괘의
새로운 시대에 명을 베풀어 새로운 사회적 기틀을 만들어가는 데는 각자의 자리와 역할을 바르게 하고 맡은 바 임무를 충실히 해야 한다(正位凝命).
괘명과 괘상
외괘가 이화(離火)☲, 내괘가 손풍(巽風)☴으로 이루어진 괘를 '정(鼎)'이라고 합니다. 화풍정(火風鼎)괘는 솥의 형상을 바탕으로 그 기운의 양상을 표현하고 있습니다. 인간이 먹을 밥을 짓기 위해서는 솥에 물과 쌀을 넣고 불을 지펴서 익혀야 합니다. 새로운 시대에 새로운 사회를 만들기 위해서는 솥이라는 새로운 제도를 만들고 그 제도에 맞게 사회의 모든 요소를 불로 담금질하여 익혀야 합니다.
인간이 새로운 명을 받아 새로운 삶을 살아가기 위해서는 자세를 바로 하고 하늘로부터 받은 명을 잘 응결하여야 합니다. 택화혁(澤火革)괘의 혁명(革命)은 화풍정(火風鼎)괘의 응명(凝命)을 통하여 완성되는 것입니다.
서괘
革物者 莫若鼎이라 故로 受之以鼎하고
혁물자 막약정 고 수지이정
물건을 고치는 것은 솥만한 것이 없다. 그러므로 정괘(鼎卦)로써 받고
괘사
鼎은 元(吉)亨하니라.
정 원(길)형
정(鼎)은 크게 (길하여) 형통하다.
화풍정(火風鼎)괘는 인간이 밥을 만들어낼 수 있게 하며, 사회 구성원들이 잘 살아갈 수 있도록 새로운 기틀을 마련하고 명(命)을 응결하는 역할을 하므로 크게 형통합니다. '길(吉)'자는 필요 없는 글자이므로 해석하지 않습니다. 단전은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습니다.
단사
彖曰 鼎은 象也니 以木巽火 亨飪也니 聖人이 亨하야 以享上帝하고 而大亨하야 以養聖賢하니라.
단왈 정 상야 이목손화 팽임야 성인 팽 이향상제 이대팽 이양성현
巽而耳目이 聰明하며 柔進而上行하고 得中而應乎剛이라.
손이이목 총명 유진이상행 득중이응호강
是以元亨하니라.
시이원형
단전에 말하였다. “정(鼎)은 형상이니, 나무로써 불을 들여서 밥을 삶으니, 성인이 삶아서 상제께 제사올리고, 크게 삶아서 성현을 기른다. 겸손하고 귀와 눈이 총명하며, 유(柔)가 나아가 위로 행하고 중을 얻어 강(剛)에 응하고 있다. 이로써 크게 형통한 것이다.”
이러한 원리를 바탕으로 성인(聖人)이 음식을 삶아 상제께 제사를 올리고, 또한 크게 삶아 성인과 현인을 양성하였습니다. 괘덕(卦德)을 살펴보면 내괘 손풍☴은 겸손함을, 외괘 이화☲는 귀와 눈이 총명한 상을 나타냅니다. 더불어 부드러운 음(陰) 기운이 아래에서 위로 행하여 외괘에서 중을 얻고 아래 구이의 양(陽)과 응하니, 이로써 형통함을 이룹니다.
이와 같이 음식을 삶아 제사를 올리고 성현을 기르는 과정에서는 위와 아래의 조응(調應)이 필수적입니다. 이때 기운은 아래에서 위로 상승하게 되는데, 제사를 올리는 성인의 마음이 하늘의 상제(上帝)에게 도달하여 상제와 성인 간의 조응이 이루어져야 하며, 동일한 원리로 성현의 마음과 정성 또한 상호 조응이 이루어져야 합니다.
괘상사
象曰 木上有火 鼎이니 君子 以하야 正位하야 凝命하나니라.
상왈 목상유화 정 군자 이 정위 응명
상전에 말하였다. “나무 위에 불이 있는 것이 정(鼎)이니, 군자가 이를 본받아 자리를 바로해서 명을 엉긴다.”
내괘 손풍(巽風)☴의 나무 위에 외괘 이화(離火)☲의 불이 있는 기운의 양상으로 음식을 익히는 것이 솥의 원리입니다. 나무로 불을 지피고 그 위에 솥을 올려 음식을 삶으니, 이러한 상을 보고 군자는 솥이 바르게 자리하여 음식을 잘 익게 하듯이, 자리(자세)를 바르게 하고 천명(天命)을 잘 엉기게 합니다.
효사 및 효상사
초육(初六)
鼎이 顚趾나 利出否하니 得妾하면 以其子无咎리라.
정 전지 이출비 득첩 이기자무구
초육은 솥이 발이 엎어지나 비색한 것을 내놓음이 이로우니, 첩을 얻으면 그 자식으로써 허물이 없을 것이다.
초육은 정괘(鼎卦)에서 맨 아래에 위치하여 솥발을 상징합니다. 이는 음식을 조리하는 과정에서 첫 단계인 솥 청소를 의미합니다. 밥을 짓기에 앞서 솥을 뒤집어 놓고 내부의 불순물을 제거하는 과정이 필요합니다.
혁명(革命)을 통해 새로운 명을 응결시키는 과정(凝命)에서는 우선적으로 낡은 악습(惡習)을 제거해야 합니다. '새 술은 새 포대에 담으라'는 격언이 이를 잘 설명해줍니다. 이는 마치 옛 가도(家道)에서 본처(本妻)가 자식을 낳지 못할 경우, 첩(妾)을 통해 자손을 얻어 가문의 대(代)를 이어가는 것과 같은 이치로, 이러한 경우에는 허물이 되지 않습니다.
象曰 鼎顚趾나 未悖也오 利出否는 以從貴也라.
상왈 정전지 미패야 이출비 이종귀야
상전에 말하였다. “솥이 발이 엎어지나 어그러지지 않는 것이고, 비색한 것을 내놓음이 이로운 것은 귀함을 좇는 것이다.”
솥의 발을 엎는 것은 불순물을 제거하여 청결함을 유지하기 위한 것이므로 도리에 어긋나지 않습니다. 또한 비색한 것을 제거하여 구습(舊習)을 일소하는 것은 새로운 가치를 추구하기 위한 것입니다.
구이(九二)
鼎有實이나 我仇 有疾하니 不我能卽이면 吉하리라.
정유실 아구 유질 불아능즉 길
구이는 솥에 실물이 있으나, 내 짝이 병이 있으니, 나에게 능히 나아가지 못하게 하면 길할 것이다.
象曰 鼎有實이나 愼所之也니 我仇有疾은 終无尤也리라.
상왈 정유실 신소지야 아구유질 종무우야
상전에 말하였다. “솥에 실물이 있으나 갈 바를 삼가니, 나의 짝이 병이 있음은 마침내 허물이 없을 것이다.”
구삼(九三)
鼎耳 革하야 其行이 塞하야 稚膏를 不食하나 方雨하야 虧悔 終吉이리라.
정이 혁 기행 색 치고 불식 방우 휴회 종길
구삼은 솥귀가 바뀌어서 그 행함이 막혀 꿩 기름을 먹지 못하나, 바야흐로 비가 와서 이지러진 뉘우침이 마침내 길할 것이다.
구삼은 양 자리에 양으로 제자리에 있으나, 중(中)을 얻지 못하였습니다. 정괘(鼎卦)의 구삼효는 앞의 택화혁(澤火革)괘의 구사효와 상호 조응하는 개념입니다. 화풍정괘를 도전하면 정괘(鼎卦)의 구삼효가 혁괘(革卦)의 구사효로 전환됩니다.
혁괘(革卦) 구사효에서는 "뉘우침이 없어지니 믿음을 두면 명을 고쳐서 길할 것이다(悔亡하니 有孚면 改命하야 吉하리라)"라고 하였습니다. 즉 솥귀가 고쳐졌다는 것(鼎耳 革)은 혁명을 통해 이전의 제도가 변혁되었음을 의미합니다. 구삼이 양 자리에 양으로 실(實)하여 능력을 구비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중을 얻지 못하였으니, 혁명의 상황에 적절히 적응하지 못하여 자신의 의도한 바를 실현하지 못하게 된 것입니다. 이는 곧 국가에 등용되어 국록(國祿)을 받지 못하게 되었음을 시사합니다.
그렇지만 시대가 변화하여 새로운 명이 응결되고 있으며 구삼 역시 실력을 갖춘 상태이므로, 때가 되면 비가 내리는 나라의 은덕을 받게 되어 후회가 사라지고 마침내 길하게 됩니다. 구삼이 변하면 지괘(之卦)가 화수미제(火水未濟)가 되므로, 신중하게 때를 기다려야 합니다.
象曰 鼎耳革은 失其義也일새라.
상왈 정이혁 실기의야
상전에 말하였다. “솥귀가 바뀜은 그 뜻을 잃었기 때문이다.”
구삼이 솥귀가 바뀌는 혁명의 시기에 적절히 부응하지 못하였으므로, 본래 지니고 있던 의미를 상실하게 된 것입니다.
구사(九四)
鼎이 折足하야 覆公餗하니 其形이 渥이라 凶토다.
정 절족 복공속 기형 악 흉
구사는 솥이 발이 부러져서 공의 밥을 엎으니, 그 얼굴이 젖는다. 흉하도다.
주자(朱子)는 '얼굴 형(形)'을 '형벌 형(刑)'으로, '젖을 악(渥)'을 '목벨 옥(剭)'으로 해석하여 중대한 처벌의 의미로 보았습니다. 이러한 해석은 본문의 전체적인 맥락과 일치합니다. 이와 관련하여 공자(孔子)는 「계사하전」(繫辭下傳) 제5장에서 다음과 같은 견해를 제시하였습니다.
子曰 德薄而位尊하며 知小而謀大하며 力小而任重하면 鮮不及矣나니 易曰 鼎이 折足하야 覆公餗하니 其形이 渥이라 凶이라하니 言不勝其任也라.
공자께서는 다음과 같이 설명하셨습니다. "덕(德)이 부족한데 지위가 높거나, 지혜가 부족한데 큰일을 도모하거나, 능력이 부족한데 중책을 맡으면 실패를 피하기 어렵습니다. 역(易)에서 '솥이 발이 부러져 공의 밥을 엎으니, 그 얼굴이 젖어 흉하다'라고 한 것은 바로 자신의 능력으로 감당할 수 없는 책임을 맡았기 때문입니다."
象曰 覆公餗하니 信如何也오.
상왈 복공속 신여하야
상전에 말하였다. “공의 밥을 엎으니, 믿음이 어떠하겠는가?”
육오(六五)
鼎黃耳金鉉이니 利貞하니라.
정황이금현 이정
육오는 솥이 누런 귀에 금 고리니 바르게 함이 이롭다.
육오의 음(陰)은 내괘 구이의 양(陽)과 조화롭게 작용하여 솥 안의 음식이 적절히 익어갑니다. 이 과정이 원활히 완성되도록 중도(中道)의 원칙을 지키며 신중하게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象曰 鼎黃耳는 中以爲實也라.
상왈 정황이 중이위실야
상전에 말하였다. “솥의 누런 귀는 중(中)으로써 실물이 되는 것이다.”
상구(上九)
鼎玉鉉이니 大吉하야 无不利니라.
정옥현 대길 무불리
상구는 솥이 옥고리니, 크게 길해서 이롭지 않음이 없다.
상구는 정괘(鼎卦)의 최상단에 위치하여 왕의 지위를 상징합니다. 이러한 고귀한 위치를 나타내기 위해 옥현(玉鉉)이라는 표현을 사용했습니다. 비록 음 자리에 양이 위치하고 중심에서 벗어나 있지만, 정괘에서 상구는 완성된 음식을 섭취하는 위치로서 매우 길한 의미를 지닙니다. 이는 수풍정(水風井)괘의 상육효가 가진 의미와 상통합니다.
옥고리는 솥의 상단부에 위치한 뚜껑의 손잡이를 지칭합니다. 육오의 위치에서는 음양의 조화로운 작용으로 인해 음식이 적절히 조리되며, 상구에서는 뚜껑을 개방하여 완성된 음식을 취식할 수 있게 되어 매우 길하고 모든 면에서 이로움이 있습니다. 상구에서의 이러한 길한 결과는 적절한 재료의 선택과 물과 불의 균형 잡힌 조화를 통한 조리 과정이 선행되었기 때문입니다. 이는 곧 강(剛)과 유(柔)의 적절한 균형이 이상적인 결과를 도출하는 핵심 요소임을 시사합니다.
국가사회 내의 이해집단 간 관계, 국가정책과 제도의 실현, 백성의 안녕과 질서 등 이 모든 것이 강(剛)과 유(柔)의 조절작용을 통하여 체계적으로 실현됩니다.
象曰 玉鉉在上은 剛柔 節也일새라.
상왈 옥현재상 강유 절야
상전에 말하였다. “옥고리가 위에 있음은 강과 유가 조절되었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