무망지약 불가시야
상전에 말하였다. “무망의 약은 가히 시험하지 못한다.”
상구(上九)
无妄애 行이면 有眚하야 无攸利하니라.
무망 행 유생 무유리
상구는 무망에 가면 재앙이 있어서 이로운 바가 없다.
상구는 외괘 건천(乾天)☰의 최상단에 위치하여 균형을 벗어난 상태입니다. 상구가 변화하여 태택(兌澤)☱이 되면 본연의 기운이 소실되어 어려움을 맞게 됩니다. 따라서 본질적 순수함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하단의 내괘에서 중도를 이루지 못한 육삼과 상응하고 있어, 상구가 순수성을 지니고 있더라도 불안정한 육삼과 관계를 맺으면 불가피한 손실이 발생합니다. 이는 최상단에서 발생하는 필연적 한계상황을 의미합니다.
象曰 无妄之行은 窮之災也라.
상왈 무망지행 궁지재야
상전에 말하였다. “무망의 감은 궁해서 재앙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