괘의
마치 산 아래의 불빛이 산을 명료하게 비추고 단풍이 우아하게 물들어가듯이, 통치자는 정무를 투명성 있게 수행하고 사회의 조화로운 발전을 도모하되, 사법적 판단에 있어서는 엄중한 신중함을 기합니다(无敢折獄).
괘명과 괘상
외괘가 간산(艮山)☶, 내괘가 이화(離火)☲로 구성된 괘를 '비(賁)'라고 합니다. 이는 산 아래에서 단풍이 아름답게 물드는 모습을 상징하여 '꾸밀 비'라 명명되었습니다. 이 괘는 사회의 조화로운 운영을 위해 경미한 위법 행위에 대해서는 지나치게 엄격한 처벌을 지양하고 포용적으로 다스려야 함을 시사합니다. 범죄율의 증가는 법체계 자체의 문제점을 반영할 수 있다는 점에서, 내괘의 이화(離火)☲가 상징하는 형벌이 외괘 간산(艮山)☶에 의해 적절히 제어되어야 한다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습니다.
언제 없어질 지 모르는 할인쿠폰!
명리학을 잘 활용하는 것은 주어진 운세에 맞게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것이에요! 이 더큼만세력을 만든 허유는 현재 희신세운을 맞이했어요. 때문에 적극적으로 사람들과 소통하기 위한 기회를 만들고 있답니다!
병화용신의 대표적인 재능은 ‘소통’이랍니다.
할인코드: pro5050
더큼만세력 바로가기
서괘
嗑者는 合也니 物不可以苟合而已라 故로 受之以賁하고
합자 합야 물불가이구합이이 고 수지이비
합(嗑)이란 합함이니, 물건이 구차하게 합하지만은 못할 따름이다. 그러므로 비로써 받고
서합은 서로 연결되는 과정을 의미하나, 모든 관계와 상황에서 일률적인 결합만이 적절한 것은 아니며 상호 조화를 이루어야 합니다. 마찬가지로 법집행에 있어서도 일방적인 처벌보다는 사회적 조화를 위한 균형 잡힌 접근이 필요합니다. 이러한 맥락에서 화뢰서합괘 이후에 산화비괘가 배치되었습니다.
괘사
賁는 亨하니 小利有攸往하니라.
비 형 소리유유왕
비는 형통하니, 가는 바를 둠이 조금 이롭다.
비(賁)는 사회의 건전한 발전과 질서 유지를 상징하며, 경미한 위반 행위에 대해서는 사회적 통합을 위해 관용을 베푸는 것이 바람직함을 나타냅니다. 마치 산 아래에서 단풍이 점진적으로 물들어가듯이, 또한 내괘 이화(離火)☲의 천체들이 외괘 간산(艮山)☶의 북극성을 중심으로 규칙적으로 운행하듯이, 점진적인 진전이 유익합니다. 이는 성급한 진보를 지양하고 단계적인 발전을 추구해야 함을 시사합니다. 단전은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
단사
彖曰 賁(亨)는 柔 來而文剛故로 亨하고 分剛하야上而文柔故로 小利有攸往하니 天文也오
단왈 비(형) 유 래이문강고 형 분강 상이문유고 소리유유왕 천문야
문명이지 인문야
觀乎天文하야 以察時變하며 觀乎人文하야 以化成天下하나니라.
관호천문 이찰시변 관호인문 이화성천하
단전에 말하였다. “비(賁)는 유가 와서 강을 빛나게 하는 까닭에 형통하고, 강(剛)을 나누어 올라가서 유(柔)를 빛나게 하는 까닭에 가는 바를 둠이 조금 이로우니 천문이요, 문명해서 그치니 인문이니, 천문을 보아서 때의 변화를 살피며, 인문을 보아서 천하를 화하여 이룬다.”
산화비괘는 삼음삼양(三陰三陽)괘의 구조를 가지며, 그 근본적 형태는 지천태(地天泰)괘에서 비롯됩니다. 이는 사회의 안정과 조화를 중시하는 시기에 경미한 위법 행위에 대해서는 관용적 접근을 취하는 원칙을 나타냅니다. 지천태괘에서는 구이와 상육의 위치 교환이 이루어지며, 이때 상육의 음유(陰柔)가 내괘 중심으로 이동하여 초효와 삼효의 강(剛)과 조화를 이루어 형통함을 이룹니다. 또한 내괘의 강이 분리되어 구이 강(剛)이 상효의 위치로 상승하여 음유(陰柔)와 조화를 이루면서 외괘가 간산(艮山)☶을 형성하게 되어, 점진적 진전이 이로움을 시사합니다.
천체들은 우주 공간에서 각자의 궤도를 따라 운행하며 장엄한 밤하늘의 풍경을 연출합니다. 지구에서 관측할 때 이러한 천체들의 점진적인 움직임이 바로 천문(天文)의 본질입니다. 내괘 이화(離火)☲는 문명의 발전을, 외괘 간산(艮山)☶은 안정을 상징하며, 이 둘의 조화로운 균형이 인간사회의 지속적인 발전을 가능케 합니다. 이처럼 천문(天文)을 통해 계절의 순환을 이해하고, 인문(人文)을 통해 천하의 조화로운 발전을 도모합니다.
의서(醫書)의 고전으로 알려지고 있는 《황제내경소문(黃帝內經素問)》 제69편 「기교변대론(氣交變大論)」에 다음과 같은 내용이 있다.
帝曰 余聞호대 得其人하야 不敎면 是爲失道라 하고 傳非其人이면 慢泄天寶라 하니 余誠菲德하야 未足以受至道하나 然이나 而衆子哀其不終이라. 願夫子컨대 保於無窮하고 流於無極토록 余司其事하야 則而行之하곤 奈何잇고?
황제가 말하였다. “내가 듣기를 ‘그 사람(참된 사람)을 얻어서 가르치지 않으면 이는 하늘의 도리를 잃은 것이고, 그 사람이 아님에도 전하게 되면 하늘의 보배(寶)를 함부로 누설하는 것이다’라고 하니, 내가 진실로 덕이 없어 지극한 도를 전수 받기에 부족하나, 그러나 백성들이 천수를 누리지 못하는 것을 슬퍼하고 있다. 그대에게 바라건대 영원토록 보존하고 끝이 없이 흐르도록, 내가 그 일을 맡아 법칙으로 하여 행하고자 하는데, 어떻게 해야 하는가?”
岐伯曰 請遂言之也니이다. 《上經》에 曰 夫道者는 上知天文하고 下知地理하며 中知人事하면 可以長久라 하니 此之謂也니이다.
기백이 말하였다. “제가 상세히 말씀드리겠습니다. 《上經》에 이르길 ‘무릇 도(醫道)라는 것은 위로는 천문(天文)을 알고, 아래로는 지리(地理)를 알며, 가운데로는 인사(人事)를 알면, 가히 길고 오래할 것이다’고 하였으니, 바로 이를 말하는 것입니다.”
帝曰 何謂也오?
황제가 말하였다. “무슨 뜻인가?”
岐伯曰 本氣位也니이다. 位天者는 天文也오 位地者는 地理也오 通于人氣之變化者는 人事也니이다. 故로 太過者는 先天하고 不及者는 後天하니 所謂治化而人應之也니이다.
기백이 말하였다. “기(氣)에 근본하여 자리한 것입니다. 하늘에 자리한 것은 천문(天文)이고, 땅에 자리한 것은 지리(地理)이며, 사람 기운의 변화에 통하는 것이 인사(人事)입니다. 그러므로 운기(運氣)가 태과(太過)하면 기후가 계절보다 먼저 이르고, 불급(不及)하면 기후가 계절보다 늦게 이르니, 이른바 다스리고 화하여 사람이 기운에 응하는 것입니다.”
괘상사
象曰 山下有火 賁니 君子 以하야 明庶政호대 无敢折獄하나니라.
상왈 산하유화 비 군자 이 명서정 무감절옥
상전에 말하였다. “산 아래에 불이 있음이 비(賁)니, 군자가 이를 본받아 뭇 정사를 밝히되 감히 옥을 판단함이 없게 한다.”
비괘(賁卦)의 상징은 산 아래에서 빛나는 불입니다. 이를 통해 군자는 다음과 같은 통찰을 얻습니다: 내괘의 이화(離火)☲는 불의 밝음처럼 정치를 명료하게 이끌어가는 것을 상징하며, 외괘 간산(艮山)☶은 신중함과 절제를 의미하여 형벌의 남용을 경계합니다. 더불어 호괘가 뇌수해(雷水解)로 변화하는 것은 관용과 용서의 정신을 실천해야 함을 시사합니다. 이는 뇌수해괘의 괘상사에서 더욱 분명히 드러납니다.
象曰 雷雨作이 解니 君子 以하야 赦過宥罪하나니라.
상전에 말하였다. “우레와 비가 일어남이 해(解)니, 군자가 이를 본받아 허물을 용서하고 죄를 감해준다.”
효사 및 효상사
초구(初九)
賁其趾니 舍車而徒로다.
비기지 사거이도
초구는 그 발을 꾸미니, 수레를 버리고 걸어가도다.
초구는 비괘의 최하단에 위치하여 발을 꾸미는 형상을 나타냅니다. 내괘의 이화(離火)☲는 그 중심이 비어있어 수레를 상징합니다. 양의 자리에 양이 있어 올바른 위치를 점한 초구는 외괘의 육사 대신과 정응하여 상호 교류하고자 합니다. 그러나 바로 위에 있는 육이의 음으로 인해 초구는 육이와의 관계를 중단하게 됩니다. 초구가 수레에 오르려 했던 것은 육이와의 관계를 의미했으나, 본연의 모습 그대로 정응인 육사를 만나고자 수레를 포기하고 도보로 이동합니다. 초구가 변화하면 내괘는 간산(艮山)☶이 되어 수레 사용을 중단하게 됩니다. 초구의 위치에 있는 백성이 육사의 대신을 만날 때는 수레를 타고 위세를 부리는 것이 적절하지 않습니다. 이는 도리상 수레를 사용해서는 안 되는 상황입니다.
象曰 舍車而徒는 義弗乘也라.
상왈 사거이도 의불승야
상전에 말하였다. “수레를 버리고 걸어감은 의리상 타지 않는 것이다.”
육이(六二)
賁其須로다.
비기수
육이는 그 수염을 꾸미도다.
象曰 賁其須는 與上興也라.
상왈 비기수 여상흥야
상전에 말하였다. “그 수염에 꾸밈은 위와 더불어 흥하는 것이다.”
육이가 수염을 꾸미는 것은 구삼과 더불어 움직이는 것이다.
구삼(九三)
賁如 濡如하니 永貞하면 吉하리라.
비여 유여 영정 길
구삼은 꾸미는 듯함이 젖는 듯하니, 오래도록 바르게 하면 길할 것이다.
구삼은 양자리에 양으로 자리잡아 올바르나 중심을 얻지 못했습니다. 또한 응하는 자리인 상구가 같은 양이어서 서로 꾸밀 수 없습니다. 이에 구삼은 위아래의 음과 꾸미게 됩니다. 구삼이 내괘의 육이와는 이화(離火)☲로 꾸미는 듯하고, 외괘의 육사와는 내호괘가 감수(坎水)☵가 되어 젖는 듯합니다. 이처럼 구삼이 육이와 육사라는 두 음 사이에서 지조를 잃은 듯이 보여 다른 이들에게 능멸당할 수 있으므로, 오래도록 바르게 해야만 길하다고 한 것입니다.
象曰 永貞之吉은 終莫之陵也니라.
상왈 영정지길 종막지릉야
상전에 말하였다. “오래도록 바르게 해서 길함은 마침내 능멸하지 못한다.”
육사(六四)
賁如 皤如하며 白馬 翰如하니 匪寇면 婚媾리라.
비여 파여 백마 한여 비구 혼구
육사는 꾸미는 듯함이 흰 듯하며, 흰말이 나는 듯하니, 도적이 아니면 청혼할 것이다.
'도적이 아니면 청혼한다(匪寇婚媾)'는 옛 유목사회의 약탈혼(掠奪婚) 풍습에서 비롯되었습니다. 남자가 말을 타고 가서 마음에 드는 여자를 약탈하여 혼인하는 것을 뜻합니다. 말을 타고 오는 이가 도적일 수도, 청혼자일 수도 있으므로 '도적이 아니면 청혼하리라'라고 한 것입니다. 이 경우에는 음과 양이 정응관계에서 꾸미는 것이니 청혼으로 해석됩니다.
象曰 六四는 當位疑也니 匪寇婚媾는 終无尤也라.
상왈 육사 당위의야 비구혼구 종무우야
상전에 말하였다. “육사는 마땅한 자리를 의심함이니, ‘도적이 아니면 청혼하는 것’은 마침내 허물이 없다.”
육오(六五)
賁于丘園이니 束帛이 戔戔이면 吝하나 終吉이리라.
비우구원 속백 잔잔 인 종길
육오는 언덕의 동산에 꾸미니, 비단 묶음이 작으면 인색하나, 마침내 길할 것이다.
속백(束帛)은 비단 5필을 양끝에서 마주 말아 한 묶음으로 만든 것으로, 나라 간 빙문(聘問)의 예물(禮物)을 의미합니다. 또한 가례(嘉禮) 때 납폐(納幣)로 쓰던 양단(兩端)을 뜻합니다. 따라서 육오효는 왕의 자리에서 국가 원수로서 외국과 교류하거나, 집안의 어른으로서 다른 집안과 교류할 때 소박함을 지켜야 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象曰 六五之吉은 有喜也라.
상왈 육오지길 유희야
상전에 말하였다. “육오의 길함은 기쁨이 있는 것이다.”
상구(上九)
白賁면 无咎리라.
백비 무구
상구는 희게 꾸미면 허물이 없을 것이다.
象曰 白賁无咎는 上得志也라.
상왈 백비무구 상득지야
상전에 말하였다. “희게 꾸며서 허물이 없음은 위에서 뜻을 얻는 것이다.”
상구가 맨 위에서 있는 그대로의 모습으로 꾸미면 허물이 없고, 결국 맨 위에서 상구 자신이 품었던 뜻을 얻게 된다.